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ae1932>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가양대로 | 강남대로 | 강동대로 | 공항대로 | 과천대로 |
국회대로 | 김포대로 | 도산대로 | 동작대로 | ||
마포대로 | 반포대로 | 방화대로 | 사평대로 | 삼일대로 | |
서초대로 | 성남대로 | 세종대로 | 송파대로 | 시흥대로 | |
양재대로 | 여의대로 | 영동대로 | 위례대로 | ||
조정대로 | 천호대로 | 한강대로 | |||
한남대로 | |||||
서울특별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한남대로 漢南大路 | Hannam-daero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장충단로 (북) ← 다산로 (북) | 강남대로 (남) → | }}} | ||
← 도쿄 방면 경부간선도로 |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 카프쿨레 방면 → 삼일대로 | |||
← 우이 방면 장충단로 | 41번 서울특별시도 | 장지 방면 → 강남대로 | |||
노선 번호 | |||||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41번 서울특별시도 (안내용) 27번 서울특별시도 (관리용) 4905번 서울특별시도(관리용) | |||||
간체자 · 가타카나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간체자 | 汉南大路 | |||
가타카나 | ハンナムデロ | }}}}}}}}} | |||
기점 |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한남대교 북단 | |||||
종점 |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장충단로입구 | |||||
연장 | |||||
2.4km | |||||
개통 | |||||
1938. 9. 14. | 북한남삼거리 - 장충단로입구 | ||||
1938. 9. 22. | 한남대교북단 - 북한남삼거리 | ||||
관리 | |||||
서울특별시 서부도로사업소 | |||||
왕복 차로 수 | |||||
10-12차로 | |||||
주요 경유지 | |||||
한남대교 ↔ 한남오거리 ↔ 북한남삼거리 ↔ 장충단로입구 |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에 전 구간이 있는 도로로, 한남대교 북단에서부터 장충단로와 다산로로 나눠지는 지점까지 연결되는 도로이다. 전 구간이 41번 서울특별시도 구간이다.
2. 상세
한남대교 북단에서 강남대로와 직결된 후, 한남오거리, 한남제2고가차도를 지나 남산1호터널 쪽으로 삼일대로를 분기하고, 소월로랑 연결된 후 다산로와 장충단로로 연결된다. 장충단로로 41번 서울특별시도가 이어진다.한남대로는 서울의 강북과 강남을 잇는 중요한 도로이며, 한남대교를 거쳐 강남대로와 경부간선도로와 경부고속도로로 이어져 있다. 이런 중요도 때문에 라디오의 각종 교통정보 방송에서 자주 언급될 정도로 매우 중요한 도로다. 또한 과거 1970~80년대에 시위가 일어나면 옛 단국대학교 서울캠 및 미군기지가 위치하던 관계로 경찰관들이 더이상 시위가 퍼지지 않기 위해 고군분투를 하던 곳이기도 하다.
과거에는 강북 쪽에서 유일하게 경부고속도로를 통해서 지방으로 갈 수 있었던 길목이라 그런지 한남대교 북단에는 낚시 용품을 파는 가게가 많았다. 특히 토요일 밤만 되면 낚시 여행을 가는 사람들이 이곳에 단체로 와서 낚시 용품을 많이 사갔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호남 서해안 지방으로 가는 빠른 길목인 서해안고속도로와 영동 동해안 지방으로 가는 빠른 길목인 서울양양고속도로가 개통하면서 매출이 줄어 문을 닫거나 철수하는 가게가 생겼다. 지금은 나인원 한남이나 한남더힐, 유엔빌리지 등 고급 부촌이 즐비한 지역이 되었으니 상전벽해가 따로 없다.
3. 역사
1936년, 대경성계획에 의해 이태원동, 한남동, 보광동 등이 경성부에 편입되면서 이 지역을 새로운 택지지구로 개발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이 지역에 도로 확충이 시급한 계획으로 떠올랐다.이에 1936년에 이 지역에 대한 도시계획을 세우고 착공에 들어가 현재의 이태원로가 된 남산주회도로가 1938년에 개통되었고, 남산주회도로에서 한강 쪽으로 빠지는 용도의 도로인 현재의 한남대로와 서빙고로가 잇달아 함께 개통되었다.
1960년대만 해도 서울의 교외였던 이 지역은 강남이 개발되기 시작하며 도심에서 강남으로 통하는 중간 지역이 되었고, 한남동이 경부고속도로 사업의 출발점이 된다. 1962년에 이 일대 도로를 모두 정비할 때 한남대로도 현재의 폭으로 확장된 것으로 보이며, 1968년에 한남대교가 완공되며 그간 보조도로에 지나지 않았던 이 도로는 비로소 도심과 강남을 잇는 서울의 간선도로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1966년에 새 도로명을 정하면서 이 도로는 한남대로라는 이름이 붙어 현재에 이른다.
3.1. 주요 교차로 목록
배경색이 ■인 교차로는 입체교차로이다. |
강남대로 직결 (강남구, 서초구 방면) | ||||
강변북로 구리, 남양주 방면 | ← | 한남대교북단IC | → | 강변북로 파주, 고양, 일산 방면 |
독서당로 옥수동, 응봉동 방면 | ← | 한남오거리 (한남제2고가차도) | → | 독서당로 대사관로, 한남역 방면 |
↓ 한남제1고가차도 / 삼일대로 ↓ (남산1호터널, 종로2가 방면) | ||||
북한남삼거리 | → | 이태원로 이태원, 삼각지역 방면 | ||
→ | 소월로 남산도서관, 용산동2가 방면 | |||
다산로 약수역, 청구역 방면 | ← | [교] | → | 장충단로 국립극장, 동대입구역 방면 |
도로 끝 |
4. 연선 주요 시설
5. 대중교통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노선의 경우 다른 도로로의 연결을 위한 경유나 중간 진출입 등 다양한 노선이 운행하고 있지만, 경기도 이용자에 있어서 이 도로는 사실상 종로 진입을 위한 관문 역할.5.1.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서울 버스 140 - 한남대교북단~한남1고가차도 구간
- 서울 버스 110 - 한남오거리~북한남삼거리 구간
- 서울 버스 142 - 전 구간 운행
- 서울 버스 144 - 전 구간 운행
- 서울 버스 402 - 전 구간 운행, 소월로~도로종점 구간 양방향 운행
- 서울 버스 420 - 전 구간 운행
- 서울 버스 470 - 한남대교북단~한남1고가차도 구간
- 서울 버스 472 - 한남대교북단~한남1고가차도 구간
- 서울 버스 3011 - 한남대교북단~북한남삼거리 구간
- 서울 버스 6211 - 도로 종점~한남오거리 구간
- 서울 버스 9401 - 한남대교북단~한남1고가차도 구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