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전통주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탁주(濁酒) | <colbgcolor=#fff,#191919>막걸리 · 이화주 · 모주 · 감향주 · 감주 · 사절주 · 하절주 | ||
청주(淸酒) | <colcolor=#C77D26> 순곡 | 순곡청주 | ||
첨가 | 약주 (약용약주 · 가향주 · 과실주) | |||
기타 | 동동주 · 신도주 | |||
소주(燒酒) | 순곡 | 순곡소주 (쌀소주 · 보리소주 · 수수소주 · 밀소주 · 옥수수소주 · 좁쌀소주 · 고구마소주 · 메밀소주) | ||
첨가 | 약소주 (담금주) | |||
혼양주(混釀酒) | 과하주 · 합주 · 혼돈주 | |||
지역별 | 강원도 · 경기도 · 경상도 · 전라도 · 제주도 · 충청도 · 평안도 · 함경도 · 황해도 | |||
관련용어 | 누룩 · 고두밥 · 곡차 | |||
같이 보기: 한국의 술 | }}}}}}}}} |
|
혼양주법으로 만들어진 송순주 |
1. 개요
混釀酒한국의 전통주로 두 가지 이상의 술을 섞어서 만드는 술이다. 대표적인 종류로는 과하주가 있다.
의미를 확대하여 혼성주의 하위분류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렇게 본다면 유럽의 주정강화 와인, 현대의 소맥도 혼양주의 일종으로 간주될 수 있다.
2. 종류
2.1. 전통주류
2.1.1. 과하주
청주와 소주를 섞어서 만들어진다. 증류주가 섞이기 때문에 상당히 높은 도수를 자랑한다.2.1.2. 합주
탁주와 청주가 섞어진 술. 본래 청주와 탁주는 쌀로 술을 만들고 나서 남은 쌀 지게미를 얼마나 건져내냐에 따라 구분되는데, 이를 다시 합하였기 때문에 본래의 미주에 가까운 상태가 된다.아예 처음부터 거르지 않을 경우 혼돈주가 된다. 같은 발음 때문에 헷갈릴 수 있으나 아래의 폭탄주 형태인 혼돈주와는 다른 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