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0 04:59:40

야마사키 타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경찰예비대본부장관·경찰예비대 상당·해상보안청장관 (1950년~1952년)
초대
마스하라 케이키치
2대
오오하시 타케오
3대
야나기사와 요네키치
방위청장관 (1952년~2007년)
임시대리
요시다 시게루
1대
기무라 토쿠타로
2대
오무라 세이치
3대
스기하라 아라타
4대
스나다 시게마사
5대
후나다 나카
임시대리
이시바시 단잔
임시대리
기시 노부스케
6·7대
고타키 아키라
8대
츠시마 슈이치
9대
사토 키센
10대
이노 시게지로
11대
아카기 무네노리
12대
에사키 마스미
13대
니시무라 나오미
14대
후지에다 신스케
15대
시가 켄지로
16·17대
후쿠다 도쿠야스
18·19대
고이즈미 준야
20대
마쓰노 라이조
21대
칸바야시야마 에이키치
22·23대
마스다 가와시치
24대
아리타 기이치
25대
나카소네 야스히로
26대
마스하라 케이키치
27대
니시무라 나오미
28대
에사키 마스미
29·30대
마스하라 케이키치
31대
야마나카 사다노리
32대
우노 소스케
33대
사카타 미치타
34대
미하라 아사오
35대
가네마루 신
36대
야마시타 칸리
37대
구보타 엔지
38대
호소다 키치조
39대
오무라 쇼지
40대
이토 소이치로
41대
타니가와 가즈오
42·44대
쿠리하라 유코
43대
가토 고이치
45·62·63대
가와라 츠토무
46대
타자와 키치로
47대
야마사키 타쿠
48대
마츠모토 주로
49대
이시카와 요조
50대
이케다 유키히코
51대
미야시타 소헤이
52대
나카야마 도시오
53대
나카니시 케이스케
54대
아이치 가즈오
임시대리
하타 쓰토무
55대
칸다 아츠시
56대
타마자와 도쿠이치로
57대
에토 세이시로
58대
우스이 히데오
59대
규마 후미오
60대
누카가 후쿠시로
61대
노로타 호세이
45·62·63대
가와라 츠토무
64대
토라시마 가즈오
65대
사이토 도시쓰구
66대
나카타니 겐
67·68대
이시바 시게루
69·70대
오노 요시노리
71대
누카가 후쿠시로
72대
규마 후미오
방위대신 (2007년~)
초대
규마 후미오
2대
고이케 유리코
3대
고무라 마사히코
4대
이시바 시게루
5대
하야시 요시마사
6·24대
하마다 야스카즈
7·8대
기타자와 도시미
9대
이치카와 야스오
10대
다나카 나오키
11대
모리모토 사토시
12·17·18대
오노데라 이쓰노리
13대
에토 아키노리
14·26대
나카타니 겐
15대
이나다 도모미
16대
기시다 후미오
12·17·18대
오노데라 이쓰노리
19대
이와야 다케시
20대
고노 다로
21-23대
기시 노부오
6·24대
하마다 야스카즈
25대
키하라 미노루
14·26대
나카타니 겐
}}}}}}}}}}}}

역임 직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shuugiin_logo.png 일본 중의원 (후쿠오카 2구)
선거제도 개편 제41~42대
야마사키 타쿠
제43대
고가 준이치로[A]

파일:shuugiin_logo.png 일본 중의원 (후쿠오카 2구)
제43대
고가 준이치로[A]
제43~44대
야마사키 타쿠
제45대
이나토미 슈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2대
오노 반보쿠
3-5대
가와시마 쇼지로
6·7대
시이나 에쓰사부로
8대
후나다 나카
9·10대
니시무라 에이이치
11대
니카이도 스스무
12대
가네마루 신
13대
오부치 게이조
14대
야마사키 타쿠
15대
오시마 다다모리
16대
고무라 마사히코
17대
아소 다로
18대
스가 요시히데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미즈타 미키오
2대
츠카다 주이치로
3대
미키 다케오
4대
후쿠다 다케오
5대
나카무라 우메키치
6대
후나다 나카
7대
시이나 에쓰사부로
8대
후쿠다 다케오
9대
다나카 가쿠에이
10대
가야 오키노리
11대
미키 다케오
12대
스토 히데오
13대
아카기 무네노리
14대
미즈타 미키오
15대
니시무라 나오미
16대
오히라 마사요시
17대
네모토 류타로
18대
미즈타 미키오
19대
코사카 젠타로
20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21대
쿠라이시 타다오
22대
미즈타 미키오
23대
야마나카 사다노리
24대
마쓰노 라이조
25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26대
고모토 토시오
27대
에사키 마스미
28대
고모토 토시오
29대
아베 신타로
30대
다나카 로쿠스케
31대
후지오 마사유키
32대
이토 마사요시
33대
와타나베 미치오
34대
무라타 케이지로
35대
미쓰즈카 히로시
36대
가토 무쓰키
37대
모리 요시로
38대
미쓰즈카 히로시
39대
하시모토 류타로
40대
가토 고이치
41대
야마사키 타쿠
42대
이케다 유키히코
43대
가메이 시즈카
44대
아소 다로
45대
누카가 후쿠시로
46대
요사노 가오루
47대
나카가와 히데나오
48대
나카가와 쇼이치
49대
이시하라 노부테루
50대
다니가키 사다카즈
51대
호리 고스케
52대
이시바 시게루
53대
모테기 도시미쓰
54대
아마리 아키라
55대
다카이치 사나에
56대
이나다 도모미
57대
모테기 도시미쓰
58대
기시다 후미오
59대
시모무라 하쿠분
60대
다카이치 사나에
61대
하기우다 고이치
62대
도카이 기사부로
63대
오노데라 이쓰노리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기시 노부스케
2-3대
미키 다케오
4대
가와시마 쇼지로
5대
후쿠다 다케오
6대
가와시마 쇼지로
7대
마스타니 슈지
8대
마에오 시게사부로
9-10대
미키 다케오
11대
다나카 가쿠에이
12대
후쿠다 다케오
13대
다나카 가쿠에이
14대
호리 시게루
15대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16대
니카이도 스스무
17대
나카소네 야스히로
18대
우치다 쓰네오
19대
오히라 마사요시
20대
사이토 쿠니키치
21-22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23-24대
니카이도 스스무
25대
다나카 로쿠스케
26대
가네마루 신
27대
타케시타 노보루
28대
아베 신타로
29대
하시모토 류타로
30대
오자와 이치로
31대
오부치 게이조
32대
와타누키 다미스케
33대
가지야마 세이로쿠
34대
모리 요시로
35대
미쓰즈카 히로시
36대
가토 고이치
37대
모리 요시로
38대
노나카 히로무
39대
고가 마코토
40대
야마사키 타쿠
41대
아베 신조
42대
타케베 쓰토무
43대
나카가와 히데나오
44대
아소 다로
45대
이부키 분메이
46대
아소 다로
47대
호소다 히로유키
48대
오시마 다다모리
49대
이시하라 노부테루
50대
이시바 시게루
51대
다니가키 사다카즈
52-53대
니카이 도시히로
54대
아마리 아키라
55대
모테기 도시미쓰
56대
모리야마 히로시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나카무라 우메키치
2대
쿠라이시 타다오
3대
무라카미 이사무
4대
후쿠나가 겐지
5대
오자와 사에키
6대
야마무라 신지로
7대
에사키 마스미
8대
타케야마 유타로
9대
소노다 스나오
10대
사사키 히데요
11대
나카노 시로
12대
사사키 히데요
13대
하세가와 시로
14대
소노다 스나오
15대
츠카하라 도시오
16대
가네마루 신
17대
하라다 겐
18대
후쿠다 하지메
19대
에사키 마스미
20대
우노 소스케
21대
가이후 도시키
22대
아베 신타로
23대
미하라 아사오
24대
가네마루 신
25대
타자와 키치로
26대
타무라 하지메
27대
오코노기 히코사부로
28대
에토 다카미
29대
모리시타 모토하루
30대
에토 다카미
31대
후지나미 다카오
32대
와타나베 고조
33대
오쿠다 게이와
34대
무라오카 가네조
35대
가지야마 세이로쿠
36대
마스오카 히로유키
37대
가지야마 세이로쿠
38대
가와라 츠토무
39대
오자토 사다토시
40대
시마무라 요시노부
41대
야마사키 타쿠
42대
무라오카 가네조
42대
무라오카 가네조
43대
호리 고스케
44대
고가 마코토
45대
오시마 다다모리
46대
나카가와 히데나오
47대
호소다 히로유키
48대
니카이 도시히로
49대
오시마 다다모리
50대
가와사키 지로
51대
아이사와 이치로
52대
기시다 후미오
53대
하마다 야스카즈
54대
가모시타 이치로
55대
사토 쓰토무
56대
다케시타 와타루
57대
모리야마 히로시
58대
다카기 쓰요시
59대
하마다 야스카즈
60대
사카모토 데쓰시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건설대신 (1948~2001)
초대
히토츠마츠 사다요시
임시대리
요시다 시게루
2·3대
마스타니 슈지
4대
마스다 가네시치
5대
스토 히데오
6대
노다 우이치
7대
사토 에이사쿠
8-9대
토츠카 쿠이치로
10대
오자와 사에키
11-12대
타케야마 유타로
13대
바바 모토하루
임시대리
이시바시 단잔
14-15대
난조 도쿠오
16대
네모토 류타로
17대
엔도 사부로
18대
무라카미 이사무
19대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20대
나카무라 우메키치
21-22대
고노 이치로
23-24대
코야마 오사노리
25대
세토야마 미츠오
26대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27-28대
니시무라 에이이치
29대
호리 시게루
30대
츠보카와 신조
31대
네모토 류타로
32대
니시무라 에이이치
33대
기무라 다케오
34대
가네마루 신
35대
가메오카 다카오
36대
오자와 타츠오
37대
카리야 타다오
임시대리
미키 다케오
38대
다케시타 노보루
39대
주마 다츠이
40대
하세가와 시로
41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42대
도카이 모토사부로
43대
와타나베 에이치
44대
사이토 시게요시
45대
오치 이헤이
46대
우츠미 히데오
47대
미즈노 기요시
48대
키베 요시아키
49대
에토 다카미
50대
아마노 고세이
51대
오치 이헤이
52대
오코노기 히코사부로
임시대리
다케시타 노보루
53대
노다 다케시
54대
하라다 쇼조
55대
와타누키 다미스케
56대
오츠카 유지
57대
야마사키 타쿠
58대
나카무라 기시로
59대
이가라시 고조
임시대리
하타 쓰토무
60대
모리모토 코지
61대
노사카 코겐
62대
모리 요시로
62대
나카오 에이치
63대
가메이 시즈카
64대
가와라 츠토무
65대
세키야 가쓰쓰구
67-68대
나카야마 마사아키
국토교통대신으로 계승
67-68대
나카야마 마사아키
69대
오기 치카게
}}}}}}}}}}}}

}}} ||
일본국 제57대 건설대신
일본국 제47대 방위청장관
<colbgcolor=#D7003A><colcolor=#ffffff> 일본국 제33-44대 중의원 의원
야마사키 타쿠
山崎拓 | Yamasaki Taku
파일:야마사키 타쿠.jpg
출생 1936년 11월 21일 ([age(1936-11-21)]세)
일본 제국 관동주 다롄시
(현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다롄시)
재임기간 제57대 건설대신
1991년 11월 5일 ~ 1992년 12월 12일
제47대 방위청 장관
1989년 6월 3일 ~ 1989년 8월 10일
내각관방부장관 (정무담당)
1984년 11월 1일 ~ 1985년 12월 28일
학력 후쿠오카 교육 대학 부속 후쿠오카 중학교 (졸업)
후쿠오카 현립 슈우칸 고등학교 (졸업)
와세다대학 (상학부 / 학사)
소속 정당

소속 파벌 근미래정치연구회 → 무파벌
지역구 후쿠오카 2구
의원 선수 12 (중)
의원 대수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약력 브리지스톤 직원
후쿠오카현의회 의원
내각관방부장관
자유민주당 부총재
자유민주당 간사장
자유민주당 정무조사회장
자유민주당 간사장
자유민주당 국회대책위원장
중의원 예산위원장
자민당 헌법조사특별고문
총리 보좌관
자민당 외교조사 회장
일북 국교 정상화 추진 의원 연맹 회장
일본 소프트볼 협회 회장
근미래정치연구회 최고 고문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대북 외교4. 소속 정당5. 선거 이력6. 여담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전직 정치인.

가토 고이치, 고이즈미 준이치로와 함께 YKK의 일각을 담당했으며, 고이즈미 내각에서 간사장과 부총재를 역임하며 고이즈미의 개혁 정책을 지원했다. 한 때 자민당 총재 후보로 불렸으나, 가토의 난 실패와 본인의 정치스캔들로 인해 몰락하여 결국 총리가 되지 못하고 정계 은퇴의 길을 걷고 말았다. 다만 은퇴 이후 근미래정치연구회 최고 고문에 임명되며 정치 원로로서는 대우받고 있다.

2. 생애

1936년 관동주 다롄시에서 만철조사부원으로 훗날 사가미여자대학장을 맡게 되는 야마사키 스스무의 아들로 태어났다. 야마사키가 태어나던 날 그의 외할아버지인 야마구치 케이하치가 후쿠오카현 미이케군에서 탄광 개발에 성공하여 사위에게 태어난 아이의 이름으로 개척의 개 () 자 대신 넓힐 척 () 자를 붙여 탄광 개발과 만주 개척을 기념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면서 가족 일가가 일본으로 돌아왔고 후쿠오카시에 정착해 그곳에서 자랐다. 소학교 3학년 때 사고로 왼쪽 눈을 다쳐 척안이 되었으며 후쿠오카 중학교, 슈유칸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와세다 대학교를 졸업한 뒤 타이어 제조업체 브리지스톤에서 5년간 일하고 후쿠오카현의 헤이와다이 야구장 앞에서 사오마이를 판매하는 매점을 경영하며 생계를 이어갔다. 이후 타이어 제조 업체인 브리지스톤에 입사해 근무했다.

1967년 후쿠오카현 의회 의원에 당선되며 처음으로 정계에 발을 들여 놓았고, 1969년 나카소네 야스히로의 추천으로 구 후쿠오카 1구에 보수계 무소속으로 입후보 하지만 낙선했고, 1972년에는 당선, 이후 자민당에 입당했다. 당시로서는 드문 비세습 국회의원이었다.

당선이후 방위전문 분야 의원인 방위족 의원으로 두각을 보였고, 1985년 나카소네 야스히로 총리가 서독 에서 G8 정상회담에 참석하기 위해 출국했을 때, 야마사키는 내각관방부장관 으로써 나카소네가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서기장, 마거릿 대처 영국 총리, 프랑수아 미테랑 프랑스 대통령, 헬무트 콜 독일 총리와 개별적으로 정상회담을 진행했을 때 회담 내용을 모두 기록한 뒤 중요한 내용을 간추려 기자단에 발표하는 역할을 맡았다. 이때 외무성 관료의 도움없이 나카소네의 의향을 헤아려 국제 여론을 리드하는 내용으로 브리핑하도록 신경썼다.

이후 방위청장관, 건설대신직을 역임하면서 정치적 체급을 높였고, 1990년부터 타케시타 노보루 전 총리를 중심으로 한 경세회 주도의 정치 운영을 비판하고 가토 고이치, 고이즈미 준이치로와 함께 YKK 트리오를 결성해 당내 개혁을 이끌었다.

1995년 하시모토 류타로 총재 시대에 자민당 정무조사회장으로 취임했고, 1998년 와타나베 미치오 전 재무대신의 파벌이었던 정책과학연구소 로부터 독립해, 근미래정치연구회 (야마사키파)를 결성한다.

1999년 자민당 총재선거에 출마에 총리자리를 노렸다. 비록 오부치 게이조에 밀려 낙선했으나 오부치 게이조, 가토 고이치에 이은 3위였고, 이 선거 이후 자민당 총재의 유력 후보로 주목된다.

하지만 이듬해인 2000년 자민당내 파벌을 둘러싸고 모리 요시로 총리 불신임안에 찬성표를 던졌다 실패한 일명 가토의 난으로 인해 분란을 이끌었던 굉지회 회장 가토 고이치와 함께 정치생명에 큰 위기가 닥쳤지만, 많은 이반자가 발생하여 파벌 자체가 분열했던 가토와 달리 야마사키는 이탈자가 많지 않아 정치적 영향력에 큰 타격을 받지 않았고, 자민당 내에서도 야마사키의 리더십을 높이 평가하여 복권에 성공하게 된다.

2001년 YKK의 일원 중 하나였던 고이즈미 준이치로의 내각이 성립하면서 자민당 간사장으로 발탁된다. 야마사키는 당내 기반이 약한 고이즈미를 반대파로 부터 지키는 역할과 외교 경험이 부족한 고이즈미의 보좌역으로 활약했다.

그가 자민당 간사장으로 활약하는 동안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 리처드 아미티지 미국 국무부장관, 노무현 대한민국 대통령과 회담을 가졌으며, 9.11 테러 당시 여3당 (자민당, 공명당, 보수당) 9.11 사건 긴급대책협의회의 좌장으로 자위대법 개정에 대해 협의하는 등 외교·안전보장 정책 분야에서도 활약했다.

이러한 활동으로 야마사키는 고이즈미의 후임 총재 및 차기 총리 후보로 물망에 올랐고 2003년 9월 자민당 부총재 자리에 오르게 되지만, 그해 11월 중의원 선거를 앞두고 자신의 애인이 주간지에 야마사키의 성추문 사실을 폭로하자 논란이 일어났고, 결국 선거에서 낙선하고 부총재 자리에서도 사임했다.[3]

낙선 이후 야마사키는 2004년 자민당 헌법조사특별고문 및 총리보좌관에 취임했다. 2005년 보궐선거에 당선되어 다시 의원직을 되찾았으며 우정민영화법안을 심의하는 특별위원회 간사가 되어 고이즈미 총리의 우정민영화를 지지했다. 하지만 우정 해산 이후 고이즈미와 조금씩 거리를 두게 된다.

같은해 자민당 안보조사회장으로 취임하며 한국, 중국과의 관계를 중요시 하는 지한~친중파 의원인 가토 고이치, 후쿠다 야스오, 고가 마코토와 친밀한 관계를 맺게된다. 2006년 고이즈미의 뒤를 이어 정권을 맡은 아베 신조와는 대북정책을 두고 자주 대립했다.

2007년 아베 내각이 퇴진하자 포스트 아베에 후쿠다 야스오를 지지했고, 이후 자민당 외교조사 회장직에 취임하면서 외교와 안보정책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후쿠다 내각에 이어 아소 내각에서도 재임되었지만,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가토 고이치와 함께 신당 창당을 준비하며 가메이 시즈카, 오자와 이치로 등과 회동을 가졌으나 신당 창당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2009년 45회 중원선에서 민주당이 압승하고 자민당이 대패하는 선거 상황 속에서 본인의 파벌인 근미래정치연구회 소속 의원들이 대거 낙선[4]하고 파벌 회장인 야마사키 본인도 낙선하는 등 당 내 세력이 크게 줄어들었지만[5] 파벌의 존속을 이유로 2012년까지 회장직을 맡았다.

2010년 제2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비례구 입후보를 희망하고 있었으나 정년제도에 의한 나이제한으로 공인되지 않았다. 동년 3월에는 국민신당 대표인 가메이 시즈카로부터 입당 및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 참여 조건을 요청 받았으나 야마사키 본인이 즉시 거절했고, 2012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불출마 및 정계은퇴를 표명했다.

이후 근미래정치연구회 회장직을 이시하라 노부테루에게 넘겨주었으며, 본인은 파벌 최고 고문직에 올랐다.

2016년 7월 YKK를 회고하는 자서전 YKK 비록을 출판했으며, 2개월 뒤 가토가 지병으로 사망하자 "가토의 난은 그것을 말리지 않았던 내가 나빴다. 미안하단 말밖에 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2021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오사카 10구 선거구에서 현역 의원이자 자민당 후보인 오쿠마 가즈히데가 입후보 했음에도 불구하고, 입헌민주당 쓰지모토 기요미 후보 지지를 표명했다.

야마사키는 유세현장에서 지역구는 쓰지모토, 비례구는 자민당에 투표해 달라며 오사카 지역민들의 일본유신회 견제를 호소했지만, 결과는 쓰지모토&오쿠마의 동반낙선(...) 이로 인해 당 규율 위반으로 당원권 정지 1년이라는 처분을 받는 일이 벌어졌다. [6]

이후 근미래정치연구회의 최고 고문을 파벌 해체 직전인 2024년까지 맡았다.

3. 대북 외교

야마사키는 한반도의 비핵화·납치 문제 해결에 의한 일북 국교 정상화를 자신의 가장 중요한 정치 과제의 하나로 여기고 있다. 북한에 대해서는 압력 일변도의 외교자세가 아닌 제재보다 대화를 중시하고 북한의 정부 관계자와도 자주 회담을 해왔다.

또한 2004년 4월 1일 히라사와 가쓰에이와 함께 중국을 극비로 방문해 일본인 납치 문제와 해결 관련해 북한 고위층과 직접 접촉을 시도했다. 하지만 이러한 야마사키의 행동은 대북 외교 루트를 일본 - 북한 간 루트로 일원화하고자 하는 정부의 외교 방침에 반하는 것이었기에 문제시되었고 일본인 납치 피해단체 등에서는 야마사키가 납치 문제를 정치적으로 이용한다고 비판했다.

2006년 고이즈미가 물러나고 아베가 후임 총리직에 유력시 되자 야마사키는 자민당 내 온건파인 후쿠다 야스오를 지지하며 아베를 견제했고 아베 내각의 대북 정책을 놓고 아베의 외교가 압력에 경도되어 있어 일본을 고립시키고 국익을 해친다고 비판했다. 아베가 총리직에서 물러나고 야마사키의 북일 정상화 추진을 비난하자 발언의 취소와 사과를 요구했으나 아베는 "대화 노선에서 납치 문제가 진전하지 않았던 것을 학습해 주었으면 한다"고 말해 발언의 철회와 사과를 거부했다.

2009년 3월 18일, 북한이 일본을 향한 미사일 발사 시험을 개시 하겠다고 발표하자 당시 일본 총리였던 아소 다로는 북한을 향해 미사일을 요격하겠다고 맞받아쳤다. 이에 대해 야마사키는 미사일 발사 시도를 저지하기 위해서는 대화밖에 없고, 국제사회와 보조를 맞춰 나가야 한다며 중국과 연계한 대화 노선을 실행할 것을 촉구했다.

4.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67 - 1972 정계 입문


1972 - 입당
정계은퇴

5.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지역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67 제6회 통일지방선거 후쿠오카현의회 사라베정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당선 (?위) 초선[7]
1969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후쿠오카 1구 46,929 (7.91%) 낙선 (7위)
1972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80,929 (11.64%) 당선 (4위) 초선
1976 제3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94,298 (11.86%) 재선
1979 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20,975 (14.62%) 당선 (3위) 3선
1980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44,513 (16.65%) 당선 (1위) 4선
1983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42,419 (16.51%) 당선 (3위) 5선
1986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88,279 (20.05%) 당선 (1위) 6선
1990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60,388 (15.51%) 당선 (3위) 7선
1993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60,585 (16.61%) 당선 (2위) 8선[8]
1996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후쿠오카 2구 98,095 (49.24%) 당선 (1위) 9선
2000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93,234 (44.88%) 10선
200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94,565 (44.02%) 낙선 (2위)
2005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보궐선거 96,174 (50.22%) 당선 (1위) 11선
2005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36,702 (52.35%) 12선
2009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03,270 (36.94%) 낙선 (2위)

6. 여담

  • 취미는 유도, 야구, 바둑, 소프트볼 이며, 후쿠오카 현지 사무소에서 자신의 이름을 딴 소프트볼팀을 결성해 정기적으로 경기를 치르고 있다.
  • 존경하는 인물은 제32대 총리대신이자 A급 전범으로 사형에 처해진 히로타 고키이다. 단, 그의 행보를 보았을때 극단 우파적 성향을 띄여서 존경하는 것이 아닌 야마사키의 모교인 슈우칸 고등학교의 대선배여서 존경하는 측면이 더 강하다.
  • 위에서도 서술 했듯이 외교적으로는 일본과 북한과의 관계를 비롯한 한국, 중국과의 관계를 중요시 하지만 안보적으로는 헌법9조 개정을 오랫동안 촉구하고 있다.

[A] 의원직 상실[A] 의원직 상실[3] 그러나 이 선거에서 야마사키를 꺾고 당선된 민주당 고가 준이치로 후보는 학력위조 의혹으로 민주당을 탈당했으며, 결국 의원직에 당선된지 1년도 안 돼서 사임하게 된다.[4] 선거 전 37명 -> 선거후 16명으로 크게 줄어들었다.[5] 이때 소속의원들의 격감으로 인한 재정난으로 파벌 사무실을 야마사키의 개인 사무실로 옮겨야 했을 정도로 상황이 열약했다.[6] 사실 야마사키가 쓰지모토를 지지한 이유는 쓰지모토가 주최한 정치 자금 규정법에 근거하는 정치 파티인 정치 활동 20년에, 감사와 비약의 모임 in 도쿄라는 파티에 참가한적이 있기 때문이다. # 이를 봤을때 이념적 성향보다 개인적 인연으로 지지한것에 더 가까운것이라고 볼 수 있겠다.[7] 1969.12.7 의원직 사퇴 (중의원 선거 출마)[8]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의 마지막 중선거구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