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스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1. 개요2. 아이덴티티: 실버호크 소환3. 범용 스킬
3.1. 일반 스킬
4. 각성기 / 초각성기5. 삭제된 스킬3.1.1. 래피드 샷3.1.2. 아토믹 애로우3.1.3. 호크 샷3.1.4. 애로우 해일3.1.5. 애로우 샤워3.1.6. 이동 베기3.1.7. 블레이드 스톰3.1.8. 크레모아 지뢰3.1.9. 차징 샷3.1.10. 일제 사격3.1.11. 샤프 슈터3.1.12. 집요한 추적3.1.13. DM-423.1.14. 회피 사격3.1.15. 급소 베기3.1.16. 연막 화살3.1.17. 그림자 화살3.1.18. 스나이프
3.2. 초각성 스킬3.3. 기본 회피 스킬3.3.1. 슬라이딩
1. 개요
로스트아크의 직업 호크아이의 스킬들을 정리한 문서.2. 아이덴티티: 실버호크 소환
호크 게이지는 전투 중에 서서히 충전되고 호크 게이지를 모두 충전하면 실버호크를 소환할 수 있습니다. 실버호크는 주위의 적을 자동으로 공격[1]하며 실버호크 전용 스킬을 사용해 다양한 적의 공격에 대처할 수 있습니다. 실버호크와 함께하는 전투는 장기전에서 유리한 상황을 만들어줍니다.
아이덴티티 게이지인 호크 게이지가 다 쌓였을 때 Z키를 누르면 실버호크가 소환된다. 실버호크는 자동으로 근처의 적을 공격하며(실버호크 평타)[2] 소환 중에 시전자 자신을 포함한 파티원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키는 버프를 부여한다.
두 번째 동료 스타일을 사용하면 이동 속도 증가 수치가 추가 증가하며, 호크 아이 자신의 피해량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공격 대상에게는 호크아이 자신에게 받는 피해량이 증가하는 디버프를 부여한다.
죽음의 습격 스타일은 최후의 습격을 사용하기 위해 잠시 불러내는 용도로 사용한다. 이후 실버호크 강습 노드를 찍으면 기존 실버호크 관련 스킬이 전부 잠기기 때문에 소환할 수 없게된다.
- 호크아이 전용 특화 특성 효과
- 호크게이지 자연 회복량이 n% 증가합니다(변경).[3]
- 실버호크 스킬의 피해량이 n% 증가합니다.[4]
- 실버호크가 소환되어 있을 때 스킬의 피해량이 증가합니다(추가).[5]
- 각성 스킬의 피해량이 n% 증가합니다.
2.1. 폭풍의 날개(Z)
- 재사용 대기 시간: 10초
- 호크 게이지 소모량: 없음
- 슈퍼 아머: 없음
- 무력화: 하
실버호크 소환 중에만 사용가능한 두동 호크 운영의 핵심 스킬이다. 기본 쿨타임이 짧고 중복 시전이 가능해서 아드레날린 스택 관리에 큰 도움이 되는데다 고특화 세팅으로 갈수록 폭풍의 날개 위력 자체가 증가하여 짤딜 스킬인 애로우 해일이나 샤프슈터 이상의 DPS를 뽑는 주력기가 된다. 또한 이것도 실버호크 스킬 판정이기 때문에 두동 깨달음 3노드의 폭풍의 표적 디버프를 묻힐 수 있다.
마우스 커서 위치를 중심으로 넓은 범위에 피해를 입히며 다른 행동 중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두동 호크면 특화빨 보정을 받는데다 멀티 공격도 가능하니 반드시 쿨타임마다 사용해주자. 깨달음 4노드 폭풍의 사냥꾼을 찍으면 사용 시마다 8초간 자체 피해량 증가 버프도 받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6]
쿨타임이 짧고 공격 범위도 넓어서 잡몹 처리에도 매우 유용하다. 카던에서 서리매 찍은 호크샷과 폭풍의 날개만 계속 써도 잡몹이 믹서기에 들어간것마냥 갈리는걸 볼 수 있다.
죽음의 습격 스타일의 경우 강습을 배우기 이전에만 사용한다. 두동과 달리 아무런 보정을 못 받기 때문에 대미지는 기대할 수 없고 보통 최후의 습격을 쓰기 직전에 한 번 써서 아드레날린 스택을 유지하는게 주 목적.
2.2. 최후의 습격(X)
- 재사용 대기 시간: 없음
- 무력화: 중상
- 호크 게이지 소모량 : 100%(실제 50%)[7]
- 슈퍼 아머: 피격이상 면역
사용하면 게이지를 전부 소모하면서 실버호크가 탄환이 되어 커서 쭉 날아가며 피격된 적에게 폭발하며 높은 피해를 입힌다. 호크게이지를 전부 소모하기 때문에 사용과 동시에 실버호크 소환 상태가 해제된다. 호크 게이지를 전부 소모해서 그러는지 순수 무자원 스킬인 폭풍의 날개보다 자체 피해량이 높다. 참고로 재사용 대기 시간이 없지만 스킬 사용으로 판정하는지 아드레날린 스택이 올라간다.
시즌2 시절에는 죽음의 습격 직업 각인 전용 스킬이었으나 시즌3 기준 두 스타일 공통으로 쓰는 스킬로 개편되었다. 물론 사용 빈도나 중요도는 여전히 죽음의 습격 스타일이 더 높다.
죽음의 습격 스타일은 이 스킬로 적에게 피해를 주면 대상에게 8초간 추가 피해를 입힐 수 있는 디버프 효과를 부여한다. 또한 깨달음 스타일 특징상 실버호크 소환 해제 중에만 각종 깨달음 노드 효과 및 트포 효과를 받기 때문에 반드시 최후의 습격을 먼저 사용해서 디버프를 묻힘과 동시에 실버호크 소환 상태를 풀어야 한다. 디버프를 묻히고 호크 게이지를 다시 채우는 동시에[8] 주력기를 써서 딜뻥을 시킨다음 게이지가 차면 다시 소환해서 또 던지는게 주 운용법.
두 번째 동료 스타일은 극특화 세팅에 한해 애로우 해일을 대체하는 보조 스킬로 채용한다. 애로우 해일 대신 블레이드 스톰을 채용하고 사용 즉시 호크게이지를 다시 채워서 실버호크를 재소환하는 개편 이전 쌍직각 호크와 유사한 운용 방식을 갖게 된다.
2.3. 실버호크 강습(Z)
- 재사용 대기 시간: 없음
- 무력화: 중상
- 호크 게이지 소모량 : 100%(실제 50%)
- 슈퍼 아머: 없음
죽음의 습격 깨달음 스타일의 4노드 실버호크 강습을 찍으면 기존의 실버호크 아덴기가 전부 잠기는 대신 사용가능해지는 전용 스킬.
최후의 습격 강화판같지만 실제로는 폭풍의 날개와 최후의 습격의 특징을 어느정도 합친 신규 스킬에 가깝다. 아덴 소모 방식과 공격이 나가는 방식은 최후의 습격과 유사하며, 선딜이 없고 무빙샷이 가능하다는 점은 폭풍의 날개 특징과 유사하다. 즉 폭풍의 날개처럼 사용하지만 탄환으로 매폭이 나가는 스킬이라 보면 된다.
강습을 배우면 실버호크 소환이라는 개념이 아예 사라지고 아덴을 소모해 매폭을 탄환으로 쏘는 방식이 되므로 기존에 실수로 매폭을 안 던져서 실버호크 해제 버프를 못 받는 상황이 생기지 않으며 폭풍의 날개처럼 다른 행동 중에도 사용이 가능해서 아덴만 있으면 이동 중에도, 스나이프를 시전 중에도 사용이 가능해져 편의성이 크게 증가한다. 다만 강습은 폭풍의 날개처럼 슈퍼아머가 전무한데 피면이 있던 기존 매폭까지 아예 잠기다보니 강습을 배우는 순간부터 죽습 호크는 피면이 스페 말고는 없는 클래스가 되어버린다.
3. 범용 스킬
3.1. 일반 스킬
3.1.1. 래피드 샷
- 스킬 모션[ 펼치기 · 접기 ]
| 일반 | 습득레벨 | 10 | 재사용 대기시간 | 5초 |
부가 효과 | |||||
무력화 | 공격 타입 | 슈퍼아머 | 부위 파괴 | ||
- | - | - | - | ||
활을 조준한 뒤 연속으로 3개의 화살을 쏘아 각 X, X, X의 피해를 주며 적중한 대상을 밀어낸다. |
레벨별 스킬 정보 | 마나 소모량 | |
1 | 활을 조준한 뒤 연속으로 3개의 화살을 쏘아 각 43, 43, 130의 피해를 준다. | 41 |
4 | 활을 조준한 뒤 연속으로 3개의 화살을 쏘아 각 114, 114, 345의 피해를 준다. | 81 |
7 | 활을 조준한 뒤 연속으로 3개의 화살을 쏘아 각 147, 147, 445의 피해를 준다. | 147 |
10 | 활을 조준한 뒤 연속으로 3개의 화살을 쏘아 각 170, 170, 508의 피해를 준다. | 211 |
트라이포드 | |
1티어 | |
피해 증폭(1/1) | 공격 적중 시 대상이 자신 및 파티원에게 받는 피해가 8.0초간 6.0% 증가한다. |
마력 조절(1/5) | 마나 소모량이 50.0/67.0% 감소한다. |
추적 사격(1/1) | 전방 90도 내에 있는 가장 가까운 적에게 자동으로 선회하며 발사한다. |
2티어 | |
더블 샷(1/5) | 한번에 두발 씩 발사하여 적에게 주는 피해가 30.0/60.0% 증가한다. |
쇼크 샷(1/5) | [뇌] 속성으로 변경되며, 적중된 적을 3.0초간 전격 상태로 만들어 매초마다 x의 피해를 준다. |
가벼운 발걸음(1/5) | 스킬을 사용하고 3.0/4.0초간 이동속도가 20.0/30.0% 증가한다. |
3티어 | |
마지막 일격(1/5) | 마지막 일격이 강력한 공격으로 변경되어 치명타 적중률이 100.0% 증가하고, 치명타 피해가 0.0/58.0% 증가하며, 폭이 20.0% 늘어난다. |
지속 사격(1/1) | 화살을 쏘는 횟수가 3회에서 5회로 증가한다. |
같은 시너지 기술인 아토믹 애로우와 비교할 경우, 아토믹 애로우처럼 무력화와 부위 파괴에 보탬이 되지 못하는 대신 빠른 투사체라 명중률이 높아서 시너지 유지에 더 뛰어나다. 자체 쿨타임도 매우 짧아서 아드레날린 각인이나 엘릭서 달인옵 스택 펌핑 및 유지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후딜이 길다는 시너지 스킬로서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차라리 기본은 1~2발 쏘고 여러 발의 사격이 필요할 때만 트포로 늘리면 되는걸 기본 상태부터 여러 발을 쏴서 쓸데없이 후딜만 늘리는 출시 이후 한 번도 개편되지 않은 낡아빠진 방식을 갖고 있다. 이전부터 래피드 샷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여럿 있었지만 보편화 되지 않은 이유가 긴 스킬 후딜과 겨우 4초 밖에 안 되는 이속 버프 시간 때문이다. 반드시 개편이 필요한 부분.
3.1.2. 아토믹 애로우
- 스킬 모션[ 펼치기 · 접기 ]
| 일반 | 습득레벨 | 10 | 재사용 대기시간 | 9초 |
부가 효과 | |||||
무력화 | 공격 타입 | 슈퍼아머 | 부위 파괴 | ||
중 | - | - | 레벨 1 | ||
활을 조준한 뒤 폭발하는 화살을 날려보내, 적중 시 X의 피해를 주고, 2초 뒤 폭발하여 X의 피해를 주고 넘어뜨린다. |
레벨별 스킬 정보 | 마나 소모량 | |
1 | 활을 조준한 뒤 폭발하는 화살을 날려보내, 적중 시 36의 피해를 주고, 2초 뒤 폭발하여 269의 피해를 주고 넘어뜨린다. | 57 |
4 | 활을 조준한 뒤 폭발하는 화살을 날려보내, 적중 시 96의 피해를 주고, 2초 뒤 폭발하여 714의 피해를 주고 넘어뜨린다. | 113 |
7 | 활을 조준한 뒤 폭발하는 화살을 날려보내, 적중 시 124의 피해를 주고, 2초 뒤 폭발하여 920의 피해를 주고 넘어뜨린다. | 206 |
10 | 활을 조준한 뒤 폭발하는 화살을 날려보내, 적중 시 142의 피해를 주고, 2초 뒤 폭발하여 1052의 피해를 주고 넘어뜨린다. | 296 |
트라이포드 | |
1티어 | |
마력 조절(5/5) | 마나 소모량이 50.0/53.0/57.0/62.0/67.0% 감소한다. |
재빠른 손놀림(5/5) | 공격속도가 15.0/18.0/21.0/24.0/27.0% 증가한다. |
피해 증폭(1/1) | 폭발 공격 적중 시 대상이 자신 및 파티원에게 받는 피해가 8.0초간 6.0% 증가한다. |
2티어 | |
무거운 폭탄(5/5) | 화살에 적중 된 적의 이동속도를 폭발 전까지 50.0/54.5/59.0/64.0/69.0% 감소시킨다. |
불꽃 화약(5/5) | 폭발에 적중 된 적에게 6.0초간 화상을 걸어 매 초마다 20/45/70/96/124의 피해를 입힌다. |
화살촉 강화(5/5) | 폭발의 치명타 적중률이 30.0/37.5/45.0/52.5/60.0% 증가한다. 전격 화살 적용 시 감전의 지속시간이 50.0% 증가한다. |
3티어 | |
전격 화살(5/5) | [뇌] 속성으로 변경되고, 더 이상 폭발에 적중된 적을 넘어트리지 않지만, 아토믹 애로우의 비행속도가 50.0% 증가하고, 폭발시간이 2.0초에서 1.0초로 짧아지고, 폭발 시 2.0초간 감전 상태로 만든다. |
긴 도화선(5/5) | 폭발 시간이 2.0초에서 3.0초로 증가하고, 적에게 주는 피해가 75.0/85.0/95.0/105.0/116.0% 증가한다. |
같은 시너지 스킬인 래피드 샷과 비교하는 경우, 느린 투사체고 쿨타임이 더 길어서 시너지 및 아드 스택 유지가 불안정한 대신[9] 무력화와 부위 파괴도 달고 있어서,[10] 높은 범용성을 갖고 있다. 시너지 스킬이라 쿨타임도 적당히 짧은데 기믹 수행에도 보탬이 되고 후술할 공격 방식 때문에 스킬룬 궁합도 좋은 만능형 스킬. 덕분에 래피드 샷을 밀어내고 주력 시너지 스킬로 활용된다.
대미지가 적중 시와 폭발 시로 나뉘어서 들어가는 방식을 갖고 있는데 폭발 시에도 공격 판정이 적용되기에 피증 시너지가 갱신되며 스킬룬 효과도 다시 적용된다. 때문에 스킬룬은 대부분 출혈룬/중독룬으로 끼워주는데 해당 룬들은 6초간 도트딜이나 아토믹 애로우가 적중 시 적중 > 3초 뒤 폭발하면서 갱신된다. 아토믹 애로우 쿨타임이 9초인걸 감안하면 사실상 출혈룬/중독룬의 무한정 지속이 가능해 높은 효율을 뽑을 수 있다. 3막 3관같은 장기전이면 중독룬만으로도 2~3%의 딜지분을 갖기도 한다.
PVP에서는 전격 화살을 찍어서 원거리 선타 용도로 쓰며 같은 역할을 하는 그림자 화살과 경쟁하는 스킬이다. 그림자 화살처럼 추적 기능이 없고 암흑을 걸 수도 없지만 일단 맞추면 확실한 CC가 가능하기에 스나이프나 스파이럴 애로우 등으로 연계하기도 좋다.
- 추천 트라이포드
- 레이드: [피해 증폭 - 자유[11] - 긴 도화선]
- PVP: [재빠른 손놀림 - 무거운 폭탄 or 화살촉 강화 - 전격 화살]
-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 2022년 4월 27일 패치로 부위 파괴 1레벨이 추가되었다. 이로서 호크아이는 부위 파괴 스킬이 하나가 더 생기게 되었다.
2023년 1월 18일 밸런스 패치로 '피해 증가' 효과가 폭발이 아닌 화살 적중 시 즉시 적용되도록 수정되었다. 덕분에 '긴 도화선' 트포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참고로 예전에는 화살을 맞추더라도 추가로 폭발해야만 피해 증가 효과가 들어갔다.
24년 10월 패치로 전격 화살의 도트댐이 삭제되고 불꽃 화약 트포에 통합되었다.
3.1.3. 호크 샷
| 일반 | 습득레벨 | 40 | 재사용 대기시간 | 20초 |
부가 효과 | |||||
무력화 | 공격 타입 | 슈퍼아머 | 부위 파괴 | ||
하 | - | 경직 면역[PVE] | 1레벨 | ||
거대화한 활에 실버 호크의 기운을 담아 강력한 매의 기운을 날려보내 X의 피해를 주고 넘어뜨린다. |
레벨별 스킬 정보 | 마나 소모량 | |
1 | 거대화한 활에 실버 호크의 기운을 담아 강력한 매의 기운을 날려보내 X의 피해를 주고 넘어뜨린다. | 91 |
4 | 거대화한 활에 실버 호크의 기운을 담아 강력한 매의 기운을 날려보내 X의 피해를 주고 넘어뜨린다. | 179 |
7 | 거대화한 활에 실버 호크의 기운을 담아 강력한 매의 기운을 날려보내 X의 피해를 주고 넘어뜨린다. | 326 |
10 | 거대화한 활에 실버 호크의 기운을 담아 강력한 매의 기운을 날려보내 X의 피해를 주고 넘어뜨린다. | 469 |
트라이포드 | |
1티어 | |
마력 조절(5/5) | 마나 소모량이 50.0/53.0/56.0/59.0/62.0% 감소한다. |
실버 마스터(5/5) | 발사한 매가 직접 타격한 경우 호크 게이지가 130/140/160/180/200 회복된다. |
재빠른 손놀림(5/5) | 공격 속도가 15.0.0/18.0/21.0/24.0/27.0% 증가한다. |
2티어 | |
붉은매(5/5) | [화] 속성으로 변경되며 수리매의 기운이 발사되어 더 이상 적을 관통하지 않지만 적중 시 큰 폭발을 일으켜 적에게 주는 피해가 30.0/37.0/44.0/52.0/60.0% 증가한다. |
수리매(5/5) | 치명타 적중률이 15.0/21.0/27.0/33.0/40.0% 증가하고, 치명타 피해량이 60.0% 증가한다. |
서리매(5/5) | [수] 속성으로 변경되며 지나간 자리에 얼음 지대를 생성하며 5.0초간 매 초마다 적에게 공격을 가하여 최대 30.0/37.0/44.0/52.0/60.0%의 피해를 준다. 적을 더 이상 넘어뜨리지 않지만 얼음 지대에 피해를 받은 대상은 3.0초간 이동 속도가 30.0% 느려지는 냉기 상태가 되고, 5회 중첩 시 3.0초간(PVP 1.5초) 동결 상태가 된다. 시드 등급 이하 몬스터에게 주는 피해가 50.0% 증가한다. |
3티어 | |
단독 전술(5/5) | 실버 호크가 소환되어 있지 않을 때, 사정거리가 50.0%초 감소하지만 스스로 더 거대화된 기운을 추가로 모아 타격 범위가 20.0% 커지고, 치명타 피해가 160.0/180.0/200.0/220.0/240.0% 증가한다. |
협동 전술(5/5) | 실버 호크가 소환되어 있을 때 매의 기운이 하나 더 추가되어, 한 마리의 매가 추가로 발사된다. 추가로 발사된 매는 기본 피해량의 65.0/73.4/81.8/91.0/100.1%에 해당하는 추가 피해를 준다. |
두동이든 죽습이든 상관없이 스나이프와 함께 필수 채용하는 최주력기. 대미지도 스나이프 다음으로 높고 사거리가 긴데다 아덴까지 많이 수급할 수 있다. 2단계 트라이포드의 존재로 카던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등 만능 스킬.
'실버 마스터' 트포의 경우 매를 직접 맞춰야만 호크 게이지 회복이 되니 주의하자. 투사체 속도가 빠르고 사거리도 긴 편이긴하나 빗나가면 손실이 크다. 호크아이 특징상 호크 샷의 아덴 수급량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기에 더더욱.[13]
여담으로 두동 호크의 경우 '협동 전술' 트포로 매가 2마리 날아가는데 판정이 각각 적용되므로 아덴 수급, 무력화, 부위 파괴같은 스킬의 모든 실질적인 효과가 2배로 뛴다.
- 추천 트라이포드
- 카오스 던전/쿠르잔 전선: [자유 - 서리매 - 단독 전술 or 협동 전술]
- 레이드(두동): [자유[14] - 수리매 - 협동 전술]
- 레이드(죽습): [실버 마스터 - 붉은 매 - 단독 전술]
- PVP: [재빠른 손놀림 - 자유 - 단독 전술]
-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 2023년 1월 초 테스트 서버에서는 매가 날아가는 이펙트 투사체가 느릿느릿한데다 흔한 경직 면역도 없어서 매우 혹평을 받았으나, 이를 반영해서인지 1월 18일 본섭에서는 투사체 속도 향상과 딜레이 감소, PVE 한정 경직 면역 등이 추가되었다.
2023년 5월 17일 밸런스 패치에서 풍요룬을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실버 마스터' 트포의 아덴 회복이 지속 시간 회복이 아닌 즉시 회복으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8일 밸런스 패치에서는 오버 치적에 고점이 낮다는 문제가 있던 '수리매' 트포의 치적이 60%에서 40%로 감소한대신 치피증 60%가 추가 되어서 치적 불균형이 해결되고 안정적인 치명타로 경쟁력이 생기게 되었다.
2025년 2월 26일 밸런스 패치에서는 부위 파괴 1레벨이 부여됨으로써 호크아이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순간 부위 파괴(특히 두동) 문제가 크게 완화되었다.
3.1.4. 애로우 해일
- 스킬 모션[ 펼치기 · 접기 ]
| 일반 | 습득레벨 | 10 | 재사용 대기시간 | 12초 |
부가 효과 | |||||
무력화 | 공격 타입 | 슈퍼아머 | 부위 파괴 | ||
- | - | - | - | ||
마우스 방향으로 회오리 화살을 날려 주기적으로 X의 피해를 준다. 회오리 화살은 동일한 대상을 최대 4회까지 타격할 수 있다. |
레벨별 스킬 정보 | 마나 소모량 | |
1 | 마우스 방향으로 회오리 화살을 날려 주기적으로 96의 피해를 준다. 회오리 화살은 동일한 대상을 최대 4회까지 타격할 수 있다. | 67 |
4 | 마우스 방향으로 회오리 화살을 날려 주기적으로 256의 피해를 준다. 회오리 화살은 동일한 대상을 최대 4회까지 타격할 수 있다. | 134 |
7 | 마우스 방향으로 회오리 화살을 날려 주기적으로 330의 피해를 준다. 회오리 화살은 동일한 대상을 최대 4회까지 타격할 수 있다. | 243 |
10 | 마우스 방향으로 회오리 화살을 날려 주기적으로 378의 피해를 준다. 회오리 화살은 동일한 대상을 최대 4회까지 타격할 수 있다. | 349 |
트라이포드 | |
1티어 | |
강화된 화살(5/5) | 화살이 더욱 강력하게 회전하여 치명타 적중률이 15.0/21.0/27.0/33.0/40.0% 증가한다. |
블리자드(5/5) | [수] 속성으로 변경되며, 피해를 입은 적에게 5.0초간 이동 속도를 20.0/22.4/24.8/27.4/30.0% 느리게하는 냉기 상태를 건다. 냉기 상태가 3번 중첩 되면 적을 3.0초 동안 동결 시킨다. |
헬파이어(5/5) | [화] 속성으로 변경되며 적에게 주는 피해가 5.0/11.0/17.0/23.0/30.0% 증가한다. |
2티어 | |
저속 탄환(5/5) | 회오리가 날아가는 속도가 감소하여 적을 타격하는 횟수가 1회 증가한다. 웨이브 해일 적용 시 타격 횟수가 증가하지 않지만, 적에게 주는 피해가 50.0/57.0/64.0/72.0/80.0% 증가한다. |
재빠른 발사(5/5) | 빠르게 바람을 빨아들이며 뒤로 2.0m 이동해서 발사하여, 공격 속도가 20.0%, 치명타 피해가 60.0/75.0/90.0/105.0/120.0% 증가한다. |
거대 회오리(5/5) | 회오리의 폭이 20.0% 증가하고, 실버호크가 소환되어 있을 때 적에게 주는 피해가 70.0/78.4/86.8/95.9/105.0% 증가한다. |
3티어 | |
웨이브 해일(5/5) | 재사용 대기시간이 8.0초 증가하지만, 전방 직선 범위를 빠르게 3회 타격하는 회오리 공격으로 변경되며 적에게 주는 피해가 200.0/215.0/230.0/245.0/260.0% 증가한다. |
멀티 해일(1/1) | 발사 후 회오리가 일정 시간이 지나면 분리되어 최대 4개의 회오리가 적을 공격한다. |
대미지 자체는 쿨타임 대비 무난하지만 다른 서브 스킬 중에서는 비교적 낮다. 게다가 자체의 선딜이 꽤 긴 편이라 질풍룬이 강제되고 슈퍼 아머가 전무하기 때문에 끊길 위험도 높다는 점이 마이너스 요소. 그러다보니 국민 트리가 아닌 고점형 스킬 트리를 따로 짜는 경우 다른 스킬 채용을 위해 주로 빼는게 이 스킬이라 볼 수 있다.
트라이포드는 카던&레이드 모두 [강화된 화살 or 헬파이어 - 저속 탄환(죽습)/거대 회오리(두동) - 웨이브 해일]로 찍어준다. 1트포의 경우 두동은 강화된 화살을, 죽습은 헬파이어를 찍어주자.
-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 2021년 4월 14일 밸런스 패치 이후 사냥이든 레이드든 꼭 채용하는 주력 딜링기로 격상했다.
2023년 1월 18일 밸런스 패치에서 거대 회오리 트포의 성능이 조건부로 최대 14.6% 증가된 대신 기본 PVE 피해량이 14.6% 감소되었다.그리고 죽습은 멸망했다
2023년 5월 17일 밸런스 패치에선 '헬파이어' 트포에 최대 30%까지의 딜증 수치가 추가되는 상향을 받았다. 두동도 자체 치적 60% 언저리 이상이면 헬파이어 쪽의 효율이 좋다. 이 이후로는 이 스킬을 채용하고 타대 딜러로 쓰는 경우가 늘었다.
2024년 5월 8일 밸런스 패치에선 두동이 사용하는 '동료' 트포의 딜증률이 최대 10.2%p가 증가하는 소폭의 버프가 있었다.
3.1.5. 애로우 샤워
- 스킬 모션[ 펼치기 · 접기 ]
| 지점 | 습득레벨 | 10 | 재사용 대기시간 | 18초 |
부가 효과 | |||||
무력화 | 공격 타입 | 슈퍼아머 | 부위 파괴 | ||
하 | - | - | - | ||
마우스 위치 하늘에 여러 개의 화살을 한번에 쏘아 올려 2초간 화살이 쏟아지고 X의 피해를 준다. |
레벨별 스킬 정보 | 마나 소모량 | |
1 | 마우스 위치 하늘에 여러 개의 화살을 한번에 쏘아 올려 2초간 화살이 쏟아지고 105의 피해를 준다. | 85 |
4 | 마우스 위치 하늘에 여러 개의 화살을 한번에 쏘아 올려 2초간 화살이 쏟아지고 280의 피해를 준다. | 169 |
7 | 마우스 위치 하늘에 여러 개의 화살을 한번에 쏘아 올려 2초간 화살이 쏟아지고 361의 피해를 준다. | 307 |
10 | 마우스 위치 하늘에 여러 개의 화살을 한번에 쏘아 올려 2초간 화살이 쏟아지고 413의 피해를 준다. | 441 |
트라이포드 | |
1티어 | |
재빠른 손놀림(5/5) | 공격속도가 15.0/18.0/21.0/25.0/30.0% 증가한다. |
마력 조절(5/5) | 마나 소모량이 50.0/53.0/57.0/62.0/67.0% 감소한다. |
약육강식(5/5) | 시드 등급 이하의 적에게 주는 피해가 50.0/57.5/65.0/72.5/80.0% 증가한다. |
2티어 | |
지속력 강화(5/5) | 화살의 떨어지는 시간이 2.0초 증가하여, 총 피해량이 80.0/90.0/100.0/110.0/120.0% 증가한다. |
화염 세례(5/5) | 공격 속성이 [화] 속성으로 변경되고, 화염 화살이 쏟아져 내려 적중된 적을 3.0초 동안 화상 상태로 만들어 매 초마다 67/155/246/346/453의 피해를 입힌다. |
전기 세례(5/5) | 공격 속성이 [뇌] 속성으로 변경되고, 전격 화살이 쏟아져 내려 짧은 시간 내 9회 적중 시 5.0초간 감전 상태로 만든다. |
3티어 | |
꿰뚫는 화살(5/5) | 화살이 더 빨리 쏟아져 내려 판정 주기가 짧아지고, 치명타 적중률이 40.0/47.0/54.0/62.0/70.0% 증가한다. |
장대비(5/5) | 화살이 떨어지는 범위가 20% 증가하고, 적에게 주는 피해가 매 초 20.0/23.4/26.8/30.4/34.0% 씩 증가한다. |
마나감소 트포로 인한 사용 부담이 적은 점, 간결한 모션, 광역 설치기 라는 점 때문에 PVE, PVP 다방면에서 보조 딜링기로 활용이 가능하다. 단죄 룬을 착용해 마나가 항상 아쉬운 호크아이를 보조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압도 룬을 착용해 무력화 보조 스킬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23년 1월/5월 밸패 이후로는 호크샷의 등장과 여러 개편으로 인해 레이드에선 거의 쓰지 않는다. 두동이 쓰기에는 치적 트포가 없다는 점이 거슬리고, 죽습은 순간 딜링이 필요한데 이에 부합하지 않는다.
다만 약육강식 찍으면 잡몹을 녹이기 수월하다보니 카던 등에선 여전히 애용되고 있다.
PVP에서는 쓴다면 원거리 기절 스킬이라는 큰 이점을 갖고 있으나 1초 내외는 맞아야 기절에 걸리기 때문에 아토믹 애로우나 연막 화살로 적의 이속을 느리게 한다음 쏘는게 좋다.
추천 트라이포드
- 카오스 던전: [약육강식 - 지속력 강화 - 장대비]
- 레이드: [재빠른 손놀림 - 지속력 강화 - 장대비]
- PVP: [재빠른 손놀림 - 전기 세례 - 꿰뚫는 화살]
2023년 1월 18일 밸런스 패치로 있으나마나로 취급받던 1번째 트포 회피의 달인[15]이 제거되고 사냥용으로 쓸만한 약육강식 트포로 변경되었다.
3.1.6. 이동 베기
- 스킬 모션[ 펼치기 · 접기 ]
| '일반 | 습득레벨 | 10 | 재사용 대기시간 | 10초 |
부가 효과 | |||||
무력화 | 공격 타입 | 슈퍼아머 | 부위 파괴 | ||
- | 백 어택 | - | - | ||
전방으로 8m 이동하고, X의 피해를 준다. |
레벨별 스킬 정보 | 마나 소모량 | |
1 | 전방으로 8m 이동하고, 164의 피해를 준다. | 61 |
4 | 전방으로 8m 이동하고, 437의 피해를 준다. | 120 |
7 | 전방으로 8m 이동하고, 562의 피해를 준다. | 219 |
10 | 전방으로 8m 이동하고, 643의 피해를 준다. | 315 |
트라이포드 | |
1티어 | |
빠른 준비(5/5) | 재사용 대기시간이 2.0/2.5/3.0/3.5/4.0초 감소한다. |
충돌 무시(1/1) | 스킬 사용 중 일반 몬스터와 충돌이 무시된다. |
탁월한 기동성(5/5) | 이동 거리가 2.0/2.2/2.4/2.7/3.0m 증가한다. |
2티어 | |
밀쳐내기(1/1) | 공격 범위가 10.0% 증가하고, 피격된 적의 경직 시간과 밀리는 거리가 길어진다. |
실버 마스터(5/5) | 스킬 적중 시 호크 게이지가 60/70/80/90/100 회복된다. |
단독 수행(5/5) | 실버 호크가 소환되지 않았을 때 공격 적중 시 적에게 주는 치명타 피해가 100.0/115.0/130.0/145.0/160.0% 증가한다. |
3티어 | |
서바이벌(1/1) | 스킬 사용 중 상태이상 면역이 적용되고, 회피율이 30.0% 증가한다. |
강화 베기(5/5) | 적에게 주는 피해가 100.0/113.0/127.0/141.0/155.0% 증가하고 적중된 적을 3.0초간 출혈 상태로 만들어 매 초마다 33/59/75/89/99의 피해를 입힌다. |
빠준 채택 시 기본 쿨타임이 매우 짧으며 실버 마스터 트포도 있어서 회피 용도 이외에 아드 스택 관리나 아덴 관리같은 부수적인 목적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덕분에 죽습이든 두동이든 무난하게 써먹을 수 있는 좋은 이동기.
트라이포드는 [빠른 준비 - 실버 마스터 - 서바이벌]을 추천.
-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 2023년 1월 18일 밸런스 패치에선 기존의 실버 마스터 트포가 지속적으로 호크 게이지 회복 효과를 주는 대신 풍요룬을 사용할 수 없도록 변경되었으며, 실버 호크가 없을 때 추가 효과를 주는 단독 수행 트포가 추가되었다.
2023년 5월 17일 밸런스 패치에서 풍요룬을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실버 마스터' 트포의 아덴 회복이 지속 시간 회복이 아닌 즉시 회복으로 변경되었다.
3.1.7. 블레이드 스톰
- 스킬 모션[ 펼치기 · 접기 ]
| '일반 | 습득레벨 | 10 | 재사용 대기시간 | 20초 |
부가 효과 | |||||
무력화 | 공격 타입 | 슈퍼아머 | 부위 파괴 | ||
- | 백 어택 | 경직 면역 | - | ||
빠르게 회전하며 칼날을 뿌려 X피해를 6회 주고, 칼날을 한번 더 뿌려 X피해를 3회 준다. |
레벨별 스킬 정보 | 마나 소모량 | |
1 | 빠르게 회전하며 칼날을 뿌려 76피해를 6회 주고, 칼날을 한번 더 뿌려 70피해를 3회 준다. | 91 |
4 | 빠르게 회전하며 칼날을 뿌려 203피해를 6회 주고, 칼날을 한번 더 뿌려 187피해를 3회 준다. | 179 |
7 | 빠르게 회전하며 칼날을 뿌려 262피해를 6회 주고, 칼날을 한번 더 뿌려 242피해를 3회 준다. | 326 |
10 | 빠르게 회전하며 칼날을 뿌려 299피해를 6회 주고, 칼날을 한번 더 뿌려 276피해를 3회 준다. | 469 |
트라이포드 | |
1티어 | |
원거리 타격(5/5) | 공격 범위가 20.0%, 시드 등급 이하 몬스터에게 주는 피해가 50.0/57.0/65.0/72.5/80.0% 증가한다. |
재빠른 손놀림(5/5) | 회전 중의 공격 속도가 20.0/24.0/28.0/32.0/36.0% 증가한다. |
실버 마스터(5/5) | 3회 공격 적중 시마다 호크 게이지가 40/45/50/55/60 회복된다. |
2티어 | |
독 칼날(5/5) | 마지막 공격에 독 칼날을 발사해, 적중된 적을 5.0초 동안 중독 상태로 만들어 매 초마다 53/119/184/253/326의 피해를 입힌다. |
번개 칼날(5/5) | [뇌] 속성으로 변경된다. 치명타 적중률이 30.0/37.0/44.0/52.0/60.0% 증가하고, 마지막 공격에 4방향으로 회전하는 칼날을 추가로 날려 특정 각도의 공격 범위가 증가한다. |
단독 수행(5/5) | 실버 호크가 소환되지 않았을 때 공격 적중 시 적에게 주는 치명타 피해가 100.0/115.0/130.0/145.0/160.0% 증가한다. |
3티어 | |
블레이드 댄스(5/5) | 회전 공격이 더욱 길어지고, 회전 중에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마지막 공격을 한 번 더 시전하며 마지막 공격이 적에게 주는 피해가 135.0/146.8/158.5/172.6/186.7% 증가한다. |
쉐도우 댄스(5/5) | 2회 회전 후 이동이 가능하다. 스킬을 사용한 지점에는 잔상이 남아 공격을 이어가며, 적에게 주는 피해가 0.0/5.0/10.0/16.0/22.0% 증가한다. |
그럼에도 예나지금이나 쓰이는 이유는 뛰어난 아덴 게이지 수급량 때문. 23년 1월의 개편으로 호크 샷이 들어오면서 필수급 스킬에서는 내려왔으나, 그럼에도 호크아이 스킬 중 가장 높은 단독 수급량을 가지고 있어서 중요도가 높다. 그러다보니 과거의 호크아이는 각성기가 없으면 게이지를 채우기위해 뜬금없이 칼질하러 앞으로 나가야하는 참으로 희한한 상황[17]이 많이 나왔었다.
물론 어긋난 괴리감과 인식과는 별개로 스킬의 성능 자체는 아덴 수급을 떼고 보더라도 준수한 편에 속한다. 단독으로도 아덴 게이지 절반을 채우는 수급량도 그렇고[18] 죽습 호크 기준으론 너프되었다해도 여전히 애로우 해일이나 크레모아 지뢰같은 서브 스킬과 경쟁이 가능할 정도로 기본 대미지가 준수하다. 추가로 백어택 판정이라 포지션만 잘 잡으면 치적 추가 효과를 받을 수 있어서 죽습 특화 트포인 단독 수행과의 시너지도 뛰어난 편. 다만 같은 이유로 타격의 대가 각인 효과를 못 받다보니 타대 딜러로 정립되어가는 호크아이인지라 정체성과 괴리가 있는 편.
주로 사용하는건 죽습 스타일 호크. 시즌2 시절에는 5딜2매나 6딜2매 등으로 채용을 저울질했지만 시즌3에 아크패시브가 도입되며 5딜3매가 주류로 쓰이면서 반드시 채용하는 필수 스킬의 위상을 회복했다.
두동 호크는 호크 샷으로도 게이지 관리에 문제가 없어서 일반적으론 쓰이지 않으나 깨달음 4티어 노드를 찍는 순간부터 서브 스킬로 매폭을 쓰는 극특 매폭 두동 빌드에 한 해 애로우 해일 대신 채용한다.[19]
- 추천 트라이포드
- 죽습: [실버 마스터 - 단독 수행 - 블레이드 댄스]
- 두동: [실버 마스터 - 번개 칼날 - 블레이드 댄스]
-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 2021년 10월 13일 알려진 버그 공지로 해당 내용이 버그로 판명되었다. 오픈베타 시절부터 문의해온 유서깊은 버그였는데 여태 일언반구 언급도 없다가 뜬금없이 수면위로 올라오게 되었다. 하지만 버그리스트에만 올라오고 몇주째 수정하지 않고 있는데 해당 사항이 '죽음의 습격' 각인을 사용하는 호크아이에게 꽤나 치명적으로 작용될 수 있는걸 알아서 그런것인지 모르지만 아직까진 적중시키지 못해도 실버게이지가 수급이 된다. 더군다나 2단계 트라이포드인 번개 칼날을 사용시 호크 게이지가 확 차오르는 현상은 유저들의 연구로 블레이드 댄스, 쉐도우 댄스를 가리지 않고 버그로 판명되었는데, 아직까진 개발진에서 인지하지 못한 듯 하다.
2021년 4월 14일 밸런스 패치로 3티어 트라이포드의 2레벨~5레벨 효과에 적에게 주는 피해 증가 효과가 추가되어 딜 기대치가 올라갔다.
2022년 4월 27일 밸런스 패치로 실버마스터 트라이포드의 설명에 쉐도우 댄스 트라이포드 적용 시, 스킬 사용 시마다 호크 게이지가 회복된다.라는 문구가 붙음으로서 이제 더이상 버그가 아니고 공식 시스템화 되었다.
2023년 1월 18일 밸런스 패치로 기본 PVE 피해량이 11.0%감소되고 실버 마스터 트포의 변경과 풍요룬 사용 불가, 단독 수행 트포 추가 등 여러모로 변경되어서 사실상 죽습 전용 딜 스킬로 개편되었다.
2023년 5월 17일 밸런스 패치에서 풍요룬을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실버 마스터' 트포의 아덴 회복이 즉시 회복으로 변경되었는데 블레이드 스톰의 경우 공격 3회 적중 시 마다 회복이 적용되어 2번 회복이 가능하다. 블레이드 댄스스 트포 적용 시 1회 더 회복이 된다.
2025년 2월 26일 밸런스 패치에선 스킬 시전 중 스페 이동기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을 빠르게 적용되도록 변경되었다.
3.1.8. 크레모아 지뢰
- 스킬 모션[ 펼치기 · 접기 ]
| '일반 | 습득레벨 | 12 | 재사용 대기시간 | 16초 |
부가 효과 | |||||
무력화 | 공격 타입 | 슈퍼아머 | 부위 파괴 | ||
중 | 헤드 어택 | 경직 면역 | 레벨 1 | ||
지정한 방향에 지뢰 설치 후 뒤로 물러나면서 적에게 X의 피해를 주고 날려보낸다. |
레벨별 스킬 정보 | 마나 소모량 | |
1 | 지정한 방향에 지뢰 설치 후 뒤로 물러나면서 적에게 355의 피해를 주고 날려보낸다. | 80 |
4 | 지정한 방향에 지뢰 설치 후 뒤로 물러나면서 적에게 943의 피해를 주고 날려보낸다. | 158 |
7 | 지정한 방향에 지뢰 설치 후 뒤로 물러나면서 적에게 1217의 피해를 주고 날려보낸다. | 287 |
10 | 지정한 방향에 지뢰 설치 후 뒤로 물러나면서 적에게 1392의 피해를 주고 날려보낸다. | 412 |
트라이포드 | |
1티어 | |
재빠른 손놀림(5/5) | 공격 속도가 15.0/18.0/21.0/24.0/27.0% 증가한다. |
무기 파괴(5/5) | 공격 적중 시 적의 공격력을 4.0/4.2/4.4/4.7/5.0초간 20.0/23.6/27.4/31.2/35.0% 감소시킨다. |
단독 수행(5/5) | 실버 호크가 소환되지 않았을 때 공격 적중 시 적에게 주는 치명타 피해가 60.0/75.0/90.0/105.0/120.0% 증가한다. |
2티어 | |
강인함(1/1) | 스킬 사용 중 피격이상 면역이 적용된다. |
천둥벼락(5/5) | 공격 속성이 [뇌] 속성으로 변경되고, 치명타 적중률이 15.0/21.0/27.0/33.0/40.0% 증가하며, 3.0초간 감전상태로 만들지만 더 이상 적중된 적을 날려보내지 않는다. |
불벼락(5/5) | 공격 속성이 [화] 속성으로 변경되고, 적에게 주는 피해가 30.0/38.0/47.0/56.0/65.0% 증가하며, 3초간 화상 상태로 만들어 매 초마다 35/62/79/92/103의 피해를 입힌다. |
3티어 | |
폭풍의 전율(5/5) | 재사용 대기시간이 4.0초 증가하지만, 폭발 방향이 부채꼴로 변경되며 시드 등급 이하 몬스터에게 주는 피해가 100.0/115.0/130.0/145.0/160.0% 증가한다. |
집중된 폭풍(5/5) | 공격 범위가 30.0% 감소하지만, 순차적으로 0.5초 마다 화살을 3회 발사해 적에게 주는 피해가 80.0/84.0/88.0/92.0/97.6% 증가한다. |
죽습 호크의 경우 서브 스킬 라인에서 애로우 해일이나 블레이드 스톰과 경쟁[20]한다. 애로우 해일보다 사거리가 짧고 블스처럼 아덴 수급은 안 되지만 대신 무력화와 부위 파괴도 달려있기 때문에 기믹 수행력에 힘을 주고 싶은 경우 채용할 수 있다. 물론 아덴 수급기 3종(블레이드 스톰, 급소베기, 이동베기)를 모두 채용하는 5딜3매가 대세가 되면서 채용하지 않았지만, 치신을 찍는 5딜2매 세팅이 새로 등장하면서 애로우 해일을 대신해서 쓰이고 있다.
두동 호크의 경우 일반적으론 채용하지 않으나 간혹 모자란 기믹 수행력 보충 및 보조 딜링을 위해 이동베기를 대신해서 쓰는 경우도 있다.[21]
1트포의 공깎이 유용한 경우가 많은지라 트팟이나 고난도 레이드에서는 애용되기도 한다.
PVP에서도 유용한 스킬로 천둥벼락과 폭풍의 전율을 찍어서 부채꼴 범위 감전 스킬로 활용하거나 강인함과 집중된 폭풍을 찍어서 이니시를 거는 적을 피면으로 씹으면서 도로 날려버려 추가 딜각을 만드는 용도로 활용한다.
추천 트라이포드
- 카던/쿠르잔 전선: [재빠른 손놀림(두동) or 단독 수행(죽습) - 천둥벼락 - 폭풍의 전율]
- 레이드(두동): [재빠른 손놀림 - 강인함 or 불벼락 - 집중된 폭풍]
- 레이드(죽습): [단독 수행 - 불벼락 - 집중된 폭풍]
- PVP: [재빠른 손놀림 - 강인함 or 천둥벼락 - 폭풍의 전율 or 집중된 폭풍]
-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 2021년 4월 14일 밸런스 패치로 폭풍의 전율 트라이포드에 시드 등급 이하 몬스터에게 주는 피해가 증가하는 효과가 추가되어 잡몹이 많이 나오는 컨텐츠에서 더욱 좋아졌다.
2023년 1월 18일 밸런스 패치에선 기본 PVE 피해량이 21.0% 추가되고 밀쳐내기 트포 대신 실버 호크가 없을 때 추가 효과를 주는 단독 수행 트포가 추가되었다. 너프된 애로우 해일을 대체해서 메인 스킬로 채용될 여지가 생겼다. 이후 애로우 해일이 버프되면서 선택 스킬로서 쓰이고 있다.
3.1.9. 차징 샷
- 스킬 모션[ 펼치기 · 접기 ]
| 차지 | 습득레벨 | 14 | 재사용 대기시간 | 24초 |
부가 효과 | |||||
무력화 | 공격 타입 | 슈퍼아머 | 부위 파괴 | ||
중 | - | 경직 면역 | 레벨 2 | ||
차지가 가능하며, 차지 완료 전 X, 1차지 시 X, 오버차지 시 X의 피해를 준다. 1차지 이상 발사시 적을 날려버린다. |
레벨별 스킬 정보 | 마나 소모량 | |
1 | 차지가 가능하며, 차지 완료 전 259, 1차지 시 345, 오버차지 시 862의 피해를 준다. 1차지 이상 발사시 적을 날려버린다. | 101 |
4 | 차지가 가능하며, 차지 완료 전 686, 1차지 시 917, 오버차지 시 2292의 피해를 준다. 1차지 이상 발사시 적을 날려버린다. | 199 |
7 | 차지가 가능하며, 차지 완료 전 884, 1차지 시 1183, 오버차지 시 2958의 피해를 준다. 1차지 이상 발사시 적을 날려버린다. | 363 |
10 | 차지가 가능하며, 차지 완료 전 1011, 1차지 시 1353, 오버차지 시 3384의 피해를 준다. 1차지 이상 발사시 적을 날려버린다. | 521 |
트라이포드 | |
1티어 | |
뇌진탕(1/1) | 스킬의 무력화 단계가 [중상]으로 증가한다. |
카모플라쥬(5/5) | 차지 중 은신 상태가 되지만, 재사용 대기 시간이 9.0/7.5/6.0/4.5/3.0초 증가한다. |
빠른 준비(5/5) | 재사용 대기시간이 5.0/5.7/6.4/7.2/8.0초 감소한다. |
2티어 | |
더블 샷(5/5) | 동시에 2발의 화살을 발사해 적에게 주는 피해가 50.0/57.0/64.0/72.0/80.0% 증가한다. |
오버 페인(5/5) | 오버차지 도달 즉시 3.0m 이내의 적에게 기본 피해량의 20.0/26.2/32.4/38.6/45.0%에 해당하는 추가 피해를 입히고 넘어뜨린다. |
동료(5/5) | 실버 호크가 소환되어 있을 때 적에게 주는 피해가 70.0/78.4/86.8/95.9/105.0% 증가한다. |
3티어 | |
즉발(5/5) | 차지 단계가 높을 수록 사거리가 증가하는 방식으로 변경된다. 차지 단계에 따른 피해량은 동일하며 목표 지점 도달 시 폭발을 일으켜 총 50.0%의 추가 피해를 입히고, 치명타 피해가 50.0/62.0/74.0/86.0/100.0% 증가한다. |
정조준(5/5) | 차지 단계가 1회 추가 되고, 오버차지 시 치명타 적중률이 50.0%, 피해량이 30.0/37.0/44.0/52.0/60.0% 증가한다. |
트라이포드는 1티어는 빠른 준비 고정, 2티어는 직업 각인에 따라 더블 샷(죽습) 혹은 동료(두동) 중에서 찍어준다.
3티어 트포의 경우 두동은 정조준, 죽습은 즉발이 정석. 상황봐서 반대로도 쓸 수 있지 않냐고 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치적 불균형만 유발하기 때문에 현재는 그렇게 쓰지 않는다. 스킬룬은 대게 정조준의 경우 질풍룬, 즉발인 경우 압도룬 or 집중룬을 준다.
예전 은신이 필요한 기믹에서도 사용되었는데, 대표적으로 삭제된 (구) 아브 2관 프로켈전에서도 애용되었다. '즉발'을 찍어서 즉발 다운기로 써먹거나, '카모플라쥬'를 찍고 패턴을 흘러넘김[22]과 동시에 다운시키는 플레이로 유용했기 때문.
차징 후 발사해도 가느다란 분홍빛 화살 하나 나가고 끝인 저조한 이펙트로 인해 늘 까이던 스킬 중 하나다. 23년 5월 패치 후론 황금빛 거대 화살이 나가는 이펙트로 변경. 그나마 즉발 트라이포드면 붙어서 쏘는데다 폭발 이펙트 덕분에 좀 나은 편.
-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 2022년 2월 18일 현재 더블샷과 즉발을 함께 사용할 경우 즉발의 대미지 증가가 적용되지 않는 버그가 발견되었다.
2022년 4월 27일 패치로 부위 파괴 레벨이 2레벨로 올라갔다. 아토믹 애로우에도 부위 파괴 1레벨이 추가되어서 호크아이는 이제 더이상 파괴 부족에 시달리지 않게되었다.
2023년 1월 18일 밸런스 패치로 차징 속도를 늘려주는 재빠른 손놀림 대신 실버 호크가 켜진 경우 증댐을 주는 동료 트포가 추가되었으며, 즉발 트포에 치피증 증가 효과가 추가되었다.
2023년 5월 17일 밸런스 패치에선 '즉발'을 제외한 스킬 오버 차징 시 발사체 속도가 증가하였으며 추가로 스킬 및 트라이포드 이펙트도 개선되었다.
2024년 5월 8일 밸런스 패치에선 차지 시간이 감소와 카메라 연출이 추가되었으며, 두동이 사용하는 '동료' 트포의 딜증률이 최대 10.2%p가 증가하였다. 딜증 버프도 좋지만 기본적으로 두동은 정조준 트포를 주로 사용하기에 차징 시간이 너무 길다는 문제가 있던지라 차징 시간을 줄인게 더 좋다는게 대체적인 평가다.
2025년 2월 26일 밸런스 패치에선 차징 선회 속도 증가 트포 대신 무력화 증가 효과인 뇌진탕 트포가 들어왔으며 기본 차징 중 선회 속도가 대폭 증가하여 마우스 커버 방향으로 바로바로 돌리는걸 볼 수 있다.
3.1.10. 일제 사격
- 스킬 모션[ 펼치기 · 접기 ]
| '일반 | 습득레벨 | 16 | 재사용 대기시간 | 6초 |
부가 효과 | |||||
무력화 | 공격 타입 | 슈퍼아머 | 부위 파괴 | ||
- | - | - | - | ||
활을 수평으로 들고 여러 발의 화살을 한번에 발사하여 X의 피해를 준다. |
레벨별 스킬 정보 | 마나 소모량 | |
1 | 활을 수평으로 들고 여러 발의 화살을 한번에 발사하여 161의 피해를 준다. | 45 |
4 | 활을 수평으로 들고 여러 발의 화살을 한번에 발사하여 427의 피해를 준다. | 90 |
7 | 활을 수평으로 들고 여러 발의 화살을 한번에 발사하여 551의 피해를 준다. | 163 |
10 | 활을 수평으로 들고 여러 발의 화살을 한번에 발사하여 629의 피해를 준다. | 235 |
트라이포드 | |
1티어 | |
약육강식(5/5) | 시드 등급 이하의 적에게 주는 피해가 20.0/26.2/32.4/38.6/45.0%만큼 증가한다. |
마력 조절(5/5) | 마나 소모량이 50.0/53.0/57.0/62.0/67.0% 감소한다. |
가벼운 발걸음(5/5) | 스킬 사용 후 3.0/3.2/3.4/3.7/4.0초간 이동속도가 20.0/22.4/24.8/27.4/30.0% 증가한다. |
2티어 | |
뒤덮는 화살(1/1) | 공격 거리가 30.0% 증가한다. |
냉기 화살(5/5) | 공격 속성이 [수] 속성으로 변경되고, 적에게 주는 피해가 15.0/21.0/27.0/33.0/40.0% 증가하며, 적의 이동속도를 3.0초간 50.0% 감소시킨다. |
충격 사격(1/1) | 치명타 적중 시 2.0초간 기절시킨다. |
3티어 | |
은밀한 움직임(5/5) | 스킬 사용 후 3.0/3.5/4.0/4.5/5.0초간 은신 상태가 되지만, 재사용 대기 시간이 6.0초 증가한다. |
밀집 사격(5/5) | 공격 각도가 30.0% 감소하지만, 적에게 주는 피해가 100.0/111.0/122.0/133.0/145.0% 증가한다. |
일제 사격 후 주어지는 이속 버프와 은신 버프, 피격 시 강경직 부여를 기반으로 콤보를 시작한다. 일제 사격 사용 후 바로 스페이스바 이동기를 사용하면 이동 후에도 은신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동 베기는 공격으로 간주되기에 사용하면 은신 상태가 풀려버린다.
3.1.11. 샤프 슈터
- 스킬 모션[ 펼치기 · 접기 ]
| '일반 | 습득레벨 | 18 | 재사용 대기시간 | 20초 |
부가 효과 | |||||
무력화 | 공격 타입 | 슈퍼아머 | 부위 파괴 | ||
중 | - | - | - | ||
활을 수평으로 들고 활 끝에 기를 모아 10발의 화살을 한번에 발사하여 화살 1발당 X의 피해를 주고, 1명의 적에게 최대 3발의 화살을 적중 시킬 수 있다. |
레벨별 스킬 정보 | 마나 소모량 | |
1 | 활을 수평으로 들고 활 끝에 기를 모아 10발의 화살을 한번에 발사하여 화살 1발당 227의 피해를 주고, 1명의 적에게 최대 3발의 화살을 적중 시킬 수 있다. | 91 |
4 | 활을 수평으로 들고 활 끝에 기를 모아 10발의 화살을 한번에 발사하여 화살 1발당 602의 피해를 주고, 1명의 적에게 최대 3발의 화살을 적중 시킬 수 있다. | 179 |
7 | 활을 수평으로 들고 활 끝에 기를 모아 10발의 화살을 한번에 발사하여 화살 1발당 776의 피해를 주고, 1명의 적에게 최대 3발의 화살을 적중 시킬 수 있다. | 326 |
10 | 활을 수평으로 들고 활 끝에 기를 모아 10발의 화살을 한번에 발사하여 화살 1발당 887의 피해를 주고, 1명의 적에게 최대 3발의 화살을 적중 시킬 수 있다. | 469 |
트라이포드 | |
1티어 | |
급소 타격(5/5) | 치명타 적중률이 15.0/21.0/27.0/33.0/40.0% 증가한다. |
피해 증폭(1/1) | 공격 적중 시 대상이 자신 및 파티원에게 받는 피해가 16.0초간 6.0% 증가한다. |
속사(5/5) | 스킬 시전 속도가 15% 증가하고, 적에게 주는 피해가 5.0/11.0/17.0/23.0/30.0% 증가한다. |
2티어 | |
무자비한 사격(1/1) | 한번에 발사하는 화살이 10발에서 15발로 증가한다. |
고통스러운 사격(5/5) | 적중된 적을 5.0초 동안 출혈 상태로 만들어 매 초마다 34/83/134/192/254의 피해를 입힌다. |
약점 포착(5/5) | 피격이상 면역인 적에게 주는 피해가 40.0/47.2/54.8/62.4/70.0% 증가한다. |
3티어 | |
집중 사격(5/5) | 동일한 대상에게 최대 5발의 화살이 꽂히고, 적에게 주는 피해가 20.0/26.0/32.0/38.0/45.0% 증가한다. |
확정 사격(1/1) | 범위 내 모든 적에게 2발의 화살이 고정적으로 꽂힌다. 무자비한 사격 적용시 3발의 화살이 고정적으로 꽂힌다. |
트라이포드는 [급소 타격 or 속사 - 약점 포착 - 집중 사격]를 선택한다. '급소 타격'으로 치적을 챙길지, '속사'로 고점을 노릴지는 선택의 영역.
또한 차징 샷과 더불어 호크아이의 무력화를 책임지는 스킬이기도 하다. 표기 무력화는 '중'으로 되어있지만, '집중 사격' 트라이포드를 사용하면 회오리 수류탄의 무력화보다 높은 무력화 피해를 입혀 호크아이의 스킬들 중 가장 높은 무력화를 보여준다. 차징 샷(즉발)과 샤프 슈터(집중 사격) 2개만 사용해도 회오리 수류탄 2개 분량의 무력화가 나온다.
호크아이 스킬 중 무력화 피해가 가장 높기에 스킬룬도 '압도룬'이나 '비전룬'이 제일 많이 사용된다.
-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 2022년 4월 27일 패치로 집중 사격 트라이포드의 효과가 치명타 피해 증가에서 적에게 주는 피해 증가로 바뀌어 예리한 둔기의 효율이 증가하였으며, 치명타로 터지지 않아도 트라이포드의 효과를 받을 수 있게되었다.
2023년 5월 17일 밸런스 패치에선 '마력 조절' 트포가 삭제되고 시전 속도와 딜증 이득을 주는 '속사' 트포가 추가되어서 1티어 트포의 선택지가 늘었다. 추가로 스킬 및 트라이포드 이펙트도 개선되었다.
여담으로 샤프슈터는 해외서버에서 바뀐 호크아이의 클래스 이름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 스킬의 이름 역시 띄어쓰기만 추가된 샤프 슈터로 그대로 번역되어 해외서버 기준으론 호크 샷 이상의 난해한 작명센스를 가진 스킬이 되어버렸다.
3.1.12. 집요한 추적
- 스킬 모션[ 펼치기 · 접기 ]
| '일반 | 습득레벨 | 20 | 재사용 대기시간 | 14초 |
부가 효과 | |||||
무력화 | 공격 타입 | 슈퍼아머 | 부위 파괴 | ||
- | - | 경직 면역 | - | ||
전방의 적을 넘어서 8m 이동하며, X의 피해를 주고 넘어뜨린다. |
레벨별 스킬 정보 | 마나 소모량 | |
1 | 전방의 적을 넘어서 8m 이동하며, 191의 피해를 주고 넘어뜨린다. | 74 |
4 | 전방의 적을 넘어서 8m 이동하며, 506의 피해를 주고 넘어뜨린다. | 146 |
7 | 전방의 적을 넘어서 8m 이동하며, 652의 피해를 주고 넘어뜨린다. | 266 |
10 | 전방의 적을 넘어서 8m 이동하며, 745의 피해를 주고 넘어뜨린다. | 382 |
트라이포드 | |
1티어 | |
충돌 무시(1/1) | 스킬 사용 중 일반 보스 몬스터와 충돌이 무시된다. |
빠른 준비(5/5) | 재사용 대기시간이 3.0/3.5/4.0/4.5/5.0초 감소한다. |
탁월한 기동성(5/5) | 이동거리가 2.0/2.5/3.0/3.5/4.0m 증가한다. |
2티어 | |
가벼운 발걸음(5/5) | 스킬 사용 후 이동속도가 3.0/3.2/3.4/3.7/4.0초간 20.0/22.4/24.8/27.4/30.0% 증가한다. |
강인함(1/1) | 스킬 시전 중 첫 번째 공격까지 피격이상에 면역이 된다. |
약점 포착(5/5) | 피격이상 면역인 적에게 주는 피해가 80.0/89.6/99.2/109.6/120.0% 증가한다. |
3티어 | |
깔끔한 한방(5/5) | 적의 다운 시간이 50% 증가하고 적에게 주는 피해가 100.0/111.0/122.0/133.0/145.0% 증가한다. |
마무리 발차기(1/1) | 도착 지점에서 발 구르기를 하여 주위에 추가로 공격하고 적중된 대상을 공중에 띄우며, 무력화 단계가 [중]으로 증가한다. |
이동베기처럼 대쉬 속도가 빠르지는 않아서 패턴을 직접 피하는 용도보단 피면/이속 증가(2트포)나 무력화 보강(3트포)같은 특수 목적을 위해 채용된다. 선딜을 조금이라도 줄이고 싶다면 스킬룬은 질풍룬을 주도록하자.
사망 비중의 대부분이 낙사인 레이드 공통으로 다 쓰기 좋다.
트라이포드는 [빠른 준비 or 탁월한 기동성 - 가벼운 발걸음 or 강인함 - 마무리 발차기]를 주로 사용한다.
PVP의 경우 슈퍼 아머(경면, 조건부 피면)가 달린 이동기 인데다 3트포의 어느쪽이든 추가 CC 증가 효과가 있어서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다.
2022년 4월 27일 패치로 헤드 어택이 제거되었다.
3.1.13. DM-42
- 스킬 모션[ 펼치기 · 접기 ]
| '일반 | 습득레벨 | 20 | 재사용 대기시간 | 24초 |
부가 효과 | |||||
무력화 | 공격 타입 | 슈퍼아머 | 부위 파괴 | ||
중 | - | - | 레벨 1 | ||
지뢰를 설치하여 X의 피해를 주고 공중에 띄운다. 지뢰는 적이 주위에 있을 경우 폭발하며 12초간 유지된다. |
레벨별 스킬 정보 | 마나 소모량 | |
1 | 지뢰를 설치하여 852의 피해를 주고 공중에 띄운다. 지뢰는 적이 주위에 있을 경우 폭발하며 12초간 유지된다. | 136 |
4 | 지뢰를 설치하여 2266의 피해를 주고 공중에 띄운다. 지뢰는 적이 주위에 있을 경우 폭발하며 12초간 유지된다. | 199 |
7 | 지뢰를 설치하여 2923의 피해를 주고 공중에 띄운다. 지뢰는 적이 주위에 있을 경우 폭발하며 12초간 유지된다. | 363 |
10 | 지뢰를 설치하여 3343의 피해를 주고 공중에 띄운다. 지뢰는 적이 주위에 있을 경우 폭발하며 12초간 유지된다. | 521 |
트라이포드 | |
1티어 | |
마력 조절(5/5) | 마나 소모량이 50.0/53.0/57.0/62.0/67.0% 감소한다. |
약육강식(5/5) | 시드 등급 이하의 적에게 공격 적중 시 주는 피해가 20.0/26.2/32.4/38.6/45.0%만큼 증가한다. |
부위파괴 강화(1/1) | 파괴 레벨이 1만큼 증가한다. |
2티어 | |
원거리 설치(5/5) | 4.0m 전방에 설치할 수 있도록 변경되고 적에게 주는 피해가 20.0/26.0/32.0/38.0/45.0% 증가한다. |
충격 지뢰(5/5) | 더 이상 적을 넘어트리지 않지만, 4.0/4.5/5.0/5.5/6.0초간 기절 상태로 만든다. |
폭발 확산(1/1) | 폭발 범위가 30.0% 증가한다. |
3티어 | |
화염 지뢰(5/5) | 공격 속성이 [화] 속성으로 변경되고, 폭발 시 즉시 피해가 20.0%로 감소하지만, 4.0초간 피해를 주는 화염지대가 생성되어, 적에게 주는 피해가 최대 100.0/110.8/121.6/132.4/145.0% 증가한다. |
분산 설치(5/5) | 체인 조작으로 변경된다. 5.0초 내에 추가 설치가 가능하지만, 재사용 대기시간이 6.0/4.8/3.6/2.3/1.0초 증가한다. |
다만 피격 판정이 따로 없어 타대 효과를 받음에도 너무나도 긴 쿨타임, 그로 인한 저열한 DPS, 짧은 사거리 등의 문제가 겹쳐 솔플이든 레이드든 PVP에서든 쓰이지 않는 사실상 버려진 스킬이 되었다. 그나마 장점인 기믹 수행력도 아토믹 애로우, 차징 샷, 호크 샷 등의 주력 스킬들 기믹 수행력이 패치로 강화되면서 보완되었기에 굳이 이걸 들고갈 필요가 없다.
구조 개편되며 신규 트포(동료 혹은 단독 수행)가 신설된 주력기들과 달리 패치에서도 계속 누락되는 등 스마게가 대놓고 버린 스킬이라 봐도 무방.
3.1.14. 회피 사격
- 스킬 모션[ 펼치기 · 접기 ]
| '일반 | 습득레벨 | 24 | 재사용 대기시간 | 16초 |
부가 효과 | |||||
무력화 | 공격 타입 | 슈퍼아머 | 카운터 | ||
- | 헤드 어택 | 경직 면역 | 가능 | ||
뒤로 7m 거리를 공중회전 이동하며 전방 부채꼴 범위에 화살을 발사하여 X의 피해를 준다. |
레벨별 스킬 정보 | 마나 소모량 | |
1 | 뒤로 7m 거리를 공중회전 이동하며 전방 부채꼴 범위에 화살을 발사하여 255의 피해를 준다. | 80 |
4 | 뒤로 7m 거리를 공중회전 이동하며 전방 부채꼴 범위에 화살을 발사하여 678의 피해를 준다. | 158 |
7 | 뒤로 7m 거리를 공중회전 이동하며 전방 부채꼴 범위에 화살을 발사하여 876의 피해를 준다. | 287 |
10 | 뒤로 7m 거리를 공중회전 이동하며 전방 부채꼴 범위에 화살을 발사하여 1002의 피해를 준다. | 412 |
트라이포드 | |
1티어 | |
재빠른 손놀림(5/5) | 공격속도가 15.0/18.0/21.0/24.0/27.0% 증가한다. |
탁월한 기동성(5/5) | 뒤로 이동하는 거리가 2.0/2.2/2.4/2.7/3.0m 증가한다. |
빠른 준비(5/5) | 재사용 대기시간이 3.0/3.7/4.4/5.2/6.0초 감소한다. |
2티어 | |
동료(5/5) | 실버 호크가 소환되어 있을 때 적에게 주는 피해가 70.0/78.4/86.8/95.9/105.0%% 증가한다. |
강인함(1/1) | 스킬 사용 중 피격 이상에 면역이 된다. |
무거운 화살(5/5) | 적을 밀쳐내는 거리가 3.0m 증가하고, 적에게 주는 피해가 20.0/26.0/32.0/38.0/45.0% 증가한다. |
3티어 | |
회심의 일격(5/5) | 화살에 적중된 적을 즉시 넘어뜨리고 치명타 적중률이 100.0% 증가하고, 치명타 피해가 0.0/10.0/20.0/32.0/44.0% 증가한다. |
전략적 회피(5/5) | 콤보 조작으로 변경된다. 착지 후 콤보 입력 시 사용한 방향으로 강력한 화살을 한번 더 발사하여 기본 피해량의 200.0/216.0/232.0/248.0/266.0%에 해당하는 추가 피해를 주고 뒤로 2.0m 미끄러져 물러난다. |
그래도 트라이포드에 '강인함'이 있는 스킬들 중 유일하게 PVE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킬이라 발탄 2 관문이나 아브렐슈드 4 관문 등 피격 이상 면역이 필요한 컨텐츠에서는 채용 가치가 높다.
3번째 트라이포드 '전략적 회피'를 사용하면 툴팁에는 안적혀있으나 추가되는 2번째 공격으로도 카운터가 가능해진다. 2번째 공격의 범위가 넓고 길게 나아가서 카운터 패턴이 나올 때 2번째 공격으로 카운터를 친다는 느낌으로 깔아둘 수도 있다.
PVP에서는 2번째 트라이포드 '강인함'의 피격 이상 면역과 3번째 트라이포드 '회심의 일격'의 즉발 다운을 활용하기 위해 채용하곤 한다.
2023년 1월 18일 밸런스 패치로 이속 증가 효과가 있는 가벼운 발걸음 대신 실버 호크가 켜진 상태에서 증댐을 주는 동료 트포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8일 밸런스 패치에선 두동이 사용하는 '동료' 트포의 딜증률이 최대 10.2%p가 증가하는 소폭의 버프가 있었다.
3.1.15. 급소 베기
- 스킬 모션[ 펼치기 · 접기 ]
| '일반 | 습득레벨 | 28 | 재사용 대기시간 | 12초 |
부가 효과 | |||||
무력화 | 공격 타입 | 슈퍼아머 | 카운터 | ||
- | 백 어택 | - | 가능 | ||
빠르게 단검을 휘둘러 X의 피해를 준다. |
레벨별 스킬 정보 | 마나 소모량 | |
1 | 빠르게 단검을 휘둘러 103의 피해를 준다. | 67 |
4 | 빠르게 단검을 휘둘러 272의 피해를 준다. | 134 |
7 | 빠르게 단검을 휘둘러 352의 피해를 준다. | 243 |
10 | 빠르게 단검을 휘둘러 403의 피해를 준다. | 349 |
트라이포드 | |
1티어 | |
마력 조절(5/5) | 마나 소모량이 50.0/53.0/57.0/62.0/67.0% 감소한다. |
실버 마스터(5/5) | 스킬 적중 시 호크 게이지가 80/90/100/110/120 회복된다. |
급소 타격(5/5) | 치명타 적중률이 20.0/26.0/32.0/38.0/45.0% 증가한다. |
2티어 | |
암흑 베기(1/1) | 적중된 적을 4.0초 동안 암흑 상태로 만든다. |
단독 수행(5/5) | 실버 호크가 소환되지 않았을 때 공격 적중 시 적에게 주는 치명타 피해가 100.0/115.0/130.0/145.0/160.0% 증가한다. |
상처 악화(5/5) | 적중된 적을 5.0초 동안 출혈 상태로 만들어 매 초마다 41/80/112/143/174의 피해를 입힌다. |
3티어 | |
이중 베기(5/5) | 기본 피해량의 100.0/111.0/120.0/130.0/141.0% 피해로 한번 더 공격한다. 해당 추가타는 20.0% 확률로 400.0%의 피해를 가할 수 있다. |
은밀한 움직임(5/5) | 스킬을 사용 후 3.0/3.5/4.0/4.5/5.0초간 은신 상태가 되며, 이동속도가 30.0% 증가하지만, 재사용 대기시간이 4.0초 증가한다. |
호크아이의 근접 카운터 스킬로 단검으로 전방을 긋는 식으로 공격한다. 카운터로서의 성능만 따지면 선딜이 없다시피 할 정도로 빠른게 장점이나, 사거리가 매우 짧고 경면도 없어서 리스크가 크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카운터 외에 호크 게이지를 채우는 스킬이기도 해서 죽습 스타일 호크는 필수로 가져간다. 3티어 트포인 이중 베기를 찍으면 2회 공격하는데 그만큼 아덴 수급량도 2회분으로 높아지기 때문에 10렙까지 찍어서 사용하는 편.
두동 스타일 호크는 회피 사격과 어느정도 취사 선택이 가능하다. 회피 사격이 사거리가 좀 더 길고 피면도 달렸지만 선딜이 길다보니 그 점이 답답하다면 선딜이 빠른 급소베기로 가져가는 것도 괜찮은 편. 물론 일반적인 두동이 아닌 매폭을 사용하는 두동이라면 죽습과 마찬가지로 필수 스킬로 가져간다.
이 스킬의 고질적인 문제점은 카운터와 아덴 수급을 겸임한다는 점이다. 즉 사이클에 카운터가 묶인 케이스로 아덴 수급을 위해 꾸준히 사용해야해서 정작 고정 기믹이 아니면 카운터로 활용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필연적으로 생길 수 밖에 없다. 비슷하게 사이클에 카운터 스킬이 묶인 클래스들[23]이 개편을 받아서 문제가 해결되고 있지만 호크아이 급소 베기는 현재까진 어떠한 개선도 없다.
- 추천 트라이포드
- 죽습 호크: [실버 마스터 - 단독 수행 - 이중 베기]
- 두동 호크: [실버 마스터 - 상처 악화 - 이중 베기]
- PVP: [실버 마스터 - 암흑 베기 - 은밀한 움직임]
-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 2021년 4월 14일 밸런스 패치로 호크아이의 사전 작업을 줄이기 위한 취지 하에 PVE 시 각성기를 제외한 모든 스킬의 피해량을 24.0% 증가시키는 대신, 죽음의 표적을 새기는 기능이 삭제되며 죽음의 표적과 관련한 트라이포드도 모두 삭제되었다.
2022년 4월 27일 패치로 헤드 어택이 제거되었다.
2023년 1월 18일 밸런스 패치로 풍요룬을 사용할 수 없게 된 대신 실버 마스터 트포가 지속 게이지 회복 효과를 주도록 변경되었으며, 불의의 일격[24] 대신 단독 수행 트포가 추가되었다.
2023년 5월 17일 밸런스 패치에서 풍요룬을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실버 마스터' 트포의 아덴 회복이 지속 시간 회복이 아닌 즉시 회복으로 변경되었다.
3.1.16. 연막 화살
- 스킬 모션[ 펼치기 · 접기 ]
| 지점 | 습득레벨 | 32 | 재사용 대기시간 | 16초/22초[PVP] |
부가 효과 | |||||
무력화 | 공격 타입 | 슈퍼아머 | 부위 파괴 | ||
- | - | - | - | ||
마우스 위치로 화살을 날려 X의 피해를 주고, 6초간 연막을 만들어 연막 안에 있는 적의 이동속도 및 시야를 3초(PVP 1.0초)간 감소 시킨다. |
레벨별 스킬 정보 | 마나 소모량 | |
1 | 마우스 위치로 화살을 날려 133의 피해를 주고, 6초간 연막을 만들어 연막 안에 있는 적의 이동속도 및 시야를 감소 시킨다. | 80 |
4 | 마우스 위치로 화살을 날려 354의 피해를 주고, 6초간 연막을 만들어 연막 안에 있는 적의 이동속도 및 시야를 감소 시킨다. | 158 |
7 | 마우스 위치로 화살을 날려 455의 피해를 주고, 6초간 연막을 만들어 연막 안에 있는 적의 이동속도 및 시야를 감소 시킨다. | 287 |
10 | 마우스 위치로 화살을 날려 521의 피해를 주고, 6초간 연막을 만들어 연막 안에 있는 적의 이동속도 및 시야를 감소 시킨다. | 412 |
트라이포드 | |
1티어 | |
마력 조절(5/5) | 마나 소모량이 50.0/53.0/57.0/62.0/67.0% 감소한다. |
빠른 준비(5/5) | 재사용 대기시간이 3.0/3.7/4.4/5.2/6.0초 감소한다. |
원거리 사격(5/5) | 공격 거리가 3.0/3.5/4.0/4.5/5.0m 증가한다. |
2티어 | |
끈적이는 안개(5/5) | 연막 지역을 벗어나도 이동속도 감소가 3.0/3.2/3.4/3.7/4.0초간 지속된다. |
어두운 안개(5/5) | 연막 지역을 벗어나도 암흑 상태가 3.0/3.2/3.4/3.7/4.0초간 지속된다. |
독 안개(5/5) | 연막 지역에 있는 적을 3.0초 간 맹독 상태로 만들어 매 초마다 7/14/20/27/33의 피해를 입힌다. 맹독은 최대 6회까지 중첩 가능하며, 3중첩 시 5.0초간 기절한다. |
3티어 | |
자욱한 안개(1/1) | 연막 적용 범위가 30.0% 증가하고, 연막의 지속시간이 2.0초 증가한다. |
죽음의 안개(5/5) | 연막 지역에 있는 적에게 매 초 피해를 가하여 기본 피해량의 150.0/163.5/177.0/190.5/205.0%에 해당하는 추가 피해를 입힌다. |
PVE에서도 수요가 가끔 있는데 레이드가 아닌 카던이나 에브니 큐브에서 유용하다. 광역으로 이속 감소를 거는데다 기절까지 걸기 때문에 저지력이 굉장히 뛰어난 편. 호크 특징상 잡몹에 긁히는 것도 꽤 아프기 때문에 이런 경우 써먹어주기 좋다.
-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 2019년 11월 20일 패치 이전에는 연막 지역에 있는 적에게 자신이 주는 피해가 40% 증가하는 '보이지 않는 위협'이라는 트라이포드가 있었다. 그나마 딜을 뽑으려면 '아토믹 애로우' - '연막 화살' - '급소 베기' 이렇게 3개의 스킬을 모두 사용한 다음에 딜링 스킬을 사용해야 했었다. 사전 작업이 까다로운데 비해 딜은 여타 딜러들에 비해 좋다고 볼 수도 없었고, 대상이 연막 지역에서 벗어나면 딜이 크게 감소하는 딜레마가 있었다. 스킬 자체의 성능도 구렸지만, 이것마저 없으면 딜이 뽑히지 않기에 울며 겨자먹기로 마스터를 할 수밖에 없었다. 2019년 11월 20일 패치로 호크아이의 전반적인 딜을 올려주는 대신 '보이지 않는 위협' 트라이포드를 '죽음의 안개' 트라이포드로 변경하여 딜 편의성을 높여주었다. 결과적으로 PVE에서는 특정 상황이 아니면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2023년 1월 18일 밸런스 패치로 트포의 CC효과 지속 시간이 전반적으로 크게 증가했으며, '독 안개' 트포에는 조건부 기절 효과도 추가되었다. 다만 2달 후인 3월 15일에는 PVP 스킬 쿨타임 증가, 기본 상태 이상 지속 시간을 3>1초, 트라이포드 상태 이상 지속 시간을 다시 2초나 줄이는 등 상당한 너프를 먹었다.
3.1.17. 그림자 화살
- 스킬 모션[ 펼치기 · 접기 ]
| 일반 | 습득레벨 | 36 | 재사용 대기시간 | 1초 |
부가 효과 | |||||
무력화 | 공격 타입 | 슈퍼아머 | 부위 파괴 | ||
- | - | - | - | ||
화살을 빠르게 날려 보내 X 피해를 주고, 그림자의 저주를 걸어 4초간 이동속도를 30% 감소시키고 암흑 상태로 만든다. 3중첩 시 5초간 기절 시킨다. |
레벨별 스킬 정보 | 마나 소모량 | |
1 | 화살을 빠르게 날려 보내 141 피해를 주고, 그림자의 저주를 걸어 4초간 이동속도를 30% 감소시키고 암흑 상태로 만든다. 3중첩 시 5초간 기절 시킨다. | 53 |
4 | 화살을 빠르게 날려 보내 376 피해를 주고, 그림자의 저주를 걸어 4초간 이동속도를 30% 감소시키고 암흑 상태로 만든다. 3중첩 시 5초간 기절 시킨다. | 106 |
7 | 화살을 빠르게 날려 보내 485 피해를 주고, 그림자의 저주를 걸어 4초간 이동속도를 30% 감소시키고 암흑 상태로 만든다. 3중첩 시 5초간 기절 시킨다. | 193 |
10 | 화살을 빠르게 날려 보내 555 피해를 주고, 그림자의 저주를 걸어 4초간 이동속도를 30% 감소시키고 암흑 상태로 만든다. 3중첩 시 5초간 기절 시킨다. | 277 |
트라이포드 | |
1티어 | |
고속 충전(5/5) | 스택 충전시간이 2.0/2.2/2.4/2.7/3.0초 감소한다. |
고속 화살(1/1) | 그림자 화살의 비행속도가 20.0% 증가한다. |
마력 조절(5/5) | 마나 소모량이 50.0/53.0/57.0/62.0/67.0% 감소한다. |
2티어 | |
과충전(1/1) | 그림자 화살의 스택이 3에서 4로 증가한다. |
저주 강화(5/5) | 그림자의 저주 유지시간이 4.0초에서 6.0/6.2/6.4/6.7/7.0초로 증가한다. |
심연의 그림자(1/1) | 그림자의 저주로 감소시키는 암흑 효과가 50.0% 증가한다. |
3티어 | |
그림자 추적(5/5) | 그림자 화살이 경로상 가장 가까운 적을 추적하지만 비관통으로 바뀌고, 스택 충전시간이 4.0/3.5/3.0/2.5/2.0초 증가한다. |
무자비한 그림자(1/1) | 그림자 화살을 부채꼴 형태로 한번에 3발씩 발사한다. |
PVE는 레이드에선 딜 스킬 용도론 더 이상 쓰이지 않는다. 한때 '긴 사거리 + 쿨타임 짧은 스택형 기술'이라는 점 덕에 치신 두동 호크가 악몽셋의 마나 관리나 속행&광분룬 활용을 위해 채용한 적이 있으나, 23년 1월 18일 밸패 이후 두동의 주 특성은 특화가 되었고 실버 호크 스킬의 딜비중이 늘어서 악몽셋을 쓰지 않게 됨에 따라 사장되었다.
대신 일일 숙제용으로도 간혹 채용되는데 선수필승, 승부사같은 일숙용 각인 세팅과 자체 스펙이 충실하면 그림자 화살로도 잡몹 한방컷이 가능해기 때문. 자체 쿨타임이 빠르고 부채꼴 공격이 가능한데 관통성이 있다보니 은근히 잡몹 학살에 쏠쏠하다.
지금은 사라진 시즌2 (구) 아브 2관 프로켈전의 핵심 스킬이었던 시절이 있었다. 미리 2스택을 묻혀두는 사전 작업만 해두면 감금이든 발도 돌진이든 곧바로 끊을 수 있는데다, 쿨타임이 매우 짧기에 정화룬을 박아두고 셀프 정화하거나 아드레날린 스택 관리하는 용도로도 유용했다.
- 추천 트라이포드
- 쿠르잔 전선: [고속 충전 - 과충전 - 무자비한 그림자]
- PVP: [고속 충전 - 심연의 그림자 - 그림자 추적]를 주로 사용한다.
3.1.18. 스나이프
- 스킬 모션[ 펼치기 · 접기 ]
| 홀딩 | 습득레벨 | 50 | 재사용 대기시간 | 30초 |
부가 효과 | |||||
무력화 | 공격 타입 | 슈퍼아머 | 부위 파괴 | ||
중상 | - | 경직 면역 | - | ||
홀딩 유지 시 조준상태가 되고, 퍼펙트 존에 성공 시 X의 피해를 주고, 실패 시 X의 피해를 준다. |
레벨별 스킬 정보 | 마나 소모량 | |
1 | 홀딩 유지 시 조준상태가 되고, 퍼펙트 존에 성공 시 1283의 피해를 주고, 실패 시 321의 피해를 준다. | 114 |
4 | 홀딩 유지 시 조준상태가 되고, 퍼펙트 존에 성공 시 3411의 피해를 주고, 실패 시 853의 피해를 준다. | 227 |
7 | 홀딩 유지 시 조준상태가 되고, 퍼펙트 존에 성공 시 4402의 피해를 주고, 실패 시 1101의 피해를 준다. | 412 |
10 | 홀딩 유지 시 조준상태가 되고, 퍼펙트 존에 성공 시 5033의 피해를 주고, 실패 시 1260의 피해를 준다. | 592 |
트라이포드 | |
1티어 | |
빠른 준비(5/5) | 재사용 대기시간이 6.0/7.2/8.4/9.7/11.0초 감소한다. |
재빠른 손놀림(5/5) | 공격속도가 15.0/18.0/21.0/24.0/27.0% 증가한다. |
통찰력(1/1) | 사정거리가 3.0m 증가한다. |
2티어 | |
길리슈트(5/5) | 홀딩 중 은신상태가 되지만, 재사용 대기 시간이 18.0/16.0/13.0/10.0/7.0초 증가한다. |
강인함(1/1) | 홀딩 중 피격이상 면역이 적용된다. |
약점 포착(5/5) | 시드 이상인 적에게 주는 피해가 50.0/55.5/61.0/66.5/72.5% 증가하고, 퍼펙트 존 성공 시에는 100.0/111.0/122.0/133.0/145.0% 증가한다. |
3티어 | |
단독 수행(5/5) | 퍼펙트 존 성공 시 적에게 주는 피해가 60.0% 증가하며, 실버 호크가 소환되지 않았을 때 퍼펙트 존 성공 시 추가로 치명타 피해가 100.0/115.0/130.0/145.0/160.0% 증가한다. |
손쉬운 먹잇감(5/5) | 퍼펙트 존의 크기가 증가하고, 퍼펙트 존 성공 시 치명타 적중률이 40.0%, 적에게 주는 피해가 30.0/37.5/45.0/52.5/60.0% 증가한다. |
각성기를 제외한 호크아이의 모든 스킬들 중 가장 높은 딜을 보여주는 스킬. 애로우 해일 / 차징 샷 / 호크 샷 / 샤프 슈터보다 약 1.5배~2.5배 높은 딜을 가졌다고 한다.
트라이포드의 경우 레이드에선 [빠른 준비 - 약점 포착 - 단독 수행(죽습) or 손쉬운 먹잇감(두동)]으로 고정되며, PVP에선 을 선택한다. 카오스 던전이나 큐브 등 쿨감을 퍼주는 콘텐츠에서는 [재빠른 손놀림 - 완벽함 or 약점 포착 - 손쉬운 먹잇감]을 사용하기도 한다.
추천 트라이포드
- 카던: [재빠른 손놀림 - 약점 포착 - 단독 수행(죽습) or 손쉬운 먹잇감(두동)]
- 레이드: [빠른 준비 - 약점 포착 - 단독 수행(죽습) or 손쉬운 먹잇감(두동)]
- PVP: [통찰력 or 재빠른 손놀림 - 길리슈트 or 강인함 - 손쉬운 먹잇감]
-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 2021년 4월 14일 밸런스 패치로 3티어 트라이포드인 손쉬운 먹잇감의 효과가 조정되었다. 치명타 적중률이 레벨 상관없이 30%로 고정되었으며, 레벨에 따라 수치가 오르는 치명타 피해량 증가 효과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덕분에 치명타로 터지면 패치 이전보다 높은 대미지를 보여준다. 호크아이가 '치명' 특성을 낮게 주는 이유 중 하나였던 스나이프의 치명타 적중률이 낮아짐에 따라 치명을 제일 높게주는 추세가 되었다.
2022년 4월 27일 밸런스 패치로 손쉬운 먹잇감 트라이포드의 퍼펙트존 치명타 적중률이 10% 상승했고, 치명타 피해에서 적에게 주는 피해로 바뀌어 예리한 둔기의 효율이 증가하였으며, 치명타로 터지지않아도 트라이포드의 효과를 받을 수 있게되었다.
2023년 1월 18일 밸런스 패치에선 여러 타수로 나뉘었던 대미지가 1타로 통일되었으며, 타격 시점이 약간 앞당겨지는 상향을 받았다. 다만 이펙트가 기상술사의 뙤약볕과 비슷해져 호크아이만의 날카로운 이미지나 화살로 쐈다는 느낌이 전혀 없다며 볼멘소리가 나왔다.
2023년 5월 17일 밸런스 패치에서 2티어의 '완벽함'과 3티어의 '길리슈트' 트포 위치를 서로 바꾼다음 '완벽함' 트포를 삭제하고 대신 '단독 수행' 트포를 추가하였다. 그래서 3티어 트포의 경우 두동은 치적 증가, 죽습은 치명타 피해량 증가의 혜택을 볼 수 있다.
2025년 2월 26일 밸런스 패치에서는 스나이프의 편의성이 크게 개선되었다. 홀딩 시간이 감소된 것과 더불어 홀딩 중 방향 전환 속도가 증가하고 기존의 선모션도 홀딩 시간에 포함됨에 따라 실질적인 홀딩 시간이 많이 줄어서 딜로스 염려가 적어진 편이다.
3.2. 초각성 스킬
3.2.1. 스파이럴 애로우
| 지점 | 습득레벨 | 초각성 | |
재사용 대기시간 | 65초 | 마나소모 | 894 | |
부가 효과 | ||||
무력화 | 공격 타입 | 슈퍼아머 | 부위 파괴 | 카운터 |
상 | - | 경직 면역[PVE/PVP] | - | - |
지면에 스파이럴 애로우를 긁으며 회전력을 더한 뒤 공중으로 발사한다. 스파이럴 애로우는 공중에서 거대해진 뒤 공격 지점으로 빠르게 낙하하며 X의 피해를 주고 추가로 지면을 갈며 주변의 적들에게 X의 피해를 15회 발생시키고 공중에 띄운다. |
도약 2단계 | |||||
고속 회전 | 동료 | ||||
스파이럴 애로우 스킬 사용 시 화살의 회전력이 증가하여 지면으로 빠르게 들어가고, 실버호크가 소환 중이지 않을 때 적에게 주는 피해가 20.0/40.0/60.0% 증가한다. | 스파이럴 애로우 스킬의 치명타 확률이 10.0/20.0/30.0% 증가하고, 실버호크가 소환되어 있을 때 적에게 주는 피해가 15.0/30.0/45.0% 증가한다. |
쿨타임이 꽤 길고 락온처럼 유틸성이 높은건 아니지만 대신 스나이프보다 2배 이상의 굉장히 강력한 종합 딜량을 보여준다. 다만 딜비중의 대부분이 낙하댐보다는 후속 회전 공격에 쏠려있다보니 제대로 딜을 뽑아내려면 온전히 맞추어야 한다. 그렇기에 쿨타임이 돌아왔다고 곧바로 쏘기보단 확실하게 다 맞출 수 있는 상황에서 쓰는 판단력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묵직한 한방이 절실한 두동 호크쪽에서 주로 채용한다. 쿨타임이 매우 길지만 극특 두동은 스킬 쿨타임이 빨리 안 돌아서 속행룬 다수를 쓰는 경우가 일반적이라 이득을 볼 여지가 많으며 종합 대미지가 스나이프보다도 훨씬 높기 때문에 딜몰이가 필요한 상황에서 써먹기 좋다. 죽습 호크의 경우에도 묵직한 한방이 필요한 경우 사용할 수 있으나, 락온의 유틸성을 온전히 활용하기 좋다보니 채용률이 갈리는 편이다.
스킬 피해 한방한방이 엄청난 타수 덕에 많이 분산되기 때문에 막상 실제로 써보면 후술된 합산 표시 옵션 체크 없이는 강력하다는 딜량이 체감이 잘 안 될 수 있다.[27] 그래도 이 타수 덕에 뭉가의 페널티를 비교적 덜 받는다는 장점이 있어서 두동 호크가 뭉툭한 가시 빌드를 주력 트리로 선택하는데 기여하는 스킬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실제 대미지를 좀 더 체감하고 싶다면 다단히트 피해를 합산 표시해주는 대미지 폰트 합산 옵션[28]을 체크해두는걸 켜주는걸 추천한다.
특히 뭉가 트리 두동인 경우 도약 노드에 치적이 달려있어서 그것만 투자해도 뭉가 효과 시너지를 받아 대미지가 2배 이상 뛰기 때문에 제대로 활용하겠다면 풀도약을 찍는게 필수적이다.
PVP시에도 쓰이는데 선딜이 꽤 있으므로 다른 스킬로 CC기를 건다면 후속타로 쏘는게 좋다. 쿨타임이 길어서 빗맞추면 락온보다 리스크가 크지만 일단 맞추기만 하면 적이 상당 시간 에어본 되기 때문에 스나이프, 각성기같은 추가타를 넣어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여담으로 두동 호크의 경우 이전의 호크 샷 수리매 트포 패치로 치적 불균형을 해소했었음에도 스파이럴 애로우의 전용 도약 트포에선 치적 증가를 40%가 아닌 30%만 배정하여 또다시 치적 불균형을 만들면서 원성을 사고 있다. 게다가 치적이 고정 수치가 아닌 렙업당 증가라 도약 3렙을 강제당한다는 문제까지 생기는건 덤.
3.2.2. 락온
| 지점 | 습득레벨 | 초각성 | |
재사용 대기시간 | 50초 | 마나소모 | 794 | |
부가 효과 | ||||
무력화 | 공격 타입 | 슈퍼아머 | 부위 파괴 | 카운터 |
중상 | - | 경직 면역[PVE/PVP] | - | - |
마우스 지점으로 슬라이딩을 하며 3개의 락온 화살을 발사한다. 락온 화살은 발사된 뒤 공중에 부유하며 주변 적들을 2.0초동안 자동으로 추적한다. 추적이 완료되면 해당 방향으로 발사되며 X의 피해를 주고 적을 날려버린다.[30] |
도약 2단계 | |||||
추가 동작 | 기동대 | ||||
락온 스킬이 체인 조작으로 변경된다. 체인이 1회 추가되고 적에게 주는 피해가 50.0% 감소한다. 첫번째 체인 스킬을 사용 후 8.0초 동안 '고속' 버프가 부여된다. '고속' 버프는 체인 스킬 사용 시 사라진다. | 락온 스킬이 가디언 몬스터 관통이 가능해지며 시전 속도가 38.5% 증가하고 마나 소모량이 50.0% 감소한다. |
유틸성이 뛰어난 호크아이의 초각성 스킬. 마우스 커서 지점으로 미끄러지면서 3발의 화살을 발사하고 화살이 주변 적을 자동으로 추적해서 공격한다. 커서 위치로 이동 거리의 조절이 가능하며 최대 이동 거리는 14m 정도다.
자체 딜량은 스파이럴 애로우보다 낮지만 도약 2단계 노드를 통해 공속 + 피증 버프 혹은 관통형 이동 + 피면같은 유틸성을 챙길 수 있다. 스파이럴 애로우가 원래의 딜사이클에서 묵직한 한방을 추가한다면 이쪽은 유틸성 증가가 핵심인 셈.
추가 동작의 경우 사용 이후 8초간 피증을 받기 때문에 딜을 몰아서 넣어야하는 죽습 호크가 아드로핀 물약 사용 타이밍에 한사이클 딜량을 높이기 위해 사용한다.[31] 1번 써서 버프를 받아 8초 안에 최대한 일반 스킬을 욱여넣은다음 아드로핀이 끝나기 전에 한 번 더 사용해 마무리하는 운영이 핵심.
기동대의 경우 보스몹을 관통해서 이동할 수 있다는 점을 통한 생존성 강화 용도가 강하며 3렙까지 찍으면 락온의 쿨타임이 20초대 중반까지 줄어들기 때문에[32] 제3의 이동기로 활용하기가 좋다. 특히 죽습 호크는 깨달음에서 실버호크 강습을 찍으면 최후의 습격(매폭)이 모션없이 나감으로써 사용성이 좋아지는 반면 피면이 없어진다는 단점이 있는데 기동대 락온의 피면으로 이를 보완하는 운영이 가능하다. 하지만 도약 3렙을 찍으려면 도약 카르마를 6랭크까지 다 찍어야하므로 그 이전까지는 활용이 쉽지 않은 편.
3.3. 기본 회피 스킬
3.3.1. 슬라이딩
호크아이의 스페이스 바 이동기. 재사용 대기시간 8초로 마우스 포인터 방향으로 8m 이동한다.이동 거리는 데빌헌터에게 밀리지만 선딜은 아예 없고 후딜도 굉장히 짧은데다 이동 속도마저도 거의 순간이동급으로 빨라 전 클래스 최상위의 스페이스기 중 하나로 꼽힌다. 여기에 호크아이의 이동기들이 대부분 준수하고 특히 가장 많이 채용되는 이동베기도 좋은 이동기로 꼽혀 호크아이가 기동력이 좋다는 인식에 한몫한 스페이스기로 꼽힌다.
하지만 역으로 그 '이동'능력에 치중된 능력 탓에 상면 등의 지속 시간도 굉장히 짧은 편이다. 한마디로 이동기로는 최고 수준이지만 스페이스기를 이용한 면역 노리기는 최악에 가까운 편.[33] 물론 타 직업처럼 후딜레이를 캔슬 안하면 극신기준으로도 1초를 넘기는 면역시간을 가지기에 상황따라 컨트롤로 극복할 수 있다.
2023.10.18 밸런스 패치에서 스페이스 이동기의 쿨타임이 9초에서 8초로 조정되었다.
4. 각성기 / 초각성기
4.1. 펜리르의 전령
| 차지 | 습득레벨 | 50 |
재사용 대기시간 | 300초 | 마나소모 | 없음 |
부가 효과 | |||
무력화 | 백어택 | 슈퍼아머 | 부위 파괴 |
중 | - | 피격이상 면역 상태이상 면역 | - |
차지가 가능하며, 오버차지 발사 시 거대한 펜리르의 전령을 불러 12594의 피해를 지속적으로 주고, 즉시 발사 시 작은 펜리르의 전령이 불려지며, 6716의 피해를 지속적으로 준다. |
스킬 특징이 독특하다보니 상대하는 보스의 크기와 어느 방향에서 쏘는지에 따라 딜이 하늘과 땅을 오가는 불안정성 때문에 호크 게이지 회복 효과가 추가되기 이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덩치가 작은 인간형 보스 상대로는 딜이 별로 안 들어가니 당연히 쓸 가치가 없고, 덩치가 큰 가디언류 보스 상대로 그나마 쓸만하다. 다만 덩치가 큰 보스에게 사용하더라도 히트박스가 얇은 측면에서 쏘면 2틱만 들어가 각성기 이름값을 전혀 못하는 데미지가 박히고, 히트박스가 넓은 앞뒤로 명중시켜 3틱이 들어가야 각성기 이름값을 해낼 수 있다. 최고 효율을 뽑으려면 대각선으로 명중시켜 4틱을 때려야 하는데, 쉴 새 없이 움직이는 로스트아크 보스들의 특성상 4틱은 어느 정도 운이 따라줘야 하기 때문에 사용 난이도가 매우 높다.[34]
2022년 4월 27일 밸런스 패치로, 사용 시 호크 게이지를 회복하는 효과가 추가되었다. 풀차지 시 100%, 풀차지를 하지않으면 25%를 회복한다. 맞추든 아니든 쓰기만 해도 호크 게이지가 풀로 차기 때문에 채용률이 대폭 늘었다.
시즌2 시절에는 보통 아덴 풀차징이 절실한 두동이 채용했고 죽습은 극딜이 가능한 골든 아이를 썻지만 23년 5월에 두동, 9월에 죽습이 개편을 받게 되면서 특화 딜러로 바뀐 두동이 극딜을 위해 골든 아이를 자주 들고, 죽습은 치신 딜러가 되면서 악몽셋 가동이 가능하고 초동 아덴을 채울 수 있는 펜리르의 전령을 채용하는 식으로 채용률이 반대로 틀어진게 특징이다.
시즌3이 시작되며 24년 8월에 초각성기 업데이트가 들어왔는데 펜리르의 전령 강화판인 기간틱 보우가 긴 사거리, 차징 불필요 등등의 요소로 편의성이 크게 늘고 대미지도 더 높아지면서 두동과 죽습 가리지 않고 유용해졌다. 실제로 25년 8월 기준으로도 채용률이 96%에 달한다.
4.1.1. 기간틱 보우 : 펜리르
| 일반 | 습득레벨 | 초각성 | |
재사용 대기시간 | 300초(1회) | 초각성 게이지 소모 | 10000 | |
부가 효과 | ||||
무력화 | 공격 타입 | 슈퍼아머 | 부위 파괴 | |
상 | - | 피격이상 면역 상태이상 면역 | 레벨 2 | |
기간틱 보우 : 펜리르를 전개하며 조작 후 발사하여 전방의 적들에게 X의 피해를 주고 날려버린다. |
1각과 동일하게 아덴 충전 기능이 살아있는데다 차징 시간 없이 단타로 바뀌면서 사용이 매우 편해졌다. 또한 원본 스킬처럼 사거리가 매우 긴데다[35] 히트스캔급으로 탄속이 빨라서 쉽게 맞출 수 있기 때문에 명중률도 높다. A.A.G.A 데드아이보다 초각성기 대미지도 더 높은 편.
은신 기능 이외에는 여러모로 2각의 초각성기보다 우월한 성능을 보이기 때문에 이전까지는 1, 2각에서 호불호가 갈리던 호크 유저들이 초각성기 출시 이후론 거의 대부분 1각을 고정으로 채용하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4.2. 골든 아이
| 일반 | 습득레벨 | 50 |
재사용 대기시간 | 300초 | 마나소모 | 없음 |
부가 효과 | |||
무력화 | 백어택 | 슈퍼아머 | 부위 파괴 |
중 | - | 피격이상 면역 상태이상 면역 | - |
금빛 매 4마리를 소환해 자신 주위로 회전시켜 회오리를 생성해 공격한다. 회오리는 점차 강해지며 적에게 최대 40143의 피해를 주고 공중에 띄운다. 회오리 생성 후 7초간 피격 당해도 풀리지 않는 은신 상태가 되며, 이동할 경우 몬스터와 충돌이 무시된다. |
호크아이의 2차 각성기. 시전 시 호크아이를 중심으로 매 회오리가 생성된다. 스킬 설명처럼 초반타격이 아닌 후속 타격으로 갈 수록 대미지가 쎄지기에 풀 타격을 맞출 수 있는 상황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범위가 의외로 좁아 보스가 조금만 움직여도 빗나가는 상황이 종종 발생한다.
제대로 딜을 넣기 위해선 반드시 근접해서 써야하기에 원거리 컨셉과는 맞지않는 각성기이나 실상은 큰 의미가 없다. 왜냐하면 레이드에서 각성기까지 박을 정도라면 완벽한 프리길각이라는 의미이므로 각성기 시전이 아니라도 서포터 버프를 원활하게 받기 위해 뭉쳐서 딜하기 때문.[36] 1각이 보스의 히트박스에 따라 딜이 하늘과 땅으로 차이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반해 선딜이 짧고 그나마 빠르게 딜을 넣을 수 있어서 아드로핀 물약과의 연계가 좋기 때문에 순수 딜링용 각성기로 사용된다.
증명의 전장같은 PVP 콘덴츠에서는 긴 시간의 공중 띄우기 + 은신이 유용하기 때문에 고정으로 들고간다.
시즌 2 시절에는 두동보다 죽습쪽에서 채용했지만 23년 5/9월에 두동/죽습이 각각 개편된 이후로는 주로 특화를 올리는 두동쪽에서 극딜을 위해 가져간다. 반대로 죽습은 악몽셋 발동 겸 초동 아덴을 채우고자 펜리르의 전령을 채용하게 되었다.
시즌3 들어서 24년 8월 초각성 업데이트 이후로는 펜리르의 전령 강화판인 기간틱 보우가 은신 기능 이외에는 모든 면에서 우월하면서 채용률이 4%에 불과할 정도로 거의 쓰이지 않고 있다.
다만 짧은 선딜과 은신(으로 인한 어그로 해제)를 활용하고자 아주 적은 비중으로나마 채용이 되고 있는데 주로 조우 시 바로 골든 아이부터 갈긴다음 중간에 초각성기를 털고 쿨타임이 오면 다시 쓰는 각성기 위주 운용에 쓰기 좋다. 호크아이는 주력기 슈퍼 아머가 시원찮아서 조우 시부터 자신에게 어그로가 끌리면 조우 딜타임을 놓칠 위험이 큰 편인데 처음부터 골든 아이를 갈겨서 은신으로 혹시라도 있을 조우 어그로를 풀어버리고[37] 프리딜을 하는게 주 목적이라 보면 된다. 골든 아이 자체의 대미지는 높은 편이다보니 골든 아이 2회까지 쓴다면 초각성기인 A.A.G.A와 큰 차이가 없는 딜량을 뽑으므로 종합 딜에서 우위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각성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플레이를 하겠다면 사용하기 적합하다.
물론 펜리르의 전령처럼 아덴 충전은 없기 때문에 보통 일반적인 두동 호크보다는 블레이드 스톰이나 급소 베기 등으로 자체적인 아덴 수급이 원활한 매폭 극특 두동이나 죽습 호크쪽에서 써야한다.
4.2.1. A.A.G.A : 데드 아이
| 일반 | 습득레벨 | 초각성 | |
재사용 대기시간 | 300초(1회) | 초각성 게이지 소모 | 10000 | |
부가 효과 | ||||
무력화 | 공격 타입 | 슈퍼아머 | 부위 파괴 | |
최상 | - | 피격이상 면역 상태이상 면역 | - | |
A.A.G.A(Arthetine Air to Ground Arrow)[38]를 공중으로 마구 쏜 뒤, 점프하여 폭발 화살을 발사하면 화살이 도착한 지점에 A.A.G.A 화살들이 쏟아진다. A.A.G.A 화살들은 각각 X의 피해를 6회 발생시킨 후, 중앙 지면에 박힌 폭발 화살이 폭발하며 X의 피해를 주고 적을 날려버린다. 폭발 화살 발사 후 7초간 피격 당해도 풀리지 않는 은신 상태가 되며, 이동할 경우 모험가 및 몬스터와 충돌이 무시된다. |
공중으로 난사하는 사용 이펙트 때문에 원거리 스킬같지만 실제로는 골든 아이와 동일하게 근접 범위 스킬이다. 물론 명색이 초각성기라서 골든 아이보다는 공격 범위가 훨씬 넓기 때문에 실제로 맞추기는 어렵지 않다. 다만 마지막 폭발 화살을 쏘며 백덤블링을 하는 모션을 갖고 있기 때문에 서포터 버프를 받기 위해 다시 붙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대미지 자체는 펜리르의 정령 강화탄인 기간틱 보우보다 떨어지는 대신 골든 아이의 특징인 짧은 선딜과 7초 은신을 그대로 갖고 있기 때문에 사용 직후의 어그로 없는 프리딜을 위해 쓴다. 골든 아이와 마찬가지로 공격하면 은신이 풀리지만 잠시나마 어그로가 안 끌린다는게 이점인 셈. 기간틱 보우보다 선딜이 짧지만 무적 시간 자체는 동일하기 때문에 딜타임을 약간이나마 더 확보할 수 있는게 장점.
5. 삭제된 스킬
===# 일렉트릭 노바 #===- 스킬 모션[ 펼치기 · 접기 ]
| 일반 | 습득레벨 | 40 | 재사용 대기시간 | 24초 |
부가 효과 | |||||
무력화 | 공격 타입 | 슈퍼아머 | 부위 파괴 | ||
- | - | - | - | ||
활을 조준한 뒤 전류가 흐르는 화살을 날려보내, 적중 시 X, 내곽의 적에게 X, 외곽의 적에게 X의 [뇌] 속성 피해를 준다. 피격 당한 적은 60%, 내곽의 적에게 40%, 외곽의 적에게 20%의 확률로 3.0초 동안 전격 상태로 만들어 매 초마다 X 전격 피해를 준다. |
레벨별 스킬 정보 | 마나 소모량 | |
1 | 활을 조준한 뒤 전류가 흐르는 화살을 날려보내, 적중 시 204, 내곽의 적에게 91, 외곽의 적에게 68의 [뇌] 속성 피해를 준다. 피격 당한 적은 60%, 내곽의 적에게 40%, 외곽의 적에게 20%의 확률로 3.0초 동안 전격 상태로 만들어 매 초마다 42 전격 피해를 준다. | 101 |
4 | 활을 조준한 뒤 전류가 흐르는 화살을 날려보내, 적중 시 545, 내곽의 적에게 242, 외곽의 적에게 180의 [뇌] 속성 피해를 준다. 피격 당한 적은 60%, 내곽의 적에게 40%, 외곽의 적에게 20%의 확률로 3.0초 동안 전격 상태로 만들어 매 초마다 112 전격 피해를 준다. | 199 |
7 | 활을 조준한 뒤 전류가 흐르는 화살을 날려보내, 적중 시 702, 내곽의 적에게 311, 외곽의 적에게 232의 [뇌] 속성 피해를 준다. 피격 당한 적은 60%, 내곽의 적에게 40%, 외곽의 적에게 20%의 확률로 3.0초 동안 전격 상태로 만들어 매 초마다 144 전격 피해를 준다. | 363 |
10 | 활을 조준한 뒤 전류가 흐르는 화살을 날려보내, 적중 시 802, 내곽의 적에게 355, 외곽의 적에게 266의 [뇌] 속성 피해를 준다. 피격 당한 적은 60%, 내곽의 적에게 40%, 외곽의 적에게 20%의 확률로 3.0초 동안 전격 상태로 만들어 매 초마다 165 전격 피해를 준다. | 521 |
트라이포드 | |
1티어 | |
재빠른 손놀림(5/5) | 공격속도가 15.0/18.0/21.0/24.0/27.0% 증가한다. |
마력 조절(5/5) | 마나 소모량이 50.0/53.0/57.0/62.0/67.0% 감소한다. |
원거리 사격(5/5) | 일렉트릭 노바의 날아가는 거리가 3.0/3.5/4.0/4.5/5.0m 증가한다. |
2티어 | |
전류 지대(1/1) | 전격에 걸릴 확률이 적중된 적에게 100.0%, 내곽의 적에게 70.0%, 외곽의 적에게 50.0%로 증가한다. |
과부하(5/5) | 전류 피해량이 적중된 적에게 100.0/116.0/132.0/148.0/164.0%, 내곽의 적에게 50.0/58.0/66.0/74.0/82.0%, 외곽의 적에게 25.0/29.0/33.0/37.0/41.0% 증가한다. |
전하 충격(5/5) | 더 이상 전격 상태를 일으키지 않지만, 화살 및 전류에 적중된 적을 3.0초간 감전 상태로 만들고, 적에게 주는 피해가 50.0/58.0/66.0/74.0/82.0% 증가한다. |
3티어 | |
피뢰침(1/1) | 일렉트릭 노바의 화살이 곡사로 발사되고 100.0% 피해로 한번 더 폭발한다. |
일렉트릭 스톰(1/1) | 일렉트릭 노바의 크기가 30.0% 증가하고, 전류가 미치는 범위가 30.0% 증가한다. |
[1] 공격 속도 약 1.5초. 캐릭터의 공격 속도 증가나 쿨타임 감소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 고정 공속이다.[2] 여타 소환물 명령처럼 실버호크도 shift + 우클릭 단축키를 통해 공격 대상을 직접 지정할 수 있다.[3] 자연 회복량이란 전투 상태에서 실버 호크가 소환되지 않은 경우의 게이지 회복 속도를 의미한다.[4] 실버호크 평타와 실버호크 전용 공격 스킬 모두 포함.[5] 피해량 증가 계수는 0.085.[6] 그래서 실버호크 작열 보석을 8렙 이상으로 맞추는게 좋다. 기본 쿨타임 10초에 쿨감 20%를 받으면 딱 8초가 되어 버프 시간 8초와 맞물리게 돌아가기 때문.[7] 이걸 쓰는 죽음의 습격 스타일과 극특 두동은 둘 다 사용 시 호크 게이지의 50%를 환급받는다.[8] 깨달음 노드 효과로 호크 게이지 절반을 회복하므로 나머지 절반만 채우면 된다. 보통은 호크샷 + 이동베기, 블레이드 스톰, 급소 베기 + 이동베기 등이 활용된다.[9] 그래서 아토믹에 홍염/작열 보석을 주기도 한다.[10] 게다가 부파 효과는 적중하자마자 바로 들어간다.[11] 뭉가 효율은 화살촉 강화가 유리하지만 불꽃 화약의 도트댐도 나쁘지 않다. 어차피 어느쪽을 찍든 아토믹 애로우의 자체 딜지분은 끼워주는 스킬룬인 중독룬보다도 낮은 수준이니 자유롭게 고르자.[PVE] [13] 5렙 실버 마스터 트포에 전설 풍요룬 끼운 호크 샷 한 방이면 30%를 채울 수 있다. 죽습 호크 기준 50%의 매폭 페이백에 호크샷이면 게이지의 80%가 채워지는 셈이며 나머지는 실버 호크 비소환 상태의 자연 회복만으로 스킬 쿨이 돌아오는 시점에 채워진다.[14] 호크샷 단독 수급이면 실버 마스터, 다른 아덴 수급기를 채용한 경우 재빠른 손놀림[15] 스킬 사용 중 회피율 10% 증가[16] 로아의 회피는 피격 자체를 무효화 하기 때문에 사실상 확률적인 무적 효과다.[17] 개편 된 후로는 실버 호크 소환 중에도 게이지 수급이 가능해져서 이런 문제는 없어진 편이다.[18] 실버 마스터 트포에 영웅 트포만 끼워줘도 매폭으로 소모한 절반의 아덴 게이지를 단 번에 풀로 채울 수 있다. 질풍룬을 끼워주는 경우 풀충전까지는 안 되지만 이동베기 한 번만 추가로 써주면 풀충전이 가능하다.[19] 극특 두동의 매폭은 죽습보다 한방 대미지가 강한대신 던지고 실버호크가 없는동안 실버호크 평타 대미지를 손해보는 구조이므로 블스를 써서 최대한 빨리 재소환을 해야한다.[20] 6딜2매 세팅에서는 경쟁 관계지만 이동 베기도 빼고 블스를 넣어서 극한의 매폭을 땡기는 5딜3매 세팅인 경우 크레모아 지뢰와 블레이드 스톰을 둘다 들고가기도 한다.[21] 매폭을 쓰는 두동이면 매폭이 역할을 대신할 수 있기 때문에 보통은 매폭을 쓰지 않는 딥러닝 두동쪽에서 채용한다.[22] 내부 플레이어가 은신이 되면 프로켈은 그냥 자신의 정면으로만 패턴을 쓴다. 위험한 패턴인 감금이 발동되어도 마찬가지로 추적을 안하니 패턴을 공짜로 넘기는 셈.[23] 버서커와 슬레이어[24] HP 80.0% 이상의 대상에게 증댐. 사실상 아무도 안 쓰는 버린 트포.[PVP] [PVE/PVP] [27] 참고로 합산 표시 체크를 한 경우 개별 대미지가 아니라 합산된 틱댐을 일일히 보여주는 방식이므로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헷갈린다면 마지막에 뜨는 숫자가 종합 대미지라고 생각하면 된다.[28] 환경 설정 > 게임 플레이 > 전투 관련 설정 항목에서 체크할 수 있다.[PVE/PVP] [30] pvp는 날려버리지 않으며 피해만 준다.[31] 두동호크는 치적 불균형 때문에 락온 자체를 잘 쓰지 않는다.[32] 도약3렙에 무마2 기준 약 25초.[33] 10렙 찍은 이동베기를 쓴다면 상면 문제는 충분히 커버할 수 있다.[34] 현재 로아의 모든 레이드 보스 중 펜리르 4틱을 맞아주는 보스는 아브렐슈드 3관문의 태초의 악몽과 일리아칸 하드 4관문외에는 없다.[35] 예를들어 에키드나 윗뱀에 붙어서 아래쪽 뱀 방향으로 조준해서 쏘면 두 뱀 모두 맞출 수 있다.[36] 이는 1각도 마찬가지로 말이 원거리 스킬이지 실상 발사체 날려서 맞추는 스킬이다보니 가까이서 쏘는게 맞추기가 더 유리하다.[37] 은신 자체는 공격하면 풀리지만 은신으로 인한 어그로 해제는 은신이 풀려도 유효하다.[38] 아르데타인 공대지 화살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호크아이(로스트아크)|호크아이(로스트아크)]]}}}{{{#!if external != "o"
[[호크아이(로스트아크)]]}}}}}}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호크아이(로스트아크)?uuid=ff6552dc-6d1e-4531-97f3-4d40abada98a|r568]]}}}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호크아이(로스트아크)?uuid=ff6552dc-6d1e-4531-97f3-4d40abada98a#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호크아이(로스트아크)?from=568|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호크아이(로스트아크)|호크아이(로스트아크)]]}}}{{{#!if external != "o"
[[호크아이(로스트아크)]]}}}}}}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호크아이(로스트아크)?uuid=ff6552dc-6d1e-4531-97f3-4d40abada98a|r568]]}}}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호크아이(로스트아크)?uuid=ff6552dc-6d1e-4531-97f3-4d40abada98a#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호크아이(로스트아크)?from=568|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