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3764><colcolor=#fff,#ddd> 전력 | 한국전력공사 · 한전KPS설비 · 한전KDN정보 · 한전MCS현장 · 한국전력기술설계 · 전력거래소시장 | |
화력 | 한국지역난방공사 · 한국남동발전 · 한국남부발전 · 한국동서발전 · 한국서부발전 · 한국중부발전 | ||
수력 · 원자력 | 한국수력원자력 ·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 한전원자력연료 · 한국원자력환경공단 | ||
화석연료 | 한국가스공사 · 한국가스기술공사 · 한국석유공사 · 한국석유관리원 · 대한석탄공사 | ||
에너지 일반 | 한국에너지공단 · 한국에너지재단 ·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 ||
광물 · 소재 | 한국광해광업공단 · 한국세라믹기술원 · 한국탄소산업진흥원 | ||
기획 · 정책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
안전 · 평가 | 한국전기안전공사 · 한국가스안전공사 · 한국제품안전관리원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
무역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무역안보관리원 · 한국무역보험공사 | ||
기타 | 한국디자인진흥원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 한국산업단지공단 · 강원랜드 |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4098><tablebgcolor=#004098> | 한국전력공사 그룹사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발전사 | |||||||
| | | | | | |||
그룹사 | ||||||||
| | | | | | |||
| | | ||||||
기타 | ||||||||
스포츠단 | ||||||||
,[1] 민영화했지만 그룹사로 분류한다. [2] 한일병원을 운영하고 있다. 그룹사로 분류한다., | }}}}}}}}} |
한전원자력연료 韓電原子力燃料 KEPCO NF | |
| |
정식 명칭 |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
한자 명칭 | 韓電原子力燃料 株式會社 |
영문 명칭 | KEPCO Nuclear Fuel Co.,Ltd. |
국가 |
|
설립일 | 1982년 11월 11일 |
설립목적 | 원자력연료 국산화 및 기술자립 상법 제317조 |
업종명 | 기타 기초무기화학물질 제조업 |
전신 | 한국핵연료주식회사 (1982년 11월 11일 ~ 1993년 4월 4일) 한국원전연료주식회사 (1993년 4월 5일 ~ 1999년 3월 14일) |
대표자 | 정창진 |
주무기관 | 산업통상자원부 |
모회사 | 한국전력공사 |
주요 주주 | 한국전력공사: 96.4% 한국원자력연구원: 3.6% |
기업 분류 | 기타공공기관 |
상장 여부 | 비상장기업 |
직원 수 | 1,170명(2023년 1분기 기준) |
자본금 | 931억 5,100만 0,000원(2022년 기준) |
매출액 | 3,044억 523만 9,336원(2022년 기준) |
영업이익 | 371억 5,004만 513원(2022년 기준) |
순이익 | 315억 829만 4,288원(2022년 기준) |
자산총액 | 9,494억 5,488만 4,470원 (2022년 기준) |
부채총액 | 4,902억 1,487만 2,946원(2022년 기준) |
자회사 | KNF파트너스 케이더블유뉴클리어콤포넌트 KNF Canada Energy Ltd. |
미션 | 안전하고 깨끗한 원자력 에너지로 인류의 풍요로운 미래를 만들어 갑니다. |
비전 | Global Leading Nuclear Energy Partner |
소재지 | 본사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989번길 242 (덕진동) TSA Plant -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 6로 8 (관평동) NSA Plant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산업단지로 5길 23 (정지리) 경주지사 - 경상북도 경주시 양정로 254, 2층 (동천동) |
관련 웹사이트 | |
한전원자력연료(주) 공식 홈페이지 | |
공식 SNS | |
| |
관련 전화번호 | |
대표전화: 042-868-1000 |
1. 개요
▲ 한전원자력연료(주) 공식 홍보영상 |
|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989번길 242 (덕진동)에 위치한 한전원자력연료(주) 본사 사옥 |
한국전력공사와 한국원자력연구원의 공동 투자로 설립되었으며, 지분은 한국전력공사가 96.4%, 한국원자력연구원이 3.6% 보유하고 있다.
2. 역대 사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한전원자력연료 역대 사장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초대 김선창 | 2대 한필순 | 3대 김동훈 | 4대 이창섭 | |
5대 임창생 | 6대 노윤래 | 7대 김덕지 | 8대 양창국 | |
9대 윤맹현 | 10대 이익환 | 11대 김기학 | 12대 이재희 | |
13대 정상봉 | 14대 최익수 | 15대 정창진 | }}}}}}}}} |
- 김선창 (1982~1983)
- 한필순 (1983~1990)
- 김동훈 (1990~1993)
- 이창섭 (1993~1996)
- 임창생 (1996~1998)
- 노윤래 (1998~2000)
- 김덕지 (2000~2003)
- 양창국 (2003~2006)
- 윤맹현 (2006~2008)
- 이익환 (2008~2009)
- 이종철 사장대행 (2009~2010)
- 김기학 (2010~2013)
- 이재희 (2014~2017)
- 정상봉 (2017~2021)
- 최익수 (2021~2024)
- 정창진 (2024~현재)
3. 사업
- 국내 원자력 발전소 전호기 안전해석
- 국내 원자력 발전소 전호기 노심설계
- 원자력발전소 안전해석 및 노심 설계 기술 연구
- 원자력연료의 설계·제조·가공
- 비연료 노심구성품의 설계·제조
- 원자력연료 엔지니어링 서비스
- 원자력연료 자원개발
- 방사성 오염물질 제염·감용 등 처리
- 증기발생기 전열관 설계·제조
- 상기와 관련된 기술개발 및 사업
4. 담당 분야
- 한국 및 UAE 원자력발전소의 안전해석을 담당한다. ECCS
- 한국 원자력발전소의 핵연료 설계 및 제조를 담당한다.
- 핵주기 공정기술을 개발하고, 화학플랜트[1]의 설계 및 건설도 한다.
- 안전해석 및 노심 설계에 필요한 해석코드를 개발한다.
- 핵연료를 UAE에 수출도 한다.
- 안전해석 및 핵연료 설계 기술, 안전성 평가 기술을 개발한다.
5. 사업분야
- 원자력발전소 안전해석
- 노심설계 코드 자력개발, 국산화
- 핵연료 설계 및 제조
- 경수로연료
- 중수로연료
- 핵주기 공정기술 자력개발, 플랜트 EPC[2]
- 노심 설계
- 핵연료 서비스
- 경수로 피복관 제조
- 전열관 제조 (합작)
- 기술연구[3]
6. 여담
한국핵연료주식회사 시절부터 2008년까지 사용한 로고.[4]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사용한 로고
사명이 여러번 변경되었다. 1982년 설립 당시 이름은 한국핵연료주식회사[5]. 연세가 좀 있으신 분들은 지금도 "핵주"라고 하시는 분들이 있다.[6] 1993년 북핵사태 이후 "한국원전연료"로 바꿨다가, 1999년에는 "한전원자력연료(영문 약칭은 KNF)"로 변경, 마지막으로 2010년대 초반 한전의 one KEPCO 정책[7]으로 영어 명칭까지 KEPCO Nuclear fuel(약칭은 KEPCO NF)로 변경하였다.
한국원자력연구원으로부터 파생된 회사이기 때문에 본사는 한국원자력연구원 내에 위치해있으며, 기타공공기관으로 분류되어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함께 한전원자력연료의 시설은 국가중요시설 가급에 해당한다.
7. 노동조합 현황
- 한전원자력연료노동조합: 전국전력산업노동조합연맹 소속
8. 관련 문서
- 핵연료
- 한국전력기술
- 한국원자력연구원
- 웨스팅하우스
핵연료 제조, 노심설계, 집합체 설계, 연료 설계, 안전해석 등 현재 회사에서 수행되는 거의 모든 기술을 웨스팅하우스에서 도입했다. WH형은 CE형과는 호환이 안 되지만 CE가 이미 망한 회사라.
9.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3764><colcolor=#fff,#ddd> 전력 | 한국전력공사 · 한전KPS설비 · 한전KDN정보 · 한전MCS현장 · 한국전력기술설계 · 전력거래소시장 | |
화력 | 한국지역난방공사 · 한국남동발전 · 한국남부발전 · 한국동서발전 · 한국서부발전 · 한국중부발전 | ||
수력 · 원자력 | 한국수력원자력 ·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 한전원자력연료 · 한국원자력환경공단 | ||
화석연료 | 한국가스공사 · 한국가스기술공사 · 한국석유공사 · 한국석유관리원 · 대한석탄공사 | ||
에너지 일반 | 한국에너지공단 · 한국에너지재단 ·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 ||
광물 · 소재 | 한국광해광업공단 · 한국세라믹기술원 · 한국탄소산업진흥원 | ||
기획 · 정책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
안전 · 평가 | 한국전기안전공사 · 한국가스안전공사 · 한국제품안전관리원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
무역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무역안보관리원 · 한국무역보험공사 | ||
기타 | 한국디자인진흥원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 한국산업단지공단 · 강원랜드 | ||
| }}}}}}}}} |
[1] KNF의 주 역무중 하나인 성형가공의 핵심(재변환, 정제)이 화학공정이다. 사실 핵주기공정의 대부분이 화학공정이긴 하다. 아닌 부분이 성형가공의 일부(소결체, 집합체)뿐이고.[2] 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의 약어로, 공장의 설계~구축(시운전 포함)의 업무를 말한다.[3] 기술 연구는 부서와 인력을 점차 줄여나가고 있다. 2017년 이후로 연구직 채용은 한 해에 1명 ~ 3명을 뽑는 등, 거의 중단된 상태이다. 부서와 인력을 점차 줄여나가는 것은 아님. 다만 채용이 적은 것 처럼 보이는 것은 이미 많은 수의 연구직을 몰아서 채용했기 때문. 김기학 사장 재임시, 연구직종 폐지를 위한 컨설팅을 추진한 바 있음.[4] 사명이 바뀔 때마다 옆의 로고타입만 바뀌었다.[5] 영어로는 Korea nuclear fuel company, 약칭은 KNFC)[6] 단, 원자력연구소 관계자가 "핵주"라고 부르는건 비하의 의미가 있어 KNF 사람들은 싫어한다. 사실 원자력연구소의 갑질과 견제로 원래 사이가 안 좋다. 갑질은 한수원이 훨씬 더한데?[7] 그 전까지 따로 놀던 한전 자회사들의 로고와 명칭을 모회사인 한전의 상징과 이름 아래 하나로 통합하는 정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