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4 12:05:04

황자총통


파일:조선군 좌독기_White.svg
조선의 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백병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도검 사인검 · 월도 · 왜검 · 장검 · 창포검 · 환도 · 협도 · 쌍수도
당파 · 장창 · 낭선 · 기창 · 죽장창 · 요구창 · 겸창 · 이두표 · 표창
둔기 도끼(부월), 쇠좆매, 육모방망이, 철퇴, 철편, 편곤
발사
무기
궁(弓)시(矢) 국궁, 각궁, 목궁(교자궁), 죽궁, 쇠뇌 장전, 편전(애기살)
화기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화포
탄약지뢰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
별대완구,대완구,중완구,소완구,소소완구, 총통기, 호준포, 불랑기포, 홍이포, 운현궁 화포(소포, 중포, 대포), 목모포, 파진포, 지뢰포, 수뢰포
쇄마탄, 목통
진천뢰, 질려포통, 비격진천뢰, 죽장군, 대장군전
개인화기 조총, 천보총, 대조총, 일총통, 이총통, 승자총통, 사전총통, 삼안총, 세총통, 수포, 쌍자총통, Gew71, 레밍턴 롤링블럭, 스나이더-엔필드
화전・로켓 신기전 · 화차
방어구 갑(甲)군복 두정갑, 유엽갑, 피찰갑, 쇄자갑, 경번갑, 면제배갑, 엄심갑, 지갑, 어린갑(두석린갑) 납의 · 철릭 · 구군복 · 포졸복
주(冑) · 군모 간주형 투구, 첨주형 투구, 원주형 투구 전립 · 주립
방패 원방패, 장방패, 등패, 장태
군장 띠돈, 동개, 활집, 광다회, 전대
전차・육상병기 화차 · 비거 마름쇠
전선(戰船) 판옥선, 방패선, 거북선, 해골선, 맹선, 과선, 협선, 사후선, 누전선 }}}}}}}}}

1. 개요2. 설명

1. 개요

黃字銃筒

조선에서 개발한 화포.

2. 설명

조선 전통 화포인 천지현황 중 가장 작은 총통. 기존의 총통인 지자총통현자총통이 너무 무거워서 사용에 어려움이 있자 만들어진 소형 화포이다. 청동으로 만든 대포로 크기는 길이 50.4cm, 구경 4cm이다. 한 번 쏠 때마다 화약 3냥(112.5g)을 소모했으며 포탄으로는 소연자(小鉛子) 20매 또는 철환 40개, 화살형 포탄인 차중전(次中箭) 또는 피령차중전(皮翎次中箭)을[1] 사용했는데 피령차중전의 사정거리는 1,100보였다.

조선 후기에는 좀 더 커진 별황자총통(別黃字銃筒)이 제작되었다. 길이 89.2cm에 구경은 5.9cm로, 크기가 거대해진 만큼 화약 소모량도 1냥 늘어 4냥을 소모했다. 이쪽은 철환 40개나 피령목전(皮翎木箭)을 포탄으로 썼는데 사정거리는 1천 보였다. 이 화포를 두고 1992년에 발굴조작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발굴조작 사건과 별개로 조선 후기에 제작된 유물이 남아 있으며 현재 육군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1] 차중전에 가죽 날개를 단 화살형 포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