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봉신연의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희창(봉신연의)]]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희창(봉신연의)#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희창(봉신연의)#|]]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봉신연의의 등장인물: }}}[[희창(봉신연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희창(봉신연의)#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희창(봉신연의)#|]]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주 국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 서백 西白 | ||||
초대 국군 후직 | 2대 국군 부줄 | 3대 국군 국 | 4대 국군 공류 | 5대 국군 경절 | |
6대 국군 황복 | 7대 국군 차불 | 8대 국군 훼유 | 9대 국군 공비 | 10대 국군 고어 | |
11대 국군 아어 | 12대 국군 주공 | 13대 국군 태왕 | 14대 국군 왕계 | 15대 국군 문왕 | |
서주 西周 | |||||
초대 왕 무왕 | 2대 왕 성왕 | 3대 왕 강왕 | 4대 왕 소왕 | 5대 왕 목왕 | |
6대 왕 공왕 | 7대 왕 의왕 | 8대 왕 효왕 | 9대 왕 이왕 | 10대 왕 여왕 | |
공화기 정공 · 소 목공ㆍ간왕 | 11대 왕 선왕 | 12대 왕 유왕 | 비정통 휴왕 | ||
동주 東周 | |||||
13대 왕 평왕 | 14대 왕 환왕 | 15대 왕 장왕 | 16대 왕 희왕 | 17대 왕 혜왕 | |
비정통 폐왕 | 18대 왕 양왕 | 비정통 후폐왕 | 19대 왕 경왕頃王 | 20대 왕 광왕 | |
21대 왕 정왕 | 22대 왕 간왕 | 23대 왕 영왕 | 24대 왕 경왕景王 | 25대 왕 도왕 | |
비정통 서왕 | 26대 왕 경왕敬王 | 27대 왕 원왕 | 28대 왕 정정왕 | 29대 왕 애왕 | |
30대 왕 사왕 | 31대 왕 고왕 | 32대 왕 위열왕 | 33대 왕 안왕 | 34대 왕 열왕 | |
35대 왕 현왕 | 36대 왕 신정왕 | 37대 왕 난왕 | |||
분열 (西) | 분열 (東) | ||||
국군 환공 | 국군 위공 | 국군 혜공 | 국군 무공 | ||
국군 혜공 | 국군 무공 | 국군 소문공 | 국군 동주공 | ||
국군 문공 | |||||
주읍 周邑 | |||||
초대 국군 문공 | 2대 국군 평공 | ㆍㆍㆍ | ?대 국군 정공 | ㆍㆍㆍ | |
?대 국군 환공 | ?대 국군 희공 | ?대 국군 희기보 | ?대 국군 희열 | ?대 국군 희초 | |
삼황오제 · 하 · 상 · 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한 삼국시대 · 사마진 · 오호십육국 · 남북조 · 수 · 당 오대 · 십국 · 송 · 서하 · 요 · 금 · 원 · 명 · 청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81818 0%, #313131 20%, #313131 80%, #181818);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성신황제 |
추존 | |
제성제 · 시조 · 예조 · 엄조 · 숙조 · 열조 · 현조 · 태조 | |
}}}}}}}}} |
주 15대 국군 주 추존 왕 문왕 | 文王 | ||
| ||
묘호 | <colbgcolor=#FFFFFF,#191919>시조(始祖)[1] | |
시호 | 문왕(文王) / 문황제(文皇帝) | |
작위 | 서백(西伯) | |
성 | 희(姬) | |
휘 | 창(昌) | |
아버지 | 희계력(姬季歷) | |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1152년? ~ 기원전 1056년? (향년 96세?) |
1. 개요
서주를 건국한 무왕의 아버지. 주족을 이끌고 상나라 정벌을 준비하던 도중 사망했다.상나라한테 받은 벼슬은 서백(西伯)[2]이었기 때문에, 이름 창(昌)과 합쳐 '서백 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 생애
조부인 고공단보 이래 상나라의 조공국으로 있던 주나라(주족)를 다스렸다.상나라에 3공三公.이 있으니. 서백창西伯昌ㆍ구후九侯ㆍ악후鄂侯 였다
서백창이 훗날 문왕으로 추대된다.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중국 상나라 마지막 왕인 주왕(紂王, 제신이라고도 불림)은 본래 영리하고 재능과 힘이 뛰어나고.
사나운 맹수와도 겨루는 인재였으나.왕이 되어 오만하고 술과 음란한 음악을 좋아하고, 달기를 사랑하여 그 말을 무릇 따랐다.
음란한 음악[北里之舞북리지무] [靡靡之樂미미지악]을 만들고 군비와 세금을 늘려 궁궐을 가득 채웠다.
넓게 모래를 더한 사구(모래언덕)에 짐승과 바퀴벌레.새를 많이 취하여 그 가운데 배치하고 귀신에 기대어 오만하니.
술로써 연못을 만들고, 고기를 매달아 숲을 이루어 (주지육림)
그 사이를 벌거벗은 남녀가 서로 뒤쫒게하였다.
백성이 원망하고 제후에 배반하는 자가 있어 이에 무거운 형벌을 피하니.
[炮烙之刑포락지형]이 있었다
불에 굽고 (화형火刑) 지지는 형벌 (낙형烙刑) 이였다.
고통스러워하는 것을 웃고 즐기니 백성의 원망이 높았다.
9후중에 훌륭한 여인이 있어 주왕이 궁궐에 들였으나. 음란한 것을 싫어하니.
주왕이 노하여 죽이고 9후까지 해醢하여 죽이다
악후가 굳건하게 부당함을 간하자. 악후를 포脯하여 죽이다
서백창이 듣고 남몰래 탄식하자. 숭후호崇侯虎가 이를 주왕에게 알리니.
주왕이 서백창을 유라는 마을羑里에 가두다.
서백의 신하들이 미녀와 기물과 좋은 말을 바쳐 간청하니. 이에 주가 서백을 풀어주다.
풀려난 서백이 낙서洛西의 땅을 바치며 포락지형을 없애주길 간청하다.
주왕은 이 무렵 서백창에게 평생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주는데, 바로 장남인 백읍고를 죽여서 만든 고기로 쑨 죽을 먹였다.
문왕이 눈물을 삼키며 그 죽을 먹자, 주왕은 "성인(聖人)은 사람을 안 먹는다는데, 네가 그러고도 성인이냐?"라며 조롱했다고 한다.
떠났던 서백이 돌아와 말없이 덕을 닦고. 선을 행하자. 많은 제후가 주를 배반하고 서백을 따르니
서백의 세가 크게 증가하여 주왕이 이로 말미암아 위세와 권위를 점점 잃다.
왕자 비간이 바른 말을 간하나 듣지 아니하다
본디 상나라는 현자와 백성을 사랑하길 권하는 나라이기에 포악한 주왕은 쇠퇴하기에 이르다.
(상나라 주왕이 서백을 치려하자) 서백이 기국飢國을 쳐서 멸망 시키다.
태공망 여상 등 인재를 등용하며 세력을 키운 문왕은 상나라 정벌 전 주나라를 위협하는 견융, 밀수국, 기, 우, 숭후호를 1년마다 순서대로 정벌했다. 주변국들을 정리하고 상나라와의 결전을 목전에 뒀지만 이미 나이가 들어 사망하고 만다.[* 참고로 사기에 따르면 재위기간만 50년에 수명은 90살이 넘었다고
*상나라(은나라)는 동이족이다.
고한민족도 동이족이며 중국과 다른 어순의 알타이 어족이다.
중국 청나라도 본디 고대 숙신족으로 역시 동이족이며. 중국어가 아닌 만주어를 사용하였다.
*포락지형의 낙형은 조선시대에도 있었으나. 영조가 금지 시키다중국 청나라도 본디 고대 숙신족으로 역시 동이족이며. 중국어가 아닌 만주어를 사용하였다.
영조가 낙형을 금지시킨 직접적인 이유가 재미있다.
영조는 즉위 이후부터 1728년 무신난 등을 겪기까지 무수히 많은 역모 사건을 경험했고
그 과정에서 자신이 친히 국문하며 숙종처럼 죄인에게 낙형을 시행하기도 했다.
그러다가 1733년(영조 9) 8월에 영조는 몸에 난 종기 때문에 무척 고생을 하여 여러 번 뜸을 떴는데,
이때의 괴로움을 낙형의 고통과 오버랩시키면서 앞으로 죄수를 국문할 때에는 낙형을 쓰지 말 것을 결단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낙형은 조선에서 공식적으로 사라진다.
[출처] 영조, 잔인한 형벌을 없애다|작성자 꽃향기나는 돌
영조는 즉위 이후부터 1728년 무신난 등을 겪기까지 무수히 많은 역모 사건을 경험했고
그 과정에서 자신이 친히 국문하며 숙종처럼 죄인에게 낙형을 시행하기도 했다.
그러다가 1733년(영조 9) 8월에 영조는 몸에 난 종기 때문에 무척 고생을 하여 여러 번 뜸을 떴는데,
이때의 괴로움을 낙형의 고통과 오버랩시키면서 앞으로 죄수를 국문할 때에는 낙형을 쓰지 말 것을 결단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낙형은 조선에서 공식적으로 사라진다.
[출처] 영조, 잔인한 형벌을 없애다|작성자 꽃향기나는 돌
3. 가족
- 적자
- 장남: 희고(또는 희읍). 백읍고.
- 차남: 희발. 주무왕.
- 삼남: 희선. 관숙선. 관나라에 봉해졌으나 '삼감의 난'을 일으켰다 진압당한 이후 처형되어 후손도 남기지 못했다.
- 사남: 희단. 주공단. 노나라의 시조.
- 오남: 희도. 채숙도. 채나라의 시조. '삼감의 난'을 일으켰다 진압당한 이후 유배지에서 죽는다.[4]
- 육남: 희진탁. 조숙진탁. 조나라의 시조.
- 칠남: 희무. 희숙무. 성숙무. 성나라의 시조로 원래 이름이 희무, 희숙무였으나 국명을 성씨로 삼아 성숙무가 되었다.
- 팔남: 희처. 곽숙처. 곽나라의 시조. '삼감의 난'을 일으켰다 3년간 봉지를 박탈당했지만 이후 복귀한다.[5]
- 구남: 희봉. 강숙봉. 위나라의 시조. 주나라에서 사도를 맡았다.
- 십남: 희재. 염계재(담계재).[6] 염나라의 시조이나 후손을 알 수 없다고 기록할 정도로 약했다. 주나라에서 사공을 맡았다. 노나라 염씨 가문이 후손이라고 하나 근거는 없다. 주성왕이 염나라를 심나라(沈國)로 개칭한다.
- 서자
4. 기타
- 문왕이 상 주왕에 의해 감옥에 갇혀있을 당시 감옥에서 역경을 발전시켰는데[8], 이를 주역이라고 한다.
- 1976년 산시성 치산현에서 문왕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주택 유적지가 발견되었다. 여기서 가장 흥미로운 공간은 숨겨져있는 2개의 토굴인데, 여기서 점을 치는데 사용한 갑골 조각들이 대량 발굴되었고, 이를 통해 문왕의 주택임이 입증되었다고 한다. 반대로 말하면 문왕은 여기서 상나라를 무너뜨리기 위한 일종의 점술 실험을[9] 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문왕의 일곱째 아들 성숙무는 창녕 성씨의 시조, 열두째 아들 진탁은 창녕 조씨의 시조, 열다섯째 아들 필공고는 거제 반씨의 시조라고 한다.
- 황제(黃帝)의 후손이라고 전해지지만 후대의 미화가 있어보인다.
5.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봉신연의에서는 서백이 아니라 한 단계 높은 벼슬인 서후(西候)로 나온다. 자세한 것은 희창(봉신연의) 참조.[1] 무주 성신황제 추존.[2] 다만 갑골문에는 이보다 격이 낮은 주방백으로만 기록되어있어, 후대에 미화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3] 훗날 태임을 본받겠다는 의미에서 지은 호가 사임당. 즉, 신사임당이란 이름의 모티브가 된 사람이다.[4] 다만 아들이 이후 채나라는 잇는다.[5] 참여 여부에 논란이 있어 소극성과 반성 기미를 참작해 사면받은 모양. 곽나라도 후손들이 잇는다.[6] 뒤에 나오는 염나라도 담나라로 불리기도 한다.[7] 춘추시대에 전차에는 세 명이 탑승했는데 왼쪽, 중앙, 오른쪽에 타는 사람을 각각 거좌, 거어, 거우라 했다. 거좌가 전차의 주인이며 활을 쐈다. 거어는 전차를 몰았고 거우는 힘이 센 사람으로 창을 썼다.[8] 여러 정황상 온전히 본인이 다 지은건 아닐 확률이 매우 높다. 애초에 상나라 전후 무렵부터 있던 역괘를 배워 본인 나름의 체계화를 했을 가능성이 있다. 주왕이 문왕을 살려준 것도 자기 원정길 등에 써먹기 위한 이런 점술 능력 덕분 아니냔 주장도 있다.[9] 신정국가인 상나라를 무너뜨리기 위해선 그 종교 교리부터 무너뜨릴 혹은 대체할만한 뭔가가 필요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게 역경 등으로 드러났다고 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