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1 23:23:47

한일은행 야구단

파일:attachment/hanilbank1967.jpg
1967년 10월 26일. 실업야구폐막회에서 한일은행 주장 김영덕이 김종민 야구협회 부회장으로 부터 우승기를 받고 있다.
파일:한일은행 CI(1960-1980).png
구단명 한일은행 야구단
모기업 한일은행
창단 1962년([age(1962-01-01)]주년)/1966년 ([age(1966-01-01)]주년)
해체 1964년([age(1964-01-01)]주년)/1997년 ([age(1997-01-01)]주년)
구단명 변천 한일은행 야구단(1962~1997)

1. 개요2. 해체3. 관련 인물

1. 개요

대한민국실업 야구단.

1962년 창단되었다가 1964년 다른 팀들이 해체되자 일시적으로 해체되었다. 첫 번째 해체 사유가 좀 황당한데 한일은행장 김진흥이 고교 시절 후배인 김충[1]이라는 선수를 후원해 줬는데 한일은행에서 촉탁 행원으로 있으면서 3년간 월급을 받으며 야구를 했다고 한다.

그런데 김충이 고교 졸업 후 선택한 야구단이 한일은행 야구단이 아니라 한국상업은행 야구단으로 결정되자 김진흥 행장이 빡돌아서 1964년에 해체해 버린 것(...) 어차피 수십 년 후에 그놈이 그놈 됐지만

첫 번째 해체 이후 잠잠하다 1966년 서동준[2]김응용을 한일은행장인 김진흥에게 소개해줬고, 김진흥이 "네가 여기 오면 다시 야구단 만들어 주마"라고 이야기해서 창단이 확정되었고(...) 1965년, 크라운맥주가 해체되자 그 선수들을 영입해 재창단했다. [3]

1978년, 현대건설에서 제일은행 야구단과 한일은행 야구단을 인수하려고 했고당시기사 실제로 현대건설 야구단의 선수단이 꾸려졌으나 한일은행 야구단에 비해 제일은행 야구단 선수들의 영입이 적자 제일은행 야구단의 반발로 결국 현대건설 창단 2개월 만에 원상 복귀되었다.
1977년 가을에 현대에서 나를 은밀하게 부르더니 우리팀과 제일은행을 합쳐 최강팀을 만들 수 있냐고 제의하길래 할 수 있다고 했지. 프로야구 창설을 목표로 한다고 해서 적극적으로 찬성했어. 그래서 제일은행 측과도 측과도 만나 협의했더니 좋다는 답변을 받아 니카라과 슈퍼월드컵 대회에 갔다 와서 바로 발표할 계획이었지. 현대에서 내가 니카라과에 간다고 하니까 두둑히 여비도 챙겨 주더라고.(중략) 니카라과 대회에서 우리가 세계 대회 처음으로 정상에 올라 좋은 기분으로 귀국했는데 글쎄 틀어지기 시작하는 거야. 제일은행 선수들 중 김우열 등 괜찮은 선수들만 받아들여야 할 처지였는데 제일은행 쪽에서 선수단 모두를 받아들여야 한다며 반발하고 그쪽 노조에서도 반대해 결국 파탄이 났어. 그 바람에 한일은행팀도 해체했다가 두 달 만에 회생되는 난리가 난 적이 있었지. 현대가 야구팀을 만들려는 계획은 수포로 돌아가 한동안 나도 난감해 혼났어." - 김응용 감독의 인터뷰 中

참고로 현대건설 야구단은 실업 야구가 아닌 세미 프로 구단을 준비하고 있었다.[4]

김응용이 1973년부터 1981년까지 감독으로 재임했던 팀이기도 하다. 감독직이었지만 실업 야구 특성상 오전에는 회사 업무를 했는데 이때 돈 세는 업무 담당이라 돈 세는 데는 도가 텄다고 김응용 감독이 농담 삼아 이야기하기도 했다.

2. 해체

1997년 외환위기가 터지면서 한일은행의 허리 졸라 매기에 의해 한일은행 축구단과 함께 해체가 되었다.

3. 관련 인물

프로야구 초창기를 대표하는 감독들 중 김영덕, 김응용, 배성서, 강병철, 김인식, 이광환이 모두 이 팀 출신이다. 프로야구 원년인 1982년부터 1997년까지 한국시리즈 우승감독들[5]은 1990년의 백인천을 빼면 모두 한일은행 출신이었을 정도. 그들의 뒷세대 감독들이라고 할 수 있는 우용득, 유승안, 김용철도 이 팀 출신이다. 사실상 김성근을 제외한 초창기 주요 감독들 대부분을 배출한 프로야구 지도자 팜. 거기에 KBO 총재인 허구연까지 배출하였다.

[1]SK 와이번스 2군 감독. 1945년생으로 프로야구 초기에 코치를 하기도 했다. 현장을 떠나기 직전인 2004년에는 프로야구 병풍 사건에도 연루된 적이 있으며 그 뒤 야구계를 떠났다. 한동안 감감 무소식이었지만 2008년에 세상을 떠났다.[2] 동산고청룡기 2연패 당시 에이스로 활약했던 투수로 졸업후 조운-해군-한운을 거쳐 1962년 한일은행 야구단 창단 멤버로 입단했다. 이후 한일은행 야구단에서 코치 생활을 하다 완전히 은퇴하고 한일은행 은행원으로써 일했으며 최초의 야구 해설가도 겸했다. 이후 지점장을 거쳐 꽤 높은 자리까지 올라가 금융업에서도 나름 성공했다.[3] #[4] 현대그룹은 1994년 현대 피닉스를 창단하여 한국프로야구행을 준비하던 대학교 졸업반 유망주들을 현질로 대거 스카우트해 오며 KBO 체제를 위기로 몰아가기도 했다.[5] 1985년은 삼성 라이온즈의 전기 후기리그 통합 우승으로 한국 시리즈가 열리지 않음. 당시 삼성의 감독은 김영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