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0 00:30:46

1934년 사우디-예멘 전쟁


전간기(1918~1939)
{{{#!wiki style="min-height:calc(1.5em + 10px); padding-top: 5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666, #000);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22><colcolor=#fff> 주요 사건
제1차 세계 대전의 끝
(1918~1920)
부쿠레슈티 조약 ·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 세브르 조약 · 로잔 조약 · 뇌이 조약 · 트리아농 조약 · 생제르맹 조약 · 베르사유 조약
전간기 초기
(1918~1931)
러시아 내전 · 외몽골 출병 · 카프 폭동 · 로마 진군 · 루르 점령 · 메멜 점령 · 리프 전쟁 · 뮌헨 폭동 · 독일-폴란드 무역 전쟁 ·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 · 로카르노 조약 · 국민혁명(제1차 국공합작) · 황고둔 사건 · 켈로그-브리앙 조약 · 대공황
만주사변
(1931~1933)
만주사변 · 제1차 양광사변 · 나카무라 사건 · 만보산 사건 · 제3차 초공작전 · 류탸오후 사건 · 천진사변 · 영월합작 · 진저우 침공 · 사쿠라다몬 의거 · 마옥산 사건 · 제1차 상하이 사변 · 훙커우 공원 의거 · 송호정전협정 · 이시모토 사건 · 열하사변 · 당고정전협정
나치당 집권 후
(1933~1939)
복건사변 · 라이히스탁 방화 사건 · 수권법 통과 · 장검의 밤 · 신강 침공 ·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 스페인 내전 · 라인란트 재무장 · 수정의 밤 · 오스트리아 병합 · 하산 호 전투 · 뮌헨 협정
중일전쟁
(1937~1939)
루거우차오 사건 · 상하이 전투 · 난징 전투 · 난징 대학살 · 파나이 호 사건 · 트라우트만 공작
국제 기구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장.svg 사우디아라비아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06C35> 사우디-예멘 전쟁
,1934,
<colbgcolor=#f5f5f5,#191919>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Flag_of_the_Mutawakkilite_Kingdom_of_Yemen.svg.png 예멘 왕국
제1차 중동전쟁
,1948 ~ 1949,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북예멘 내전
,1962 ~ 1965,
파일:북예멘 국기.svg 예멘 아랍 공화국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아랍 연합 공화국
알 와디아 전쟁
,1969,
파일:남예멘 국기.svg 예멘 인민 민주 공화국
제4차 중동전쟁
,197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대IS 군사 개입
,2015 ~ 현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L
예멘 내전
,2015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L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CF0921 70%, #CF0921 80%, #fff 80%, #fff 90%, #000 90%, #00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000><colbgcolor=#fff>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사바 왕국 · 힘야르 왕국 · 정통 칼리파 시대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예멘 왕국 · 북예멘 / 남예멘 · 예멘 내전(1994년) / 예멘 통일 · 예멘 민주화 운동 · 예멘 내전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경제 경제 전반 · 예멘 리알
국방 예멘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예멘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예멘 방언) · 잠비야
인물 아르와 앗 술라이히 · 알리 압둘라 살레
지리 하드라마우트 · 홍해 · 소코트라 섬 · 마리브
민족 예멘인 · 하드라미인 · 아크담족 · 소코트라인 · 예멘 흑인
}}}}}}}}} ||

1934년 사우디-예멘 전쟁
الحرب السعودية اليمنية
Saudi–Yemeni war (1934)
파일:Yemen-Saudi_War.gif
기간
1934년 3월 ~1934년 6월 14일
장소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원인
아시르, 나즈란, 지잔 지역의 영토 분쟁
교전국 및 교전 세력

[[사우디아라비아|]][[틀:국기|]][[틀:국기|]]
파일:예멘왕국국기.webp 예멘 왕국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지지 의사 표명국·단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공식)
없음 없음
(사실상)
없음 없음 }}}}}}}}}
지휘관

[[사우디아라비아|]][[틀:국기|]][[틀:국기|]]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사우디아라비아|]][[틀:국기|]][[틀:국기|]] 사우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사우디아라비아|]][[틀:국기|]][[틀:국기|]] 파이살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파일:예멘왕국국기.webp 야흐야 무함마드 하미드 앗딘
파일:예멘왕국국기.webp 아흐마드 빈 야흐야
전력
약 30,000명
(정규군 약 8,000명)
약 37,000명
(정규군 약 12,000명)
결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승리, 타이프 조약의 체결
피해규모
약 2,100명 사망(민간인 포함)

1. 개요2. 배경3. 전개4. 이후

[clearfix]

1. 개요

1934년 3월부터 1934년 6월 14일 까지 사우디아라비아예멘 왕국 간에 발생한 전쟁이다.

2. 배경

사우디아라비아1932년 네지드헤자즈를 통합해 왕국을 세운 후, 남쪽 국경 지역인 아시르, 나즈란, 지잔을 둘러싸고 예멘과 갈등을 빚었다. 원래 이 지역을 다스리던 이드리시 왕조가 1926년 사우디에 종주권을 인정했으나, 예멘의 야흐야 앗딘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영유권을 주장했다. 1931년 체결된 국경 조약이 깨지고, 1933년 예멘군나즈란을 공격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 외교적 해결이 실패하자, 1934년 3월 20일 사우디아라비아예멘전쟁을 선포했다.

3. 전개

4. 이후

1934년 6월 14일, 사우디아라비아예멘이 20년간의 평화를 보장하는 타이프 조약을 체결했으며, 이에 따라 사우디아라비아알 후다이다예멘에 반환하고 지잔, 아시르, 나즈란을 자국 영토로 편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