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국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 서백 西白 | ||||
초대 국군 후직 | 2대 국군 부줄 | 3대 국군 국 | 4대 국군 공류 | 5대 국군 경절 | |
6대 국군 황복 | 7대 국군 차불 | 8대 국군 훼유 | 9대 국군 공비 | 10대 국군 고어 | |
11대 국군 아어 | 12대 국군 주공 | 13대 국군 태왕 | 14대 국군 왕계 | 15대 국군 문왕 | |
서주 西周 | |||||
초대 왕 무왕 | 2대 왕 성왕 | 3대 왕 강왕 | 4대 왕 소왕 | 5대 왕 목왕 | |
6대 왕 공왕 | 7대 왕 의왕 | 8대 왕 효왕 | 9대 왕 이왕 | 10대 왕 여왕 | |
공화기 정공 · 소 목공ㆍ간왕 | 11대 왕 선왕 | 12대 왕 유왕 | 비정통 휴왕 | ||
동주 東周 | |||||
13대 왕 평왕 | 14대 왕 환왕 | 15대 왕 장왕 | 16대 왕 희왕 | 17대 왕 혜왕 | |
비정통 폐왕 | 18대 왕 양왕 | 비정통 후폐왕 | 19대 왕 경왕頃王 | 20대 왕 광왕 | |
21대 왕 정왕 | 22대 왕 간왕 | 23대 왕 영왕 | 24대 왕 경왕景王 | 25대 왕 도왕 | |
비정통 서왕 | 26대 왕 경왕敬王 | 27대 왕 원왕 | 28대 왕 정정왕 | 29대 왕 애왕 | |
30대 왕 사왕 | 31대 왕 고왕 | 32대 왕 위열왕 | 33대 왕 안왕 | 34대 왕 열왕 | |
35대 왕 현왕 | 36대 왕 신정왕 | 37대 왕 난왕 | |||
분열 (西) | 분열 (東) | ||||
국군 환공 | 국군 위공 | 국군 혜공 | 국군 무공 | ||
국군 혜공 | 국군 무공 | 국군 소문공 | 국군 동주공 | ||
국군 문공 | |||||
주읍 周邑 | |||||
초대 국군 문공 | 2대 국군 평공 | ㆍㆍㆍ | ?대 국군 정공 | ㆍㆍㆍ | |
?대 국군 환공 | ?대 국군 희공 | ?대 국군 희기보 | ?대 국군 희열 | ?대 국군 희초 | |
삼황오제 · 하 · 상 · 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한 삼국시대 · 사마진 · 오호십육국 · 남북조 · 수 · 당 오대 · 십국 · 송 · 서하 · 요 · 금 · 원 · 명 · 청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 |
노 국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ece5b6,#49421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 주공 단 | |||
<colbgcolor=#fff> 초대 태공 | <colbgcolor=#fff> 2대 고공 | <colbgcolor=#fff> 3대 양공 | <colbgcolor=#fff> 4대 유공 | |
5대 위공 | 6대 여공 | 7대 헌공 | 8대 진공 | |
9대 무공 | 10대 의공 | 11대 폐공 | 12대 효공 | |
13대 혜공 | 14대 은공 | 15대 환공 | 16대 장공 | |
17대 군반 | 18대 민공 | 19대 희공 | 20대 문공 | |
21대 선공 | 22대 성공 | 23대 양공 | 24대 희야 | |
25대 소공 | 26대 정공 | 27대 애공 | 28대 도공 | |
29대 원공 | 30대 목공 | 31대 공공 | 32대 강공 | |
33대 경공 | 34대 평공 | 35대 후문공 | 36대 경공 | |
삼황오제 · 하 · 상 · 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한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수 · 당 오대십국 · 송 · 서하 · 요 · 금 · 원 · 명 · 청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중국의 SNS 시나 웨이보에서 발표한 중국인들이 선정한 '가장 위대한 중국인' 명단이다. | ||||||||
TOP 10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공자 | 시황제 | 노자 | 채륜 | 한무제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마오쩌둥 | 맹자 | 수문제 | 주자 | 덩샤오핑 | |||||
11~25위 |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사마천 | 한고제 | 장자 | 당태종 | 장중경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이사 | 송태조 | 주문공 | 굴원 | 동중서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홍무제 | 석도안 | 염민 | 장건 | 상앙 | |||||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주읍 초대 국군 노 초대 국군 文公 | 문공 | ||
왼쪽이 주 문공, 가운데는 성왕. 오른쪽은 소공 | ||
시호 | <colbgcolor=#FFFFFF,#000000>문공(文公) | |
작위 | 주공(周公) | |
성 | 희(姬) | |
휘 | 단(旦) | |
아버지 | 주문왕(周文王) 희창(姬昌) | |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년 |
[clearfix]
1. 개요
주나라의 정치인. 성은 희(姬), 이름은 단(旦), 시호는 문공(文公)이다. "주공(周公)" 혹은 "주공 단(周公 旦)[1]"이라는 이름으로도 자주 불린다. 주공은 벼슬 이름으로 영지가 주(周)[2] 지역이라서 주공이라고 불렸다. 주문왕의 넷째 아들이다. 첫째 형이 백읍고, 둘째 형이 무왕 희발이다.중국 고대사에서 최고의 성인 중 한명으로 추앙받는 인물로, 다른 성인들인 탕왕, 문왕, 무왕은 신하의 입장에서 군주를 쫓아냈기에 일각에서 역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3] 허나 문공은 그렇게 하지 않고 보좌의 소임을 마친 후 조카 성왕에게 권력을 넘겨주고 자기 봉지로 돌아가 모범적인 재상으로 추앙받는다.
2. 생애
강태공과 함께 형 무왕을 보좌하여 폭정을 일삼던 주왕을 몰아내고 상나라를 멸망시켰다.[4] 이후 노나라의 제후로 봉해졌다.[5] 다만 본인은 주 조정에 남았고, 장남 노태공 백금에게 멀리 있는 자신의 영지인 노나라를 물려줬다.[6]무왕 사후 나이 어린 조카 성왕의 섭정을 맡았다. 그러나 섭정을 맡은 주공단이 권신이 될까 의심하는 눈초리는 주변에 꾸준히 있었던 모양으로, 당장 같이 성왕을 보좌하던 동생 소공석도[7]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 문공이 그런거 아니라고 해명글을 보낼 정도였다.[8] 이러니 제후국에 있던 자신의 형제들 관숙[9], 채숙, 곽숙은 '주공이 장차 성왕에게 이롭지 못할 것'이라며 모함하고, 이에 주공단도 성왕에게 '올빼미(鴟鴞, 올빼미 치, 부엉이 효)'라는 시를 지어 올려 자신의 무고를 호소했다고 한다. 이 시는 시경에 실려 있는데, 올빼미는 자신을 모함한 관숙 등을 비유한 것이다.[10]
결국 무경과[11] 관숙 등이 훗날 삼감(三監)의 난[12]이라 불리는 반란을 일으키자 문공은 출정하여 3년 만에 반란을 진압하고 당시 황하 중류에 머무르던 중국의 영역을 황해까지 넓혔다. 사족으로, 형제 간 다툼을 마음 아파하던 주공은 귀환하면서 시를 지었다고 하는데, 이 시가 '아가위 나무(常棣)'로 시경에 실려 있다. 형제의 깊은 정리(情理)를 노래한 시며, 애초에 시경 빈풍편에 실린 시는 대부분 주공단과 관련된 시다.
이후 호경 동쪽 낙수가 흐르는 땅에 소공석 등을 시켜 도시를 세웠는데, 이를 성주(成周)라고 했다. 여기가 바로 지금의 낙양이다. 삼감의 난이 정리되고 난 이후 어린 조카를 잘 보필하여 주나라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 뒤 조카 성왕이 어른이 되자 주공 단은 성왕에게 손수 친정을 하라며 자발적으로 섭정 자리를 내놓고 자신은 신하의 자리로 물러나는 정권교체의 미(美)를 보였다. 이 고사는 공자 등 후대 지식인들이 마르고 닳도록 칭송하는 일화가 된다.[13]
사기 노주공세가에 따르면 어린 성왕이 병에 걸렸을 때 자신의 손톱을 잘라 황하에 던지며 기도를 드린 적이 있는데, 요지는 신의 명을 어긴 자는 왕이 아니라 (섭정하던) 나니깐 성왕 병은 낫게 해달라는 것이었다. 훗날 성왕이 이를 알고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나이가 들고 병이 들어 죽을 때가 다가오자, 주공 단은 자신을 당시 수도 격이던 성주(成周)에 묻어 자신이 성왕을 떠나지 않겠다는 것을 유언으로 남겼다고 한다. 주공이 죽자, 성왕은 주공을 문왕이 묻힌 필(畢) 땅에 묻어 따르게 함으로써 성왕이 주공을 신하로 여기지 않았음을 알렸다고 한다.
3. 후대의 평가
공자가 존경한 인물로 알려져 있으며, 논어에서도 그의 꿈을 꾼 지 오래되었다고 공자가 한탄하는 일화가 나온다.[14] 이유는 조카를 왕으로 앉히고서도 자기가 찬탈하지 않은 인의지사라는 점 때문이다. 사실 여기서는 주로 성왕과 관련된 이야기가 많이 나오지만, 이 밖에도 상나라 시절 비인간적인 풍습을 교화하기 위해 애쓴 것도 있어서 그 때문에도 후대 유학자들의 찬사를 받았다.[15]하지만 삼감의 난이 문공의 섭정과 상 왕조 부활이란 명분을 핑계로, 문공의 일부 형제들이 상나라 세력과 작당해 일어난 걸로 봐선 당시 조정을 장악한 권신 이미지가 있긴 했던걸로 보인다.[16] 덕분에 문공의 이런 행적은 이후 군주의 종친 또는 유력자가 섭정을 명목으로 권력을 장악할 때 자신을 합리화시키기 위해 써먹기도 했다.[17]
다만 그렇다고 주공 단을 비판해서는 안 되는 것이, 후대에 문공 핑계를 대던 이들이 진짜로 찬탈한 것과 달리 그는 어린 성왕을 해하지도 않았고 왕위를 빼앗지도 않았다. 애초에 그랬으면 추앙받지도 않았을 것이다. 오히려 문공은 조회를 볼 때면 친히 어린 성왕을 등에 업고 나타나[18] 자신은 그저 왕의 대리인에 지나지 않음을 분명히 하였으며, 성왕이 장성하여 직접 정무를 보게 되자 권력에 집착하지 않고, 심지어 관직에서 물러나라는 그의 요구에도 순순히 따르는 등 모범적인 신하의 모습을 보였다.
하여튼 문공의 전철을 부정적인 방향으로 이용한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전한을 멸하고 신나라를 세운 왕망인데, 왕망은 선양을 받기 직전 전한의 마지막 황제인 어린 유자영의 손을 잡고 눈물을 흘리며 '옛날 주공(周公)이 섭위했을 때에는 끝내 복벽하여 성왕(成王)에게 제위를 돌려 드렸는데 지금 나는 천제의 지엄한 명령 때문에 그렇게 할 수도 없구려.'라고 짐짓 탄식했다고 한다. 물론 왕망이 문공의 이름을 판 것 자체가 훌륭한 고인드립. 훗날 조선 세조가 계유정난을 일으키며 똑같은 고인드립을 쳤고, 단종은 수양대군의 위협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수양대군을 주 문공이라 대접해야 했다. 그러나 결국 진짜 주공들과 함께 시해당하고 만다.
한편, 삼국시대의 공융은 조조가 원소 세력의 본거지를 함락하고 원씨 집안의 많은 여자들을 취하고 조비가 견씨를 취하는 것을 보자 "무왕은 주왕을 정벌한 후에 달기를 주공(周公)에게 주었습니다."라고 말했다. 그 일로 세간의 비난을 두려워하던 조조는 공융이 자신을 두둔한다고 착각했다. 워낙에 박식한 사람이었기에 조조 자신이 모르는 경전에서 인용한 것이려니 하고 믿었던 것. 하지만 그 이후 조조가 아무리 책을 들춰 봐도 그런 고사를 찾을 수 없어 공융에게 어떤 책에 나온 이야기냐고 묻게 되었는데, 공융은 태연하게 "지금의 일을 살펴보니 과거에도 당연히 그랬을 것 같았습니다."라고 대답했다. 즉, 조조에게 너는 역사와 고전을 모르는 무식한 새끼 + 남의 처 뺏어다 아들 주는 네놈의 윤리 의식이 레전드라고 2단으로 디스를 건 것이다. 조조가 후일 공융을 끔살시킨 이유야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이런 일도 아예 무관하진 않았을듯. 어쨌든 결론적으로 주공이 딱히 달기를 취하진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명나라 시기 남경 함락 후, 즉 정난의 변이 마무리되는 과정에서 반란에 성공한 곧 영락제가 되는 주체와 마지막까지 건문제에 충성하다 처형당한 방효유가 나눈 대화에서도 문공과 성왕의 고사가 등장한다. 당연히 성왕은 주원장의 장손인 건문제를, 문공은 그 숙부들을 의미하는 것이다. 항목 참조.
문화대혁명 당시 4인방이 주은래(周恩來)를 까고 싶었는데, 주은래 총리는 인민들의 지지를 받는 거물이었기에 4인방도 역풍이 불 것을 우려하여 이름이 중의적일 수 있는 주 문공을 대신 깠다는 이야기가 있다.
4. 기타
- 고려의 마지막 충신으로 일컬어지는 정몽주는 이름이 두 번 바뀌었는데, 마지막 이름 정몽주의 주는 이 주공에서 따온 것이다. 정몽주의 최후를 생각해보면 묘한 부분.
- 교육자로서는 매우 엄격했던 듯 하며, 장남 노태공 백금이 제후가 된 뒤에도 잘못했다 싶으면 언제라도 회초리를 들었다고 한다. 노태공의 생몰연대가 알려지지 않아 당시 나이는 알 수 없지만, 제후직까지 수행할 정도면 엄연한 성인이었을 텐데도 장성한 자식에게 직접 매질을 했다는 것이다. 한 번은 이유도 알려 주지 않고 입조할 때마다 3번이나 매를 휘둘렀는데[19], 그 정도가 심했는지 노태공이 몸을 가누지 못할 정도였다고 한다. 보다 못한 동생 위강숙이 말리려 하자 동생까지 같이 매질을 했다고. 문공이 이때 동생과 아들에게 매질을 한 이유는 다름 아닌 '윗사람을 우러르지 않고 공손하게 행동하지 않아서'였다고 한다. 당시 주나라는 종법질서에 근거해 왕위 계승, 지방 통치 등을 성립하고 다듬고 있던 시기였으니, 초기 주나라의 존립을 걱정한 주공 단 입장에선 이런 문제에 더 예민했던 모양.
- 사기에 따르면, 주공 사망 이후 우레, 폭풍우가 쏟아지고 큰 나무가 뽑히는 등 불길한 일들이 일어나자 (성왕이 점을 치려고 점괘를 모아둔) 금등(金縢)으로 된 궤를 열어 보았는데, 거기서 예전에 무왕이 큰 병에 걸렸을 때 주공이 무왕의 쾌유 여부를 점친 뒤 하늘에 제사 지내며 "제 목숨을 대신 거두시고 형님은 살려주십시오."라고 기도했던 제문을 발견했다고 한다. 대략적인 내용은 이렇다.
"당신들의 장손인 국왕 발(發)이 국사에 지쳐 병이 나서 힘들어 하나이다. 만약 세 왕께서 자손을 하늘에 바치려 하신다면 이 단(旦)이 국왕 발의 목숨을 대신하겠나이다. 이 단은 영리하고 유능하며 다재다능하여 귀신을 잘 섬길 수 있습니다. 허나 국왕 발은 이 단만큼 다재다능하지 못하여 귀신을 제대로 섬길 수 없습니다. 그러나 그는 하늘의 명을 받아 천하를 빠짐없이 구제하고 인간 세상에서 당신 자손들을 안정시키니 천하의 백성들이 존경하고 두려워하지 않는 이가 없습니다. 하늘이 내리신 고귀한 명령을 저버리지 않아야만 우리 선왕들도 돌아와 종묘의 제사를 영원히 받을 수 있습니다. 이제 이 단이 즉시 큰 거북으로 명을 받들겠사오니 당신들께서 저를 받아 주신다면 저는 벽옥과 홀을 바치고 당신들의 분부를 기다리겠습니다. 당신들께서 저를 받아 주시지 않는다면 벽옥과 홀을 감출 것입니다."
이 글을 본 성왕은 눈물을 흘리며 주공을 칭송하고 제사를 지내자 불길한 일들이 걷혔다고 한다. 이것이 바로 1994년 한국 영화 영원한 제국의 화두로 알려지기도 했던 '금등지사'라고 한다. 다만 이 기도문은 서경(書經) 주서(周書)에 동명의 제목으로 실려 있는데, 현존하는 서경은 후대의 위작으로 밝혀져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기도 하는 모양. 물론 청화간이 발굴되기도 하는 등 좀 복잡한 문제긴 하다. 자세한건 항목 참조.
5. 대중문화에서
코믹스 봉신연의에서는 깡마르고 원리원칙을 고수하는 깐깐한 캐릭터로 등장한다. 성우는 세노 마사히코/최원형(선계전), 타쿠미 야스아키(패궁). 하리센을 기본무기로 장착해 태공망이 헛소리를 한다 싶으면 그때마다 후려치는 츳코미 역을 담당.고우영의 고우영 십팔사략에서는 문공(주공단)이 달기를 일부러 훈련시켜서 미인계로 상나라 주왕을 타락시킨 걸로 그렸다. 달기가 문공의 수양딸로 등장하고, 문공도 내심 달기를 사랑하고 있었다. 그리고 달기는 문공이 자신을 일부러 훈련시켰다는 것을 처음부터 알고 있어서 상이 멸망한 직후 끌려온 자리에서 "시키신 일은 잘 처리했습니다. 조금 오래 걸렸지요?"라고 말한다. 하지만 문공은 역성혁명의 당위성을 지키기 위해서 냉혹하게 달기를 처단해 버린다. 달기가 처형될 때 뒤돌아 선 채 섬뜩한 눈빛을 낸다.
6. 둘러보기
사기(史記) | ||||||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color: #D0D2D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81818,#e5e5e5 | <rowcolor=#ffffff> 1권 「오제본기(五帝本紀)」 | 2권 「하본기(夏本紀)」 | 3권 「은본기(殷本紀)」 | |||
공손헌원 · 전욱 · 제곡 · 방훈 · 중화 | ||||||
<rowcolor=#ffffff> 4권 「주본기(周本紀)」 | 5권 「진본기(秦本紀)」 | 6권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 ||||
| 시황제 · 이세황제 · 진왕 자영 | |||||
<rowcolor=#ffffff> 7권 「항우본기(項羽本紀)」 | 8권 「고조본기(高祖本紀)」 | 9권 「여태후본기(呂太后本紀)」 | ||||
항우 | 유방 | 여치 | ||||
<rowcolor=#ffffff> 10권 -2「효문본기(孝文本紀)」 | 11권 「효경본기(孝景本紀)」 | 12권 「효무본기(孝武本紀)」 | ||||
유항 | 유계 | 유철 | ||||
보사기(補史記) 「삼황본기(三皇本紀)」 | ||||||
복희 · 여와 · 신농 |
※ 13권 ~ 22권은 표에 해당, 23권 ~ 30권은 서에 해당. 사기 문서 참고
}}}}}}}}}}}} - ⠀[ 세가(世家) ]⠀
- ||<-2><tablewidth=100%><tablebgcolor=#3d414d><width=33%><rowcolor=#ffffff> 31권 「오태백세가(吳太伯世家)」 ||<-2><width=33%> 32권 「제태공세가(齊太公世家)」 ||<-2><width=33%> 33권 「노주공세가(魯周公世家)」 ||
- ⠀[ 열전(列傳) ]⠀
- ||<-2><tablewidth=100%><tablebgcolor=#3d414d><width=33%><rowcolor=#ffffff> 61권 「백이열전(伯夷列傳)」 ||<-2><width=33%> 62권 「관안열전(管晏列傳)」 ||<-2><width=33%> 63권 「노자한비열전(老子韓非列傳)」 ||
[1] 주공은 후술하겠지만 주나라의 관직명이자, 주읍 지역의 제후이다. 그리고 이름이 단이니 주공단이 아니라 주공 단 혹은 주문공이라고 칭하는 것이 옳다.[2] 이칭으로는 소주(小周), 주읍(周邑)이 있다.[3] 이에 대한 반론은 맹자가 제선왕에게 한 말로 요약할 수 있다. "인(仁)을 해치는 자를 적(賊)이라 하고, 의(義)를 해치는 자를 잔(殘)이라 하며, 잔적지인(殘賊之人)을 단지 '그 놈'이라고 하니, '무왕께서 그 {주}라는 놈을 처형하셨다.'라는 말은 들었어도, '임금을 시해하였다.'라는 말은 들어 본 바 없습니다.".. 물론 왕이 개차반이면 역성혁명도 긍정한 맹자긴 했으나, 사실 왕이 개차반이냐 아니냐는 진짜 그 왕이 사이코패스 수준 아닌 딴에야 반란 세력이 주장하는 주관적인 잣대일 수도 있긴 하다.[4] 여담으로, 이때 주왕의 폭정을 더 부추긴 총희 달기를 이름((달:女+旦) 주공 단(周公 旦))에서 유추해, 상을 멸망시키려고 주에서 보낸 미녀 아니냐는 설도 있지만, 어디까지나 가설 중 하나로 정설은 아니다.[5] 노나라는 현재 중국의 산둥성 곡부(취푸) 부근이며 공자의 고향이기도 하다.[6] 차남 군진에게는 죽을 때 자신의 주공 자리를 물려주어 주 평공이 되도록 했다.[7] 무왕과 주공의 이복동생이자 주공단을 도와 함께 성왕을 보필한 주나라 초기의 명재상. 연나라의 시조다.[8] 사기에 따르면 주공단은 소공석과 강태공에게 비슷한 글을 주는데(참고로 성왕은 강태공의 외손자다), 요약하면 본인이 섭정하는 것은 천하가 무왕 사후 성왕이 어린 시기 주나라를 배반하지 않을까 두렵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정작 삼감의 난이 벌어진 주요 명분 중 하나가 주공단의 섭정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묘하긴 하다만. 아님 악습 폐지같은 덕치 개념에 입각하면 상의 체계를 끊고 서주 초기의 체계를 확립하고 싶었던 것일지도 모르겠다.[9] 문왕의 삼남. 즉, 문공의 바로 손위의 형이다. 관숙과 뒤의 채숙, 곽숙은 모두 무왕과 문공의 동복형제.[10] 덕분에 옛날 중국과 한반도에서 올빼미는 부정적인 인식이 있었다고 한다.[11] 상나라 마지막 왕 주왕 제신의 아들이다. 상나라 잔존 세력을 달래기 위해 무왕은 그를 제후로 삼고 대는 이을 수 있도록 허가해줬다. 그리고 무경을 감시하라고 관숙, 채숙, 곽숙을 근처 지역에 제후로 임명해 배치시켜뒀는데, 무왕 사후 주공단 섭정 시기엔 정작 무경과 손잡고 반란을 일으켰다. 다만 곽숙은 참여 여부에 논란이 있는 모양.[12] 삼감이란 말 그대로 관숙, 채숙, 곽숙을 가리킨다.[13] 약간 삐딱하게 보는 측에선, 주공 성인군자설 대신 현실적인 문제로 그렇게 한 거 아니냐고 보기도 한다. 초기 주나라 그것도 봉건제 사회에서 무리하게 왕위를 찬탈해 다른 제후들의 지지를 잃고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불안정한 왕위를 차지하는 것보다, 본인의 영지를 관리하면서 제후들의 지지와 존경을 받는 것이 더 낫다는 주장. 그러나 이전부터도 신하가 왕을 농락한 사례는 있었고 이후에도 권신들이 가진 권력에 만족하지 못하고 왕위를 찬탈한 사례가 상당했던 것을 감안하면 속내가 어떻든 주공의 절제력은 칭송받을만하다.[14] 《여씨춘추》에는 한술 더 떠서, 공자가 꿈에 주공 단을 만나 가르침을 받고는 했다라는 믿거나 말거나 한 이야기도 전해진다.[15] 이는 상나라의 미개한 풍습 탓에 주나라를 비롯한 주변국들이 많은 피해를 입었기 때문인데, 이 풍습이라는 것이 점 복, 제사를 지낼 때 사람을 제물로 바친다거나 순장을 하는 것 따위였다. 이런 풍습의 공통점은 인간의 생명을 경시하는 것인데, 상나라는 주로 정벌한 지역의 포로나 주변국에서 납치한 사람들을 제물로 바쳤다. 즉, 봉신연의에서 희백읍고를 죽여 그 아비 희발(주문왕)에게 먹였다는 일화도 완전히 허구는 아니라는 말이다. 그러니 업보가 쌓인 상나라가 주변국들한테 찍힌 것도 이해가 되는 수준이다.[16] 물론 엄밀히 따지면 그 혼자 장악했다기보단 성왕의 모친 읍강(읍강의 아버지가 강태공이다), 동생 소공석과 함께 운영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그 소공 석조차 처음 주공 단이 섭정을 시작할 땐 의구심을 보여 주공 단이 글을 보내 진정시켰다고 하니, 주공 단을 의심의 눈초리로 보는 세력은 분명 있었던걸로 보인다.[17] 대표적인 예가 계유정난 직후의 수양대군이였다. 참고로 비슷하게 비판받는 것이 선양 사례다. 본디 요가 순에게, 순이 우에게 전위한 것은 일종의 미담이었지만, 훗날 조비부터 이성계에 이르기까지 무수한 권력자들이 자신들의 찬탈 행위를 정당화하는 수단으로써 악용됐다.[18] 다만 근시기에 나타난 기록을 보면 한 금문에 삼감의 난 당시 성왕이 직접 친정하였다고 암시되는 기록이 있다고 한다. 이를 보면 성왕의 나이가 그렇게 어리진 않을 오히려 성년에 가까웠을 가능성도 있다.[19] 이 고사는 "주공삼태(周公三笞)"라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