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10:05:04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내각관방장관 (1947~)
초대
하야시 조지
2대
니시오 스에히로
3대
도마베치 기조
4대
사토 에이사쿠
5대
마스다 가네시치
6대
마스다 가네시치
7대
오카자키 가쓰오
8대
호리 시게루
9대
오카타 다케도라
10-12대
후쿠나가 겐지
10-12대
후쿠나가 겐지
13-15대
네모토 류타로
16·17대
이시다 히로히데
18대
아이치 기이치
19대
아카기 무네노리
20대
시이나 에쓰사부로
21·22대
오히라 마사요시
23-25대
구로가네 야스미
26대
스즈키 젠코
27·28대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29대
아이치 기이치
30·31대
후쿠나가 겐지
30·31대
후쿠나가 겐지
32대
기무라 도시오
33·34대
호리 시게루
35·38대
다케시타 노보루
36·37대
니카이도 스스무
35·38대
다케시타 노보루
39대
이데 이치타로
40대
소노다 스나오
41대
아베 신타로
42대
다나카 로쿠스케
43대
이토 마사요시
44대
미야자와 기이치
45·47·48대
고토다 마사하루
46대
후지나미 다카오
45·47·48대
고토다 마사하루
49대
오부치 게이조
50대
시오카와 마사주로
51대
야마시타 도쿠오
52대
모리야마 마유미
53대
사카모토 미소지
54대
가토 고이치
55대
고노 요헤이
56대
다케무라 마사요시
57대
구마가이 히로시
58대
이가라시 고조
59대
노사카 코켄
60·61대
가지야마 세이로쿠
60·61대
가지야마 세이로쿠
62대
무라오카 가네조
63대
노나카 히로무
64·65대
아오키 미키오
66대
나카가와 히데나오
67-69대
후쿠다 야스오
70·71대
호소다 히로유키
70·71대
호소다 히로유키
72대
아베 신조
73대
시오자키 야스히사
74대
요사노 가오루
75대
마치무라 노부타카
76대
가와무라 다케오
77대
히라노 히로후미
78대
센고쿠 요시토
79대
에다노 유키오
80대
후지무라 오사무
81-83대
스가 요시히데
84대
가토 가쓰노부
85·86대
마쓰노 히로카즈
85·86대
마쓰노 히로카즈
87대
하야시 요시마사
}}}}}}}}}}}}

역임 직위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기시 노부스케
2-3대
미키 다케오
4대
가와시마 쇼지로
5대
후쿠다 다케오
6대
가와시마 쇼지로
7대
마스타니 슈지
8대
마에오 시게사부로
9-10대
미키 다케오
11대
다나카 가쿠에이
12대
후쿠다 다케오
13대
다나카 가쿠에이
14대
호리 시게루
15대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16대
니카이도 스스무
17대
나카소네 야스히로
18대
우치다 쓰네오
19대
오히라 마사요시
20대
사이토 쿠니키치
21-22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23-24대
니카이도 스스무
25대
다나카 로쿠스케
26대
가네마루 신
27대
타케시타 노보루
28대
아베 신타로
29대
하시모토 류타로
30대
오자와 이치로
31대
오부치 게이조
32대
와타누키 다미스케
33대
가지야마 세이로쿠
34대
모리 요시로
35대
미쓰즈카 히로시
36대
가토 고이치
37대
모리 요시로
38대
노나카 히로무
39대
고가 마코토
40대
야마사키 타쿠
41대
아베 신조
42대
타케베 쓰토무
43대
나카가와 히데나오
44대
아소 다로
45대
이부키 분메이
46대
아소 다로
47대
호소다 히로유키
48대
오시마 다다모리
49대
이시하라 노부테루
50대
이시바 시게루
51대
다니가키 사다카즈
52-53대
니카이 도시히로
54대
아마리 아키라
55대
모테기 도시미쓰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이시이 미츠지로
2대
스나다 시게마사
3대
사토 에이사쿠
4대
고노 이치로
5대
마스타니 슈지
6대
이시이 미츠지로
7대
호리 시게루
8대
아카기 무네노리
9대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10대
나카무라 우메키치
11대
마에오 시게사부로
12대
후쿠나가 켄지
13대
시이나 에쓰사부로
14대
하시모토 토미사부로
15대
스즈키 젠코
16대
나카소네 야스히로
17대
스즈키 젠코
18대
나다오 히로키치
19대
마쓰노 라이조
20대
에사키 마스미
21대
나카소네 야스히로
22대
쿠라이시 타다오
23대
스즈키 젠코
24대
니카이도 스스무
25대
다나카 타츠오
26대
호소다 키치조
27대
가네마루 신
28대
미야자와 기이치
29대
아베 신타로
30대
이토 마사요시
31대
미즈노 키요시
32대
카라사와 슌지로
33대
니시오카 다케오
34대
사토 고코
35대
키베 요시아키
36대
무토 카분
37대
시오카와 마사쥬로
38대
모리 요시로
39대
후카야 다카시
40대
이케다 유키히코
41대
오자토 사다토시
42대
무라오카 카네조
43대
호리우치 미쓰오
44대
규마 후미오
45대
니와 유야
46대
니카이 도시히로
47대
사사가와 다카시
48대
다노세 류타로
49대
고이케 유리코
50대
시오노야 류
51대
호소다 히로유키
52대
노다 세이코
53대
니카이 도시히로
54대
호소다 히로유키
55대
다케시타 와타루
56대
가토 가쓰노부
57대
스즈키 슌이치
58대
사토 쓰토무
59대
후쿠다 다쓰오
60대
엔도 도시아키
61대
모리야마 히로시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건설대신 (1948~2001)
초대
히토츠마츠 사다요시
임시대리
요시다 시게루
2·3대
마스타니 슈지
4대
마스다 가네시치
5대
스토 히데오
6대
노다 우이치
7대
사토 에이사쿠
8-9대
토츠카 쿠이치로
10대
오자와 사에키
11-12대
타케야마 유타로
13대
바바 모토하루
임시대리
이시바시 단잔
14-15대
난조 도쿠오
16대
네모토 류타로
17대
엔도 사부로
18대
무라카미 이사무
19대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20대
나카무라 우메키치
21-22대
고노 이치로
23-24대
코야마 오사노리
25대
세토야마 미츠오
26대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27-28대
니시무라 에이이치
29대
호리 시게루
30대
츠보카와 신조
31대
네모토 류타로
32대
니시무라 에이이치
33대
기무라 다케오
34대
가네마루 신
35대
가메오카 다카오
36대
오자와 타츠오
37대
카리야 타다오
임시대리
미키 다케오
38대
다케시타 노보루
39대
주마 다츠이
40대
하세가와 시로
41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42대
도카이 모토사부로
43대
와타나베 에이치
44대
사이토 시게요시
45대
오치 이헤이
46대
우츠미 히데오
47대
미즈노 기요시
48대
키베 요시아키
49대
에토 다카미
50대
아마노 고세이
51대
오치 이헤이
52대
오코노기 히코사부로
임시대리
다케시타 노보루
53대
노다 다케시
54대
하라다 쇼조
55대
와타누키 다미스케
56대
오츠카 유지
57대
야마사키 타쿠
58대
나카무라 기시로
59대
이가라시 고조
임시대리
하타 쓰토무
60대
모리모토 코지
61대
노사카 코겐
62대
모리 요시로
62대
나카오 에이치
63대
가메이 시즈카
64대
가와라 츠토무
65대
세키야 가쓰쓰구
67-68대
나카야마 마사아키
국토교통대신으로 계승
67-68대
나카야마 마사아키
69대
오키 지카게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운수대신 (1949~2001)
1-2대
고비야마 나오토
3대
다나카 다케오
4대
미쓰치 주조
5·14대
무라카미 기이치
6대
히라쓰카 쓰네지로
7대
마스다 가네시치
임시대리
가타야마 데쓰
8대
도마베치 기조
9대
기타무라 도쿠타로
10대
오카다 세이이치
임시대리
요시다 시게루
11대
오자와 사에키
12대
오야 신조
13대
야마자키 다케시
5·14대
무라카미 기이치
15-16대
이시이 미쓰지로
17-18대
미키 다케오
19대
요시노 신지
임시대리
이시바시 단잔
20-21대
미야자와 다네오
22대
나카무라 산노조
23대
나가노 마모루
24대
시게무네 유조
25대
나리하시 와타루
26대
미나미 요시오
27대
고구레 부타유
28대
사이토 노보루
29-30대
아야베 겐타로
31-32대
마츠우라 슈타로
33대
나카무라 도라타
34대
아라후네 세이주로
35대
후지에다 센스케
36-37대
오오하시 타케오
38대
나카소네 야스히로
39대
하라다 겐
40대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41대
니와 교시로
42대
사사키 히데요
43대
신타니 도라사부로
44대
도쿠나가 마사토시
45대
에토 아키라
46대
기무라 무쓰오
47대
이시다 히로히데
48대
타무라 하지메
49대
후쿠나가 겐지
50대
모리야마 긴지
51대
지사키 우사부로
52대
시오카와 마사주로
53대
고사카 도쿠사부로
54대
하세가와 다카시
55대
호소다 기치조
56대
야마시타 도쿠오
57대
미쓰즈카 히로시
58대
하시모토 류타로
59대
이시하라 신타로
60대
사토 신지
61대
야마무라 신지로
62대
에토 다카미
63대
오노 아키라
64대
무라오카 가네조
65대
오쿠다 게이와
66대
오치 이헤이
67대
이토 시게루
임시대리
하타 쓰토무
68대
후타미 노부아키
69대
가메이 시즈카
70대
히라누마 다케오
71대
가메이 요시유키
72대
고가 마코토
73대
후지이 다카오
74대
가와사키 지로
75-76대
니카이 도시히로
국토교통대신으로 계승
75-76대
니카이 도시히로
77대
모리타 하지메
78대
오키 지카게
}}}}}}}}}}}}


일본국 제40대 운수대신
일본국 제19·26대 건설대신
일본국 제27·28대 내각관방장관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橋本登美三郎 | Hashimoto Tomisaburo
파일:하시모토 토미사부로.jpg
<colbgcolor=#3333cc><colcolor=#fff> 출생 1901년 3월 5일
이바라키현 나메가타군 이타코정
(現 이바라키현 이타코시)
사망 1990년 1월 19일 (향년 88세)
도쿄도 신주쿠구
학력 와세다대학 (정치경제학 / 학사)
정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지역구 舊 이바라키현 제1구
의원 선수 12 (중)
의원 대수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서훈 훈1등 욱일대수장
약력 아사히신문 특파원
시오라이촌 촌장
중의원 의원
제19·26대 건설대신
제40대 운수대신
수도권 정비위원회 위원장
제27·28대 내각관방장관
자유민주당 총무회장
자유민주당 간사장

1. 개요2. 생애3. 소속 정당4. 선거 이력5. 나리타 공항의 건립 관련 문제6. 기타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전직 정치인.

2. 생애

1901년 3월 5일 이바라키현 나메가타군 이타코정 (현 이타코시)에서 태어났다. 구제 사하라 중학교 (현 치바현립 사하라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와세다대학 정치경제학부에 입학, 졸업후 1927년 아사히 신문사에 입사했다. 이후 만주에 특파원으로 파견된 것을 시작으로 중화민국에서 활동했다.

1936년부터 1937년 8월까지 난징 지국에 근무하면서 난징통신국장으로 근무했다. 이때 일본군이 난징을 점령 했을때 후배 기자 15명을 데리고 선두에 섰다. 이 당시 벌어진 난징대학살에 대해선 학살을 부정하는 부정론적 입장을 표명했다.

이후 외신부장, 동아부장을 역임하고, 일본이 패전한 1945년 아사히 신문을 퇴사했다. 1946년 제2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이바라키현 전현구 선거구에 입후보 하지만 낙선, 이후 시오라이촌의 촌장으로 추대된다. 이듬해인 1947년 제2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구 이바라키현 제1구 선거구에 입후보 하여 첫 당선에 성공한다.

당선 이후 우정관계와 전기통신관계와 밀접한 우정족 의원으로 활동했고, 1955년 보수 합동 당시 하시모토의 은사 요시다 시게루가 자민당 참여를 거부했고 요시다의 측근 사토 에이사쿠도 이를 따랐다. 하시모토는 사토의 신당 불참가를 이유로 2명이 참가하지 않는 한 신당 참가를 거부하는 것을 표명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3명은 무소속으로 남았다.

1957년 사토의 친형 기시 노부스케가 자민당에 입당하자, 기시와 이케다 하야토의 설득에 의해 하시모토는 요시다, 사토와 함께 자민당에 입당한다.

1960년 미-일 안보조약 체결 문제로 자민당과 사회당의 격한 대치가 이어지는 가운데 5월 19일 국회의사당에서 알박기 투쟁을 하고있던 사회당 의원들을 경찰력을 동원해 강제로 끌어내어 조약 체결을 강행 처리하지만, 국회 밖에서의 안보투쟁으로 상황은 점점 더 악화되어 갔다.

당시 미국 아이젠하워 대통령 환영 위원회의 위원장을 맡고 있던 하시모토는 우익단체와 경찰력만으로 시위대를 억제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암흑가(야쿠자)의 힘을 빌려 시위를 제압하는 조치를 취했다. 이런 혼란 끝에 신안보 조약은 성립 되었지만, 여러가지 혼란과 민심악화로 인해, 6월 23일, 기시 내각은 총사직하며 해산되었다.

1960년 이케다 하야토가 이끄는 제1차 이케다 내각의 건설대신 겸 수도권 정비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첫 입각했으며, 사토 에이사쿠의 측근으로서 다나카 가쿠에이, 호리 시게루, 아이치 기이치, 마츠노 라이조[1]와 함께 사토파 5봉행 (佐藤派五奉行)의 한 축을 차지하였다.

1964년 사토 내각이 발족, 내각 관방장관, 건설 대신, 당 총무 회장, 운수 대신직을 역임했고, 사토의 퇴진으로 일어난 각복전쟁에선 다나카파의 주요간부로서 총재 선거에서 다나카 가쿠에이를 옹립, 다나카 내각 성립을 계기로 자민당 간사장으로 취임했다.

운수대신 재임 중이던 1970년, 일본항공 소속 항공기가 상공에서 극좌파들에 의해 납치되는 요도호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당황한 일본정부는 운수상인 하시모토와 야마무라 신지로 운수 정무차관을 한국에 급파하여 범인들과의 협상을 추진한다. 이 시기, 하시모토는 본인 스스로 인질이 될 것을 주장하지만, 사토 총리는 현직 각료인 하시모토를 위험에 빠뜨릴 수 없다고 하여, 야마무라 운수 정무 차관이 대신 인질이 되었다.

그 후 운수대신으로써 일본 고도경제성장기의 운수행정을 수행하고 있었지만, 재임 중 전일본공수로부터 거액의 뇌물을 수뢰받은 혐의가 드러나, 록히드 사건의 주요 용의자 중 하나로 지목되어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와 함께 체포된다. 체포 직후 자민당을 탈당하고 곧이어 치뤄진 34회 중원선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했지만, 전체 3위로 당선에 성공했다.

1977년 3월 5일에는 이바라키현 시오라이초의 사찰에서 불교 신자 100명과 공양을 드리고 있던 도중, 록히드사건에 불만을 품은 남자에게 칼로 왼쪽 어깨를 찔러 경상을 입는 사건도 발생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전임 경호원을 두라는 의견이 측근으로부터 있었지만 하시모토 본인이 자민당 간사장 시절부터 신변 경호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내 거절하였다고 한다.

1980년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낙선한 이후로 정계에서 은퇴했다.[2] 록히드 사건에서는 1심·2심에서 징역 2년 6개월 집행 유예 3년, 추징금 500만엔의 판결을 선고 받았다. 상고 중인 1990년 1월 19일 향년 88세의 나이로 사망했고, 재판은 공소 기각 처분 되었다.

3.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1946 - 1948 정계입문


1948 - 1950 창당


1950 - 1955 합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55 - 1957 탈당[3]


1957 - 1976 입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76 - 1990 록히드 사건으로 인한 탈당
정계은퇴
사망

4.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지역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46 제2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이바라키 전현구

? 낙선 (14위) [4]
1947 제2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이바라키 1구 25,882표 (10.9%) 낙선 (5위)
1949 제2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54,060표 (22.5%) 당선 (1위) 초선
1952 제2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37,331표 (12.3%) 당선 (5위) 재선
1953 제2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54,887표 (17.7%) 당선 (2위) 3선
1955 제2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38,922표 (12.3%) 당선 (4위) 4선
1958 제2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73,034 66,860표 (21.2%) 당선 (1위) 5선
1960 제2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69,923표 (21.0%) 6선
1963 제3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68,202표 (22.2%) 7선
1967 제3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70,460표 (21.7%) 8선
1969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76,082표 (20.7%) 9선
1972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00,909표 (25.4%) 10선
1976 제3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무소속(정치)|
무소속
]]
73,034표 (18.6%) 당선 (3위) 11선
1979 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73,643표 (18.4%) 당선 (1위) 12선
1980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70,020표 (14.7%) 낙선 (5위)

5. 나리타 공항의 건립 관련 문제

  • 나리타 국제공항이 현 위치에 건립시킨데 큰 기여를 한 인물이다. 하시모토는 관방장관 재직 시절인 1965년 신도쿄 국제공항 (현 나리타공항) 부지를 치바현의 토미사토시로 하기로 내정했지만, 다음날 열린 기자회견에서 갑자기 각료 회의에서 공항 건립 부지를 변경할것이라고 발언해 주변의 혼란을 주었다.[5] 이시하라 신타로에 따르면, 당시 3선을 노리던 사토 에이사쿠 총리가 자민당 부총재인 가와시마 쇼지로로부터 협력을 얻기 위해 하시모토의 동의를 구해 공항 건설 부지를 변경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시하라가 주장한 이야기의 시간대가 맞지않고,[6] 도쿄만 매립설을 지지하던 가와시마가 산리즈카 건립설을 처음부터 주장한것이 이상하다고 이 발언을 반박하는 의견도 있다.
  • 이후에도 운수상 재임 시기인 1971년 공항부지 건설을 둘러싸고 원주민과 경찰간의 유혈사태가 발생하자, 아무리 유혈사태가 발생하더라도 끝까지 공항 건설을 완수하겠다는 강경론을 내세웠다. 그해 나리타시 시장 선거를 앞두고 공항 건설 반대파의 회장 토무라 잇사쿠와 회담을 가졌지만, "공항 건설은 중지하지 않는다", "공항 범위 내에 토지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토무라)과는 논의하지 않는다" 라고 되돌려 보내는 등, 회담은 아무런 논의도 하지 않은 채로 20분만에 끝났다.

6. 기타

  • 독실한 불교신자로 유명했다. 간사장 재임시절 승려들이 정치인들의 행태에 대해 비판하자 "젊은이가 신흥 종교에 빠지는 비율이 늘어나는 이유는 마음의 어딘가를 놓치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을 구하기에는 정치의 역할도 크지만, 뭐니뭐니해도 그들의 마음의 틈새를 메우는 것은 종교가의 의무가 아닌가. 그런데 당신들은 종조가 어렵게 일군 번영 위에 책상다리를 하고 오히려 으스대는 것처럼 보이기까지 한다.지금이야말로 스스로 설법을 해서 젊은이를 구하기 위해 진력하는 것은 어떨까." 라고 말했다.
  • 이시하라 신타로의 동생이자 국민 배우였던 이시하라 유지로의 후견인으로서, 이시하라 프로모션이 가지고 있던 부채 전액을 매꿔줬기 때문에 유지로에게 참의원 출마를 권유한적도 있었다.

[1] 마쓰노 요리히사의 부친.[2] 낙선 후 하시모토의 지역 기반은 같은 (구) 나메가타군 출신이자 현 중의원 의장인 누카가 후쿠시로가 계승했다.[3] 자유민주당 창당에 불참여.[4]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의 마지막 대선거구제.[5] 이때 치바현 지사 업무를 대리 수행하던 부지사 가와카미 키이치도 이날 라디오 뉴스를 전해 듣고 해당 소식을 알았을 만큼 공항 건설 부지 변경 계획은 갑작스럽게 정해진것이었다.[6] 일본 운수성이 신도쿄 국제공항 토미사토 건립 계획을 처음 세운 시기는 1963년 12월이고, 사토의 총재 3선은 1968년 11월이다. 즉 5년 1개월이나 시간 차이가 나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