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고대 | 중/근세 | 근현대 |
근대 | 현대 | ||||||||
헤자즈 | 오스만 튀르크 제국 | 사우드 왕조 | 알리 왕조 | 메카 샤리프 | 헤자즈 왕국 | 헤자즈 - 네지드 왕국 |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 ||
<colbgcolor=#000> 네지드 | 사우드 왕조 | 와하비 운동 | 네지드 토후국 | 라시드 (하일) (자발 샤마르) | |||||
바레인 쿠웨이트 | 나디르 샤 | 아부 샤흐르 | 칼리파 왕조 | <colbgcolor=#800080> 바레인 쿠웨이트 셰흐국 | 오스만 | 영국령 걸프 | 쿠웨이트 왕국 바레인 왕국 | ||
카타르 | 할리드 우트반 | 오스만 | 카타르 | ||||||
UAE | 토후 | 알 사이드 왕조 | 트루셜 스테이트 | 아랍 토후국 연합 | |||||
오만 | 나디르 샤 | 알 사이드 왕가 오만 술탄국 | |||||||
예멘 | 자이디 이맘 | 하심 왕조 | 오스만 | 무타와킬 왕국 | 북 예멘 | 예멘 공화국 | 최고정치위원회 | ||
라헤즈 | 영국령 아덴 | 남아라비아 | 남예멘 | 대통령지도위원회 | |||||
알루아키 술탄 | |||||||||
※ 연두색은 아랍계 왕조, 조금 진한 초록색은 시아파나 하심 가문 왕조, 연한 빨강은 토착 예멘계 왕조 |
<colbgcolor=#536349>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국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관련 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국 | |
<colbgcolor=#002664> 협상국 | ||
유럽 | | |
아시아 | | |
북아메리카 | | |
남아메리카 | | |
아프리카 | | |
오세아니아 | | |
동맹국 | ||
유럽 | | |
아시아 | | |
아프리카 | | |
주요 국가 + 괴뢰국 · 종속국 | }}}}}}}}} |
헤자즈 하심 왕국 المملكة الحجازية الهاشمية Al-Mamlakah al-Ḥijāzyah Al-Hāshimīyah | |||
| | ||
국기 | 국장 | ||
| |||
1916년 6월 10일 ~ 1925년 12월 19일 | |||
성립 이전 | 멸망 이후 | ||
오스만령 헤자즈 | 샤리프 칼리파국 | ||
헤자즈-네지드 왕국 | |||
<colbgcolor=#007A3D> 수도 | 메카(1916~1924) 제다 (1924~1925) | ||
정치체제 | 전제군주제 | ||
국왕 | 후세인 빈 알리 (1916~1924) 알리 빈 후세인 (1924~1925) | ||
공용어 | 아랍어 | ||
종교 | 수니파 | ||
통화 | 헤자지 리얄 |
[clearfix]
1. 개요
오늘날 사우디아라비아 서부 히자즈 지역에 있었던 왕국.2. 역사
1916년, 메카의 태수였던 하심 가문의 후세인 빈 알리 (샤리프 후세인)가 토착 군대와 영국과 손잡고 아랍 반란을 성공시키면서 오스만 튀르크를 몰아내고 세웠다. 1924년 3월 오스만 제국의 칼리프 제도가 폐지되자, 후세인 빈 알리는 스스로 칼리프임을 선포한다. 이른바 샤리프 칼리파국이라고 하는데 국제적 인정은 받지 못했다.그러다가 같은 해 10월, 후세인의 칼리프 참칭을 빌미로 이븐 사우드(사우디아라비아 왕실 사우드 왕조의 시조)가 침략해왔고, 패색이 짙어지자 장남인 알리 빈 후세인에게 양위한다.[1]
하지만 이듬해 결국 사우디아라비아에 정복당하면서 헤자즈 왕국은 멸망하고, 헤자즈 왕실은 각각 요르단과 이라크로 도피했다.
헤자즈 지역을 정벌한 네지드 토후국은 1926년 헤자즈-네지드 술탄국으로 개편했다가 두 왕위를 1932년 통합하여 현대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을 수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