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태의 가공품 | ||||
북어 | 동태 | 황태 | 노가리 | 명란젓 |
기타 |
🦪 한국의 수산물 요리 | ||
{{{#!wiki style="margin:0 -10px -6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생선류 | 간고등어 · 갈치구이 · 갈치조림 · 갈치찌개 · 고등어구이 · 고등어조림 · 고갈비 · 꼼장어구이 · 꽁치구이 · 꽁치조림 · 농어구이 · 대구탕 · 도리뱅뱅이 · 도미면 · 돔배기 · 동태찌개 · 멸치볶음 · 명태순대 · 민어 맑은탕 · 복어(불고기 · 껍질 요리 · 찜 요리) · 북엇국 · 삼치구이 · 삼합 · 전유어 · 아귀찜 · 아귀탕 · 어만두 · 어죽 · 은어구이 · 장어구이 · 장어탕 · 조깃국 · 지리 · 짱뚱어탕 · 참치전(참치 동그랑땡) · 추어탕 · 홍어앳국 |
어란 | 알밥 · 알탕 · 숭어어란 | |
갑각류 | 게국지 · 게무침 · 게장 (간장게장 · 양념게장) · 게튀김 · 꽃게탕 · 따개비밥 · 따개비 칼국수 · 새우장 · 새우탕 · 새우튀김 | |
조개류 | 거갑탕 · 굴튀김 · 굴국밥 · 굴전 · 꼬막비빔밥 · 바지락 칼국수 · 유곽 · 재첩국 · 조개구이 · 조개탕 · 홍합밥 · 홍합탕 | |
복족류 | 골뱅이소면 · 다슬깃국 · 보말국 · 전복죽 | |
두족류 | 갈낙탕 · 낙지볶음(조방낙지) · 연포탕 · 오삼불고기 · 오징어 내장탕 · 오징어볶음 · 오징어순대 · 오징어튀김 · 충무김밥 | |
해조류 | 김국 · 김자반 · 매생이국 · 몸국 · 미역국 · 미역줄기볶음 · 부각 | |
기타 | 매운탕 · 멍게비빔밥 · 용봉탕 · 자라죽 · 해물찜 · 해물탕 · 효종갱 | |
건어물 | 과메기 · 굴비 · 김 · 노가리 · 오징어채 · 쥐포 · 코다리 · 풀치 · 한치 · 해각포 · 황태 | |
젓갈 | 낙지젓 · 명란젓 · 밴댕이젓 · 복어(복어 알 젓갈 · 복어 이리 젓갈) · 서거리젓 · 새우젓 · 어리굴젓 · 오징어젓 · 식해 | |
회 | 개불회 · 고등어회 · 굴회 · 광어회 · 멍게회 · 무침회 · 문어숙회 · 방어회 · 복어회 · 빙어회 · 산낙지 · 세꼬시 · 연어회 · 오징어숙회 · 오징어회 · 우럭회 · 참돔회 · 참치회 · 물회 · 해삼회 · 회덮밥 | }}}}}}}}} |
1. 개요
명태를 이용해 만든 건어물.2. 상세
북어와 비슷하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 북어는 단순히 명태를 말린 것이라면, 황태는 명태를 덕장에 널어서 얼렸다 녹였다를 겨우내 반복하여 만들어진다는 것이 차이점이자 특징이다. 때문에 겨울에 바람이 잘 부는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황태를 만드는데, 이곳을 흔히 '덕장'이라 부른다. 식객 황태편에 나오는 덕장에서 노가다의 절정을 볼 수 있다.
잘 만들어진 황태는 그 자체만으로도 훌륭한 간식거리이자 술안주가 되는 것은 물론 고급 요리 재료로도 손색이 없다. 황태포에 고추장 양념을 한 황태포구이 또는 진하게 우려낸 국물을 맛볼 수 있는 황태국, 아귀찜처럼 만들어 먹는 황태찜 등 훌륭한 요리가 된다. 황태 맛집으로 유명한 곳은 멀리서 찾아오는 손님들로 북적거릴 정도.
황태를 채썬 것은 황태채인데, 버터에 볶아 먹으면 맛이 좋고, 없어도 직화로 가볍게 구운 다음 참기름을 조금 섞은 식용유로 살짝 볶아도 맛있다. 삼겹살 굽고 남은 기름에 볶으면 그야말로 술도둑이 따로 없다.
아쉬운 점은 명태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한국의 근해에서 명태가 멸종한 관계로 황태 가격이 명태의 가격에 맞추어 올라가고 있다는 점이다. 그나마 근래에 시판되는 황태는 대부분 러시아산 명태를 한국의 덕장에서 얼리고 말린 것. 경계선도 없는 바다에서 수천 km를 항해하는 하는 물고기에게 국산이니 러시아산이니 하는 점은 별로 중요할 게 아니기는 하다.
3. 단백질의 제왕
단백질 보충제와 같은 특수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을 제외한 평범한 식재료 중에서 동물성 단백질 비율이 가장 높은 식재료로 100g당 단백질 함량이 무려 80g 내외이다. 일반적인 고단백 음식으로 알려진 달걀, 닭가슴살, 오징어, 육류 살코기 등의 100g당 단백질 함량이 10~30g 사이인 것을 생각하면 압도적이다. 물론 황태가 건어물이기 때문에 100g이면 팔길이만한 가장 큰 황태포다. 일반적인 식품중에서는 황태가 넘사벽이고 오징어채등 같은 건어물류가 함량이 비슷하다. 100g 기준으로 칼로리가 350여 kcal으로 높아 보이긴하지만 건어물 이기 때문이며, 탄수화물은 극히 적고, 지방이 2~5g, 포화지방이 1g 미만 남짓이기때문에 운동이나 다이어트를 할 때 여러가지 요인으로 닭가슴살이나 달걀 등을 섭취하기 힘들 때 황태채를 대량으로 사다가 뜯어먹으면[1][2] 생각보다 쉽게 양질[3]의 단백질을 보충할 수 있다.여담으로 건멸치도 수치만으론 황태에 버금가는 단백질을 자랑하지만, 이쪽은 나트륨 함량이 너무나 높아서 단백질 보충용으로 먹기는 힘들다. 그나마 황태는 나트륨이 100g 당 500여 mg 정도(하루 권장량의 약 25%)라서 대단하게 짜지는 않다.
4. 여담
먹을 때 주의할 점이 있는데, 몇몇 황태포는 가시를 제거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나무가지 같은 식감 때문에 잘 모르고 넘길 수도 있는데 잘못하면 입안이 헐어버릴 수 있으니 조심하자.강아지를 위한 간식으로도 좋다. 다만 염분 때문에 나중에 복통에 시달릴 수 있으니 물에 불리거나 데쳐서 소금기를 빼고 줄 것. 요즘은 개사료 용으로 따로 팔기도 하니 번거롭다면 구매하는 것도 좋다. 그리고 그냥 황태국 끓일 때 간 하기 전 조금만 건져서 말렸다가 줘도 된다.
비슷한 겨울 식품으로 꽁치로 만드는 과메기가 있다. 특이한 점은 같은 원리지만 강원도가 아닌 남쪽의 경상북도 포항시가 원산지인 것이 특징. 만들어지는 원리는 같지만 맛이나 질감은 사뭇 다르다. 담백한 흰살 생선인 명태가 재료라 여러 겹 겹친 종잇장처럼 퍼석한 질감을 지닌 황태와 달리, 과메기의 재료는 지방이 엄청 풍부한 청어나 꽁치이다 보니 건어물이긴 해도 번들번들하면서 기름이 줄줄 흐른다는 점.
성묘를 하러 갈 때 제물로 종종 등장하는 음식이 황태포다. 별도의 조리 과정 없이 그냥 뜯어서 내기만 하면 되기 때문. 황태포를 뜯어서 무덤 앞에 둔 뒤 나중에 음복을 하는 경우도 있고 뜯은 황태포를 봉분 위에 올려두는 경우도 있다. 봉분 위에 올려둔 황태포는 주로 새들의 먹잇감이 되기도 한다. 공동묘지나 납골당이 발달한 지금과 달리 조직적 선산이나 야산 등지에 봉분을 만든 경우 성묘시 고수레를 하는 것이 하나의 전통이자 문화였다. 다만 고수레가 식사 하기 전 행위라면 성묘시에는 별다른 식사를 하지 않고 차례용으로만 음식을 내는 정도이기 때문에 차례 후에 고수레를 한다. 고수레 문화가 줄어든 지금은 깎아놓은 배나 사과를 귀성할때 차 안에서 까먹기도 한다.
의외로 지구 온난화의 영향을 받는 식품이기도 하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좋은 황태를 만들기 위해선 기온이 낮고, 일교차가 큰 곳이어야 한다. 그런데 지구온난화가 지속되면서 주요 황태 덕장인 대관령 지역조차 기온이 조금씩 오르고 있는 것. 이미 몇 차례 이상 고온 때문에 황태 제조를 망친 사례도 있으며, 더 기온이 오를 경우 황태의 제조 자체가 곤란해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