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우의 2024 시즌에 대한 내용은 장성우/선수 경력/2024년 문서 참고하십시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장성우(동명이인)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0> | kt wiz 2025 시즌 포수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2 장성우 [[주장| C ]] · 42 조대현 · 44 김준태 · 50 강백호· 55 강현우 · 96 이승현 · 97 김민석 · 103 이정환''' | ||
최종 편집: 2025년 1월 25일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
장성우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장성우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2021 |
2013 KBO 퓨처스 북부리그 타격왕 |
2013 KBO 퓨처스 북부리그 타점왕 |
2023 마구마구 리얼글러브 어워드 베스트 배터리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0> | kt wiz 역대 주장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2014 | 2015 | 2016~2018 | 2019~2020 | 2021 |
신명철 | 신명철 이대형 (임시 주장) | 박경수 | 유한준 | 황재균 ★ | |
<rowcolor=#fff> 2022~2024 | 2025~ | ||||
박경수 ☆ | 장성우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48번 | ||||
허준혁 (2007) |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 장성우 (2008~2010) | → | 진명호 (2011~2013) |
캔버라 캐벌리 등번호 20번 | ||||
팀 창단 | → | 장성우 (2010-11) | → | 마이클 레어드 (2011-12)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22번 | ||||
나승현 (2010) | → | 장성우 (2011) | → | 이지모 (2012~2015)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26번 | ||||
변용선 (2010~2013) | → | 장성우 (2014~2015.5.2.) | → | (2015.5.3.~2017) |
kt wiz 등번호 22번 | ||||
안중열 (2014~2015.5.2.) | → | 장성우 (2015.5.3.~) | → | 현역 |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 '''kt wiz No.22 C ''' | |
장성우 張成宇 | Chang Seong-Woo | |
출생 | 1990년 1월 17일 ([age(1990-01-17)]세)[1] |
부산직할시 사하구 (現 부산광역시 사하구)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감천초 - 경남중 - 경남고 |
신체 | 187cm | 100kg | A형 | 295mm |
포지션 | 포수, 지명타자[2], ~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08년 1차 지명 (롯데) |
소속팀 | 롯데 자이언츠 (2008~2015) kt wiz (2015~) 캔버라 캐벌리 (2010/11) |
병역 | 경찰 야구단 (2011년 12월 29일 ~ 2013년 9월 28일) |
계약 | 2022 - 2025 / 42억 원[4] |
연봉 | 5억 원 (FA, 2025년) |
등장곡 | 구단 자작곡 |
응원가 | Shades Apart - 《Stranger By the Day》 (2015~2017, 2022~)[]KT의 장성우 워어어어워~ KT의 장성우 어어워어어~ KT의 장성우 워어어어워~ 승리를 위하여~ 워~워~x2][6] 이전 응원가 |
가족 | 아내, 아들, 딸 |
MBTI | ESFP |
[clearfix]
1. 개요
kt wiz 소속 포수.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장성우/선수 경력 |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
군 복무 | 2014년 | 15 롯데 | 15 KT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아마추어 시절 |
3. 플레이 스타일
4. 연도별 성적
장성우의 역대 KBO 기록 | ||||||||||||||||||
<rowcolor=#ffffff>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RC+ | sWAR |
2008 | 롯데 | 1군 기록 없음 | ||||||||||||||||
2009 | 44 | 112 | 26 | 6 | 0 | 1 | 14 | 12 | 3 | 8 | 26 | .265 | .318 | .357 | .675 | 70.5 | -0.23 | |
2010 | 61 | 108 | 18 | 4 | 0 | 1 | 5 | 7 | 0 | 6 | 27 | .180 | .226 | .250 | .476 | 16.4 | -0.15 | |
2011 | 64 | 73 | 16 | 0 | 0 | 0 | 6 | 6 | 0 | 10 | 17 | .258 | .356 | .258 | .614 | 84.4 | 0.40 | |
2012 | 군 복무(경찰 야구단) | |||||||||||||||||
2013 | ||||||||||||||||||
2014 | 43 | 99 | 23 | 4 | 0 | 1 | 10 | 9 | 0 | 12 | 19 | .274 | .364 | .357 | .721 | 79.5 | 0.25 | |
<rowcolor=#ffffff>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RC+ | sWAR |
2015 | 롯데 / KT | 133 | 491 | 123 | 20 | 1 | 13 | 55 | 77 | 1 | 46 | 85 | .284 | .346 | .425 | .771 | 91.0 | 2.03 |
2016 | KT | 1군 기록 없음 | ||||||||||||||||
2017 | 118 | 348 | 68 | 11 | 1 | 8 | 28 | 46 | 0 | 43 | 59 | .231 | .357 | .329 | .686 | 74.3 | -0.03 | |
2018 | 127 | 393 | 92 | 13 | 0 | 13 | 41 | 48 | 1 | 32 | 82 | .258 | .321 | .404 | .723 | 78.7 | 0.98 | |
2019 | 126 | 413 | 96 | 7 | 0 | 7 | 25 | 41 | 0 | 35 | 86 | .263 | .326 | .340 | .666 | 81.2 | 1.42 | |
2020 | 130 | 455 | 111 | 15 | 0 | 13 | 39 | 79 | 0 | 38 | 64 | .278 | .337 | .413 | .750 | 93.8 | 3.06 | |
2021 | 127 | 460 | 89 | 13 | 0 | 14 | 46 | 63 | 1 | 60 | 69 | .231 | .337 | .374 | .711 | 93.8 | 1.61 | |
2022 | 117 | 420 | 94 | 11 | 0 | 18 | 48 | 55 | 1 | 52 | 79 | .260 | .353 | .439 | .792 | 118.0 | 3.40 | |
2023 | 131 | 464 | 118 | 22 | 0 | 11 | 37 | 65 | 1 | 42 | 70 | .288 | .351 | .422 | .773 | 110.5 | 3.29 | |
2024 | 131 | 489 | 112 | 19 | 0 | 19 | 53 | 81 | 5 | 60 | 86 | .268 | .355 | .450 | .805 | 104.2 | 3.23 | |
KBO 통산 (13시즌) | 1352 | 4325 | 986 | 145 | 2 | 119 | 407 | 589 | 13 | 444 | 769 | .262 | .338 | .396 | .734 | 90.4 | 19.25 |
5. 논란 및 사건 사고
5.1. 사생활 폭로 사건
자세한 내용은 장성우 사생활 폭로 사건 문서 참고하십시오.2014년 3월 12일에 검열삭제 사진이 페이스북에 공개돼서 인터넷의 뜨거운 화제로 오르내렸다. 그리고 이것 때문인지 시범경기에 얼마 나오지도 않았음에도 2군으로 내려갔다가 한달만에 1군으로 기어올라왔다. 그래서 생긴 별명이 '섹마돌', '섹성우', '만리장성우' 이다.
2015년 10월 8일, 또 사생활 문제로 일이 터졌다. 이번에는 팬 포함, 프로야구 관계자들을 전반적으로 비하했다는 주장이 올라온 것. 자세한 내용은 장성우 사생활 폭로 사건 쪽에 자세히 서술되어 있다. 해당 사건으로 700만 원 벌금형을 선고 받았다.
2016년 7월 7일 2심에서 검사측의 항소심이 기각되면서 원심인 벌금 700만 원이 확정되었다.
6. 여담
- 前 롯데 감독 이종운의 애제자로 언급되는 대표적인 선수. 경남고 재학 시절 이종운과 사제지간으로, 롯데의 1차 지명으로 선발되어 입단하기 직전인 2007년 tvN '현장토크쇼 TAXI'에 이종운 감독과 같이 출연하기도 하였다.[12] 때문에 이종운이 2015년 시즌부터 롯데 감독으로 오게 되면서 경남고 감독에 사학비리가 있었다며 소문으로 언급되는 선수도 바로 장성우였고[13], 시즌 시작 1달여 후 트레이드로 롯데에서 KT로 이적하게 되었을 때에는 언제고 백업포수에 만족하기 보다는 자기를 정말로 원하는 팀에서 뛰는 것도 선수 인생에서 봤을 땐 좋은 일이라는 발언을 하였다. 여러모로 자의반 타의반으로 줄곧 언급되는 사제관계.
- 롯데에서 같이 경쟁하는 포수라는 점에서 2009년 이후 강민호와의 우열논쟁은 그야말로 끝없는 떡밥으로 그 과정에서 포수방어율의 의미에 대한 논쟁, 포수의 투수 리드가 차지하는 비율 논쟁 등등등. 2009년 이후 포수에 대한 논란의 거의 대다수는 이 두선수에서 비롯되었다고 봐도 좋을 정도. 그러나 2011시즌 강민호가 수비력에서도 리그 정상급으로 올라선데 비해 장성우는 오히려 퇴보한 수준을 보여줬고, 장성우가 KT로 트레이드돼 논쟁 자체가 무의미해졌다. 14시즌엔 되려 강민호가 수비형 포수라고 욕 들어먹었다. 하지만 투수 리드 문서에서도 알 수 있듯 리드라는 개념은 세이버매트릭스 상으로 증명되지 않는, 사실상 허상에 가깝다. 그리고 커리어 내내 장성우는 강민호를 뛰어넘는 성적을 기록하지 못하면서 우열논쟁도 사실상 식은 떡밥이 되었다.
- 하준호와는 고교 동문이며 같은 시기 롯데에 입단해 같은 날에 KT로 함께 이적했기 때문에 8년째 같은 팀이다. 포지션도 하준호는 투수고 장성우는 포수기 때문에 배터리로 호흡을 맞춘 기간도 길다.
- 사생활 논란 때문에 이 부분 한정으로는 지금도 두고두고 까이지만, 팬 서비스는 좋은 편이다. 일각에서는 이미지 쇄신만 바란다는 부정적 견해도 있지만, 옹호론으로 본다면 그런 사고를 치고도 자신을 찾아주니 감사해하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철이 든 건지 요즘에는 큰 사고도 안 친다.[14]
- 김상수의 언급에 따르면 원래 장성우와 친분이 있었고 잘 챙겨주는 듯 하다.
- 많이 알려지지 않은 사실인데, 17년 쯤에 비밀리에 결혼을 했고, 자녀도 있다.
- MBTI는 ESFP.
- 왼쪽 팔둑에 커다란 문신이 있다.
- 삼성 팬들에게는 삼나쌩으로 단단히 찍힌 선수이기도 하다.
- 같은 팀의 신본기와 초-중-고를 모두 같은 곳에서 다닌 동기 지간이며, 야구를 하게 된 계기도 신본기 때문이라고 한다. 신본기 왈 옆 반에 특이한 애가 있다는 건 알고 있었는데 어느 날 지나가는 장성우를 보고 아무 생각 없이 코치한테 장성우를 추천했다고 한다고 위즈티비에서 밝혔다.
- 응원가가 중독성이 있는 노래라 떼창도 엄청나다. 이 영상상을 보면 알 수 있다.
7. 별명
- 성골 소리 듣는 경남고등학교 출신이라 그런지 강민호와 대조적이게 롯데 자이언츠 공식 홈페이지의 커뮤니티 갈마(갈매기 마당)에서 한 때는 매우 전폭적인 지지와 찬양을 받았던 선수로, 강민호가 선발 출장해서 삽질하는 모습을 조금이라도 보이면 갈마에서는 장성우를 선발 기용 안 한 제리 로이스터와 강민호를 죽어라 깠었다. 갈마의 친 장성우, 안티 강민호 성향은 타 롯데 자이언츠 커뮤니티에 비해 과도할 정도였었기에, 심지어 강민호가 맹타를 휘두르거나 경기 전반적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줬을 때도 이상한 근거로 강민호를 깎아내리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었다. 당시 갈마 아재들의 행적 지금은 오히려 장성우보다는 그래도 강민호가 낫다며 장성우를 까기도 한다. 갈마의 이 성향에 대한 반작용으로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나 야구 갤러리에서 장성우는 '갈마의 아들' 혹은 갈마돌, 갈 마우어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현재 타격 차이는 그냥 넘사벽이고, 강민호 책임론으로 돌리던 투수진 붕괴도 선발은 그나마 살아나는 반면 불펜들은 여전히 방화범인 것이 계속되면서 투수 리드 논란도 소멸되었다. 거기다 장성우를 올리고도 털리는 경기가 몇 경기씩 등장하면서 과장된 평가도 사그라들었다. 때문에 갈마에서의 안티 강민호 성향도 거의 사그러든 상황이다. 오히려 최근에는 장성우가 못하면 그래도 강민호가 장성우보다 한 수 위라면서 장성우를 까는 글도 올라온다. 그래봤자 '경험의 차이. 몇 년 더 맡기면 강민호를 능가할 것이다'란 의견이 더 주류를 만들지만... 사실 장성우 찬양은 초기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에서도 심했기 때문에 야갤에서 많이 놀림받은 전례가 있다. 지금 생각해보면 이해가 안 가지만 당시 강민호는 급격한 타격스탯 저하, 불펜진의 연쇄 붕괴로 인해서 롯갤에서는 공공의 적 수준으로 폭격을 맞았다. 그 원인이 갈마는 지연과 학연인 반면 꼴갤은 디시 특유의 닥까성향, 그것도 얼굴 매일 보는 주전에게 가혹하고 비주전에게는 반대급부로 관대한 성향이었을 뿐이다. 2022년 태풍 난마돌이 북상할 때 꼴갤에선 이 별명을 따서 I'm 성우라고 부르고 있다.[15]
- 2NE1의 CL과 닮은 외모를 가지고 있어 여러모로 놀림을 받고 있다. 일명 장씨엘. 단 장성우 본인은 이걸 탐탁지 않아하는지 누가 이 별명을 말해주자 장성우 본인이 무척이나 싫어했다고 한다.
- 굉장한 노안으로 인해 20대에도 30대로 보여 아부지라고 불리기도 한다... 실제로 20대때 자녀가 생겨서 아이의 아버지가 되었다. 현재 34세지만 40대 초반으로 보인다.
- 2014년 마르지 않는 장성우 사랑 때문에 갈마 유저 하나가 손발이 오그라드는 응원글을 올렸고, 롯갤에서는 당연히 이 드립을 신나게 비웃고 만리장성우라는 별명을 마구 쓰며 비아냥댔다.
- 2015 시즌 중 KT로 이적한 이후 조범현 감독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있다. 경기 전 인터뷰나 경기 후 감독 코멘트를 잘 살펴보면 거의 빠지지 않고 꼭 등장하는 편. 이에 '조범현 감독의 양아들'이라는 의미로 조성우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참고로 '조성우'라는 별명은 장성우가 처음이 아니다. 2008년 KIA 타이거즈로 트레이드된 뒤 백업 포수로 중용되었던 이성우의 별명 중 하나가 '조성우'였다.
- 또한 kt 위즈 갤러리에서는 머리 크기가 지구만하다고 해서 지구라는 별명도 쓰인다. 다만 이는 꼴갤에서 먼저 쓰인 별명이다.
- 2015년의 사생활 폭로 사건 이후는 자음만 따서 ㅈㅅㅇ, 혹은 기사에서 익명 처리된 A선수, 에이장 (A선수 + 장성우)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중.
- 2021년에는 성우살롱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기사가 나왔는데 # 콱갤에서는 이를 비틀어 쌀농장[16]으로 부른다.
- 2024년 설사 증세로 라인업에서 빠졌다는 기사 때문에 장설사라는 별명이 추가되었다.
8. 관련 문서
[1] 빠른 1990년생이라 1990년생인 동료 김상수가 형이라고 부른다.[2] 2021년 5월 14~15일 롯데전에서 지명타자로 출전했다. 이강철 감독의 말에 따르면 조일로 알몬테의 타격 부진과 장성우의 어깨 문제 그리고 사직에서 강하다는 이유로 4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장했었다. 아마 추후 사직전 경기를 포함해서 타구단 경기 때도 가끔씩 지명타자로 선발 출전할 가능성이 있을 듯하다. (14일 사직 경기 이전 장성우의 최근 5시즌 사직구장 성적 타율 0.305, 5월 30일 광주 KIA전에서도 지명타자 선발 출전)[3] 2015시즌 초반 강민호와의 공존을 위해 8경기 48.1이닝 1루수로 출장했었지만, kt 이적 이후에는 1루수 출장이 전혀 없다.[4] 계약금 18억 원 / 연봉 총액 20억 원 / 옵션 4억 원.[] [6] 2017시즌 이후 저작권 문제로 인해 폐기되었다가 2022시즌에 부활했다.[7] 롯데의 장성우~우우~ 안타 오오오~오오오~ x4[8] 모두 다!다!다! 노래불러 라!라!라! kt wiz 장성우~×4[9] 故 김동은 선수 응원가를 재활용하였으나 오래 안 가서 사라졌다.[10] KT의 장성우 오오오오오~ KT의 장성우 오오오오오~ KT의 장성우 오오오오오~ 승리를 위하여~x2[11] 김범수의 '순수'와 멜로디가 비슷하지만 원곡은 아니다.[12] 현장 토크쇼 TAXI 17회 부산특집에서 가장 먼저 나온다.[13] 당연히 이종운은 인터뷰를 통해 극구 부인하였다.[14] 그 장성우가 맞나 싶을 정도로 오히려 동료들이 장성우의 미담을 알릴 때가 종종 있다. 인터뷰에서도 큰 논란이 될 말도 하지 않고 타인 칭찬을 많이 하는 편. 자팀 동료들과도 잘 지내고 타 팀 선수들과도 잘 지낸다.[15] 난=I'm, 마돌=성우[16] 살롱장→쌀농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