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00:43:17

이재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이재곤(동명이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재곤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41e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롯데 자이언츠
역대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4명)
김석일
김성호
김종근
김호근
박영태
박정후
배경환
양상문(1)
우경하
유두열
장상철(1)
최동원
한문연
(12명)
김민호
김재열
김진근
김한조
배종문
안창완
윤학길(1)
이문한
이석규
정인교
조성옥
조용철
(8명)
박동수
박희찬
양상문
이동완
이재성
이충우
장상철(1)
한영준
(8명)
강수경(1)
김성현
박동희
오명록
윤학길
이창원
임경택
최계영
김용권
김종석
정국헌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구명근
김형섭
이승훈
김청수
서호진
김선일
김도형
공필성
박정태 강성우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김경환 강상수 문동환 차명주
(고졸)
손균환
이재섭
이정훈
손민한
(고졸)
신명철
이승훈
정인석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임경완
(고졸)
김정열
김진수
이승학(1)
정원욱
(고졸)
송승준
강민영 추신수(1) 이정민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박정준 장원준 이왕기 손용석 이상화
이재곤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장성우 오병일 1차 지명 미시행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김유영 강동관 박종무 윤성빈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한동희 서준원 최준용 손성빈 이민석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1차 지명 폐지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1라운드 지명자는 1라운드 지명 선수 문서 참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1164d> 파일:질롱 코리아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1164d><colcolor=#FFF> 투수 11 권휘 · 15 구대성 · 17 길나온 · 19 강화영
21 박지웅 · 22 이상학 · 28 배진선 · 37 허건엽
39 장진용 · 46 김진우 · 50 이재곤 · 52 류기훈
93 김병근
포수 23 한성구 · 26 신승원 · 44 임태준
내야수 '''1 박휘연 · 5 국대건 · 7 이주호
10 이용욱 [[틀:질롱 코리아 주장|
C
]] · 16 조한결 · 24 임종혁
25 최준석 · 62 김승훈 · 86 유용목'''
외야수 2 우동균 · 8 노학준 · 9 장민도
34 서지호 · 47 권광민 · 51 최윤혁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대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용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하상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재백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병수'''
}}}}}}}}} ||
이재곤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66번
장지훈
(2006)
<colbgcolor=#000> 이재곤
(2007)
황진수
(2008~2009)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52번
강승현
(2008~2009)
이재곤
(2010~2017)
임종혁
(2018)
kt wiz 등번호 49번
한승훈
(2017)
이재곤
(2018)
박시윤
(2019)
질롱 코리아 등번호 50번
팀 창단 이재곤
(2018-19)
이원석
(2022-23)
}}} ||
}}} ||
파일:롯데 이재곤.jpg
이재곤
李宰坤|Lee Jae-gon
출생 1988년 11월 24일 ([age(1988-11-24)]세)
부산직할시 동래구
(現 부산광역시 동래구)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사직초 - 사직중 - 경남고
포지션 투수
투타 우언우타[1]
프로 입단 2007년 1차 지명 (롯데)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2007~2017)
kt wiz (2018)
질롱 코리아 (2018/19)
지도자 경남중학교 야구부 코치 (2020~2021)
해설위원 KBO 퓨처스리그 해설위원 (2024~)
병역 경찰 야구단
(2007년 12월 27일 ~ 2009년 11월 21일)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등장곡 에픽하이 - 〈UP〉 }}}}}}}}}

1. 개요2. 선수 경력3. 은퇴 이후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야구 선수이자 現 경남중학교 야구부 코치.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이재곤/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07~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3. 은퇴 이후

호주 리그가 끝난 뒤 현역에서 은퇴했고, 2020년부터 경남중학교 야구부 코치로 부임하며 지도자 생활을 하고 있다.

2022년부터는 부산에서 야구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

2024년부터는 퓨처스 리그 해설위원도 겸임하고 있다.

4. 플레이 스타일

투구폼은 사이드암 스로였으나 2016시즌부터 언더핸드 스로로 바꾸었다. 140km/h 정도의 패스트볼경찰청에서 배워온 싱킹 패스트볼(싱커)[2]가 주무기.[3] 그 위력이 대단하여 6월 20일 한화전에서는 무려 19개의 땅볼을 잡아내었고 데뷔 첫 완투승을 기록한 8월 3일 두산전에서도 16개의 땅볼(그중 하나는 병살타)을 유도해내며 27개의 아웃카운트 중 17개를 땅볼로 얻어냈다.

문제는 땅볼 유도가 저만큼 많다는 것은 그만큼 탈삼진 능력이 최악이라 인플레이 타구를 많이 허용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또한 싱커 외에 다른 무기가 없는 투피처라는 점. 본인도 고질적인 문제였던 투피치를 극복하기 위해 커브를 연마하려고 했으나 실패하고 그 여파로 밸런스도 무너졌다. 그리고 패스트볼-싱커의 단조로운 구성이 상대팀에 읽히기 시작한 이후론 털리는 일이 많아졌다. 그렇다고 그것을 상쇄할 만큼 제구력이 정교한 것도 아니다.

5. 여담

  • 파일:r2Sir6y.jpg
    합성 사진이 아니다!2015년 8월 17일 선발 등판 때 SBS sports의 실제 중계 화면이다. 결국 이날 이재곤은 박병호에게 만루 홈런을 얻어맞으면서 겨우 2이닝 먹고 강판당했다. 박병호의 통산 200홈런 허용 투수 타이틀은 덤이다.
  • 파일:attachment/이재곤/jok.jpg
    족재곤이라는 별명의 유래. JOKE를 JOK으로 써놨고 이를 한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 갤러가 발견하여 족재곤이 된 것. 물론 이후에 족의 뜻이 이걸로 바뀌었다. 잘 던질 때는 족각갑으로 별명이 바뀌었다. 물론 이럴 때는 드물었다.
  • 컴투스 프로야구 2016에서는 이재곤이 못한 2011~13년도는 구현이 되어있지만 정작 커리어 하이였던 2010년도 카드는 구현을 안 해놓아서, 일부 유저들이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물론 지속적인 건의로 이후 시리즈부터는 구현된 상태.
  • 애증의 유망주였다보니 간혹 꼴갤러들이 타 갤에 판매하러 놀러가곤 했다.[4] 반응들은 당연히 안 사요.
  • 은퇴 이후 롯데 팬들에겐 못하는 언더핸드 투수의 대명사로 쓰이고 있다.

6. 관련 문서


[1] 원래는 사이드암이었으나 2016년부터 언더핸드로 투구폼을 바꾸었다.[2] 경찰청에서 한 솥밥을 먹었던 기아의 사이드암 투수 신용운에게 배웠다고 한다.[3] 롯데 전 투수코치 양상문은 변화구는 횡슬라이더 말고는 못 가르쳤기에 자연히 알아서 성장하지 못하면 도태되는 게 롯데 투수들의 숙명이었다. 2010 시즌 롯데에서 그나마 제 몫을 한 이재곤이나 김수완 같은 투수들은 모두 자수성가형이다.[4] 특히 한화 이글스 갤러리에서 정재원과 트레이드시키려던 경우가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