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74ca1> | 삼성 라이온즈 2025 시즌 외야수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5 구자욱 [[주장| C ]] · 8 김재혁 · 13 이성규 · 25 김태훈· 31 윤정빈 · 32 김헌곤 · 39 김성윤 · 40 함수호 · 58 김지찬 · 63 홍현빈 · 104 주한울 · 107 박승규 · 108 김태근 · 117 이진용''' | ||
최종 편집: 2025년 2월 11일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1군 엔트리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63번 | ||||
양우현 (2024.5.30.~2024) | → | 홍현빈 (2025~) | → | 현역 |
| |
<colbgcolor=#074ca1><colcolor=#fff> 삼성 라이온즈 No.63 | |
홍현빈 洪現彬 | Hong Hyun-Bin | |
출생 | 1997년 8월 29일 ([age(1997-08-29)]세) |
경기도 수원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수원신곡초 - 매송중 - 유신고 |
신체 | 174cm | 70kg | O형 |
포지션 | 외야수 |
투타 | 우투좌타 |
프로 입단 | 2017년 2차 3라운드 (전체 21번, kt) |
소속팀 | kt wiz (2017~2024) 삼성 라이온즈 (2025~) |
병역 |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19년 1월 21일~2020년 8월 27일) |
등장곡 |
|
aespa - 《Live My Life》 | |
소속사 | 스포네이션 |
응원가 | |
미정 | |
|
[clearfix]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소속 우투좌타 외야수.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
유신고 시절부터 스카우트들의 관심이 쏟아졌던 선수이다. 1학년 때부터 주전 외야수으로 뛰었으며, 공수주에서 골고루 장점을 보이며 2017년 드래프트 당시 외야수 최대어로 평가받았다. 2017년 KBO 신인 드래프트 kt wiz의 1차 지명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유급 이력과 부진했던 초반 페이스가 겹치며 1차 지명 대상자인 조병욱에 이어 2차 3라운드에 지명되었다. 고교 선배인 유한준을 만나게 된 것에 대하여 어릴 때부터 우상이었던[3] 유한준과 같은 팀에서 뛰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
2.2. kt wiz
2.2.1. 2017 시즌
입단 첫 해부터 스프링캠프 명단에 포함되었고, 시범경기에서도 꾸준히 출장 기회를 얻으며 개막 엔트리에 포함되었다.4월 4일 두산전까지 안타가 없었지만 타수는 고작 2타수였기 때문에 1군 무대에 적응하면 어떻게 될지 기대가 되는 선수이다.
5월 26일 돈 로치가 팔꿈치 미세 염증으로 말소당하여 콜업되었고, 당일 두산전에서 김동욱의 대타 이진영이 볼넷으로 출루하자 대주자로 투입되었다. 이후 오태곤이 적시타를 치자 이를 놓치지 않고 빠른 발을 이용해 홈까지 주루에 성공하며 팀의 역전승에 기여하였다.
그런데 퓨처스리그 경기 도중 발목 인대가 끊어져 수술을 받았다고 한다.[4] 발목이 심하게 골절을 당해 1년 이상 재활이 걸린다고 한다.
2.2.2. 2018 시즌
|
재활을 마치고 퓨처스리그 개막전에서 4타수 2안타를 기록했다.
4월 6일에 처음으로 1군 엔트리에 등록되었고, 1번 타자 좌익수로 선발 출전 예정이었으나, 미세먼지로 인해 경기가 취소되면서 출전 기회는 미뤄지게 되었다.
손목 재활 중이어서 8월 중순쯤에 복귀할 것으로 보인다.
2.2.3. 군 복무
2018 시즌이 끝난 후 상무 피닉스 야구단에 지원하여 최종 합격하였다.2020년 8월 27일에 제대하였다.
2.2.4. 2020 시즌
8월 28일 전역하자마자 1군에 복귀했다. 외야에 확고한 주전이 있는 만큼 대주자나 대수비로 나설 것으로 보인다.9월 4일 SK와의 더블헤더 2차전에 중견수로 선발 출장했는데, 기습번트를 두 개 대고 두 번 다 횡사해버렸다.
20타석 무안타를 기록하면서 침묵의 야구를 이어가고 있다. 볼넷 4개, 삼진 5개를 내주는 등 꽤나 신중히 접근하는 야구를 펼치고 있지만 결국 타율 0.000으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2.2.5. 2021 시즌
5월 22일 허도환이 말소되고 1군으로 콜업되었다. 22일 한화전에서 대주자로 출장했다.5월 23일 한화전에서 7회 대주자로 출장, 타석에서는 삼진을 당하며 1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5월 26일 SSG전에서 8번 좌익수로 선발 출장했다. 두 타석에서 모두 삼진을 당하며 2타수 무안타를 기록, 7회 대타 김민혁과 교체되었다.
5월 27일 SSG전에서 8회 대주자로 투입되었다. 10회 말 1사 1루 상황에서 타석에 들어서 투수와 1루수 사이에 떨어지는 번트 안타로 시즌 첫 안타를 신고했다. 이 안타로 1사 1, 2루 찬스를 만들어낸 kt는 이어진 장성우의 1타점 2루타로 끝내기 승리를 거뒀다. 경기 종료 후 이강철 감독은 "경기를 마무리한 장성우에게 고맙고 홍현빈도 센스 있는 플레이를 보여줬다."며 홍현빈의 안타를 언급했다.
5월 29일 KIA전 8회 대주자로 투입되었다. 심우준의 3타점 2루타로 홈을 밟으며 시즌 첫 득점을 올렸다. 9회 타석에서는 희생번트를 시도, 3루수의 수비 실책으로 출루했다.
6월 1일 LG전에서 8회 말 조용호와 교체 투입, 좌익수 대수비로 출장했다.
6월 4일 롯데전에서 8회 조용호와 교체 투입, 좌익수 대수비로 출장했으며, 타석에서는 3구 삼진을 당하며 1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6월 5일 롯데전 7회 대주자로 투입되어 배정대의 쓰리런 홈런으로 득점을 올렸다.
별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였고, 6월 6일 천성호와 자리를 맞바꾸어 말소되었다.
9월 29일 두산전 7회초 제라드 호잉의 대수비로 나가 8회말에 타석에서 125일 만의 안타를 만들어냈다. 하지만 타격 기회가 오지 않고 있다. 이후 10월 14일에 한 타석을 소화한 뒤 계속 대주자, 대수비로 출전하고 있다.
2021년 한국시리즈 엔트리에 포함이 됐으나 한 경기도 출전하지 않고 우승반지를 획득했다.
2.2.6. 2022 시즌
배정대가 부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좋은 활약을 보여주고 있다.5월 27일 첫타석에서 안타를 때려냈으나 7회말 무사 1,2루 기회에서 투수 김범수를 상대로 번트에 실패했다. 이후 히트앤런 작전이 걸려 볼을 맞춰야했으나 그것조차 실패하고 스윙 삼진, 무사 1,2루를 2사 2루로 바꿔먹고 내려갔다.
9월 1일에 콜업되었고, 대수비, 대주자로 주로 출전하다 9월 17일 김민혁 대신 출전하여 2타수 2안타를 기록하고 빠른 발로 황재균의 병살성 타구에서 2루까지 진루하는데 성공하였다. 9월 18일에는 조용호의 대주자로 나와 평범한 중견수 플라이에 3루까지 진루한 뒤 득점에도 성공하였다. 이후 8회말 타석에서 볼넷을 골라 출루하였다.
2.2.7. 2023 시즌
등번호를 31번으로 교체했다.퓨처스 팀 주장으로 임명되었다.
스프링캠프에도 탈락하고 시범경기에도 출전하지 않았으나 주전 중견수 배정대의 부상으로 개막엔트리에 포함되었다.
주로 대주자, 대수비로 출장하다가 조용호 말소를 기준으로 선발 기회를 종종 잡고 있다.
4월 28일 중견수 김민혁이 수비 도중 담이 올라오는 바람에 교체 투입되었다. 5회초 강민호의 타구 판단을 잘못해 점수차가 벌어지게 하는 아쉬운 수비 장면이 있었다. 다음 말 공격 2사 1,3루 타석에서 우중간을 크게 가를 뻔한 좋은 타구를 쳤으나 상대 중견수 김성윤이 호수비를 보이면서 더욱 비교되고 말았다. 그 이후 8회말 선두타자로 나와 안타로 출루하고 문상철의 희생플라이때 득점했다. 이후 같은 이닝 타석이 한번 더 돌아 2사 만루 찬스에서 1타점 적시타까지 쳤다. 그러나 10회말 팀의 마지막 타석에서 삼진을 당하면서 팀의 연패를 막진 못했다.
이후 타격 페이스가 점차 떨어진 대신 장기인 수비력을 살려 백업 외야수 역할을 하고 있다.
6월 3일 말소되었다.
6월 27일 익산에서 진행된 삼성과의 퓨처스 리그 경기에서 8회 말에 3점 홈런을 쳤다. 2020년 이후 첫 홈런이다.
이후 소식이 없는데 확장 엔트리 때도 올라오지 못하고 정규 시즌이 끝나버렸다.
2.2.8. 2024 시즌
어김없이 2군을 폭격하며 활약중이다. 올해는 장타에 눈을 뜬 것인지 도루는 자제하고 있지만 장타를 빠르게 생산해내고 있으며 장타율이 타율의 2배에 육박한다. 2023년까지 퓨처스 통산 홈런이 3개였지만 6월 초까지 홈런 3개를 때려냈다.6월 27일 SSG전에서 교체 출장하여 1타수 1안타 1볼넷으로 좋은 활약을 보였다.
이후 경기부터 대수비, 대주자로 매일 출전하며 제 역할을 톡톡히 수행하고 있다. 안타를 자주 치지 못해도 장점인 선구안을 발휘하여 볼넷을 통해 찬스를 이어나가고 적극적인 주루플레이를 가져가는 등 송민섭의 역할을 이어받은 모습이다.
7월 31일 정준영과 함께 말소되었다. 다만 반대급부로 올라온 선수가 최근에 말소되었다가 다시 콜업된 조용호와 2군 경기도 출장하지 않으며 사실상 은퇴 수순을 밟고 있던 송민섭인데, 송민섭이 수비를 더 잘하고, 어린 선수에게 기회를 충분히 주었다는 이강철의 어이가 털리는 발언으로 많은 팬들이 분노를 표출하고 있다.
결국 10월 10일 kt에서 방출되었다.
2.3. 삼성 라이온즈
방출된 뒤 인스타그램에 kt 팬들에 대한 감사 인사를 남겼는데, 해당 게시글에 조대현이 12년만에 상대팀으로 만나겠다는 댓글을 달면서[5] 새로운 팀을 찾은 것으로 추정되었고, 이후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사자 사진을 올리며 삼성 라이온즈 입단을 암시했다. # 그리고 11월 24일 뉴스에도 삼성 입단 기사가 뜨면서 영입이 확정되었다. # 이로써 KT 시절 함께했던 박병호, 김재윤, 김태훈[6]과 재회하게 되었다. 공교롭게도 끝내기 안타를 허용해 커리어 최고의 순간을 만들어주었던 팀인 삼성으로 이적하게 되었다. 수비와 주루는 이미 충분히 검증되었고, 삼성 입장에서도 코너 외야수 자원은 꽤나 있지만 중견수 수비가 가능한 김현준은 상무에 입대했고, 주전 중견수 김지찬 외에 중견수 수비가 가능한 백업 자원으로는 김재혁, 박승규, 김성윤, 김헌곤 등 꽤나 있지만 김헌곤은 언제 에이징 커브가 와도 이상하지 않을 나이고 나머지는 타격에서의 포텐이 터지지 않은 선수가 대부분이라서 타격에서 발전한 모습을 보인다면 주전 자리는 힘들어도 기회는 금방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7]2.3.1. 2025 시즌
정식 선수로 등록되었다. 등번호도 당초 받았던 121번에서 63번으로 바꿨다.3. 플레이 스타일
홍현빈의 강점은 빠른 발로, 빠른 발과 강한 어깨를 바탕으로 좋은 수비 능력을 가지고 있다. 타격은 기본적으로 눈야구가 가능하여 타율보다 1할 높은 출루율을 기록하고, 컨택이 좋아 장차 테이블 세터로 발전이 기대되는 선수.다만 주전으로의 도약을 위해서는 벌크업 및 파워 개선이 필요하다.
4. 연도별 성적
| ||||||||||||||||||
<rowcolor=#fff>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RC+ | sWAR |
2017 | kt | 8 | 6 | 0 | 0 | 0 | 0 | 1 | 0 | 1 | 0 | 4 | .000 | .000 | .000 | .000 | - | -0.01 |
2018 | 14 | 15 | 3 | 0 | 0 | 0 | 2 | 1 | 1 | 2 | 5 | .231 | .333 | .231 | .564 | 51.7 | 0.12 | |
2019 | 군 복무 (상무 피닉스 야구단) | |||||||||||||||||
2020 | 40 | 24 | 0 | 0 | 0 | 0 | 5 | 1 | 0 | 5 | 5 | .000 | .217 | .000 | .217 | -21.5 | -0.16 | |
2021 | 43 | 12 | 2 | 0 | 0 | 0 | 8 | 0 | 0 | 0 | 8 | .182 | .182 | .182 | .364 | -25.0 | -0.12 | |
2022 | 61 | 92 | 18 | 2 | 0 | 0 | 8 | 1 | 4 | 10 | 26 | .237 | .326 | .263 | .589 | 67.5 | 0.52 | |
2023 | 44 | 86 | 17 | 2 | 0 | 0 | 15 | 1 | 2 | 13 | 21 | .233 | .349 | .260 | .609 | 78.2 | 0.15 | |
2024 | 28 | 22 | 4 | 0 | 1 | 0 | 5 | 2 | 0 | 3 | 7 | .222 | .333 | .333 | .667 | 78.0 | -0.18 | |
KBO 통산 (7시즌) | 238 | 257 | 44 | 4 | 1 | 0 | 44 | 6 | 8 | 33 | 76 | .205 | .310 | .233 | .543 | 53.7 | 0.31 |
5. 여담
- 2017년 kt wiz 팬북 인터뷰 내용에서 FA 150억을 받겠다는 당찬 포부를 보였다.
- 덧니가 매력적이다.
- kt 소속 당시 경기도 수원시를 연고지로 삼고 있는 소속팀에서 귀한 로컬 보이였다. 그래서 kt에서 방출됐을 때 백업으로 쏠쏠히 기용됐던데다가 역사가 짧은 팀에서 몇 안 되는 지역 연고지 출신 프랜차이즈 선수를 방출하는 것은 아니지 않냐는 목소리가 꽤 있었다.[8]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홍현빈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2021 |
kt wiz 등번호 5번 | ||||
마르테 (2015~2016) | → | <colbgcolor=#eb1c24><colcolor=#fff> 홍현빈 (2017~2018) | → | 안승한 (2019~2020) |
kt wiz 등번호 0번 | ||||
임지한 (2020~2020.8.12.) | → | 홍현빈 (2020.8.28.~2020) | → | 김건형 (2021.3.26.~2021) |
kt wiz 등번호 8번 | ||||
이창재 (2020) | → | 홍현빈 (2021~2022) | → | 안치영 (2023~) |
kt wiz 등번호 31번 | ||||
전유수 (2019~2022) | → | 홍현빈 (2023~2024) | → | 최성민 (2025~) |
[가사1] 안타를 쳐줘요 홍현빈 홈런을 쳐줘요 홍현빈 kt 승리를 위하여 kt 홍현빈 화이팅! (템포 증가) 안타를 쳐줘요 홍현빈 홈런을 쳐줘요 홍현빈 kt 승리를 위하여 날려버려 홍현빈![2] 2018 시즌 이진영이 잠시 사용했으나, 이진영의 은퇴로 전역 뒤 다시 사용하고 있다.[3] 유한준이 현대 소속일 때부터 팬이었다고 한다.[4] 상대 1루수의 태그를 피하려 했는데 베이스를 잘못 밟아 발목뼈가 드러날 만큼 발목이 심하게 꺾였다고 한다.[5] 홍현빈과 조대현은 매송중-유신고 1년 선후배이며 kt에서도 6시즌을 함께 보냈다.[6] 김태훈과는 같은 유신고 출신이다.[7] 장타력이 검증된 윤정빈과 이성규도 중견수 수비가 가능하지만 수비 안정성은 홍현빈보다 매우 떨어진다.[8] 1군에서 주전급으로서는 아쉬운 활약을 한 것은 맞지만 나이가 많은 것도 아니고 기회도 많이 준 편도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