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 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 아시아의 증권거래소 |
{{{#!wiki style="color: #363636;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or: #555555" | 대만 | 대한민국 | |||||||||||
대만증권거래소 (TWSE) | 타이베이거래소 (TPEX) | 한국거래소 (KRX) | |||||||||||
말레이시아 | 베트남 | ||||||||||||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 (BM) | 하노이증권거래소 (HNX) | 호찌민증권거래소 (HOSE) | |||||||||||
사우디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
사우디거래소 (TADAWUL) | 싱가포르거래소 (SGX) | 인도네시아증권거래소 (ISE) | |||||||||||
인도 | |||||||||||||
봄베이증권거래소 (BSE) | 인도국립증권거래소 (NSE) | 캘커타증권거래소 (CSE) | |||||||||||
중국 본토 | |||||||||||||
상하이증권거래소 (SSE) | 선전증권거래소 (SZSE) | 베이징증권거래소 (BSE) | |||||||||||
홍콩 | 일본 | 필리핀 | |||||||||||
홍콩증권거래소 (HKEX) | 일본거래소 (JPX) | 필리핀증권거래소 (PSE) | |||||||||||
태국 | |||||||||||||
태국증권거래소 (SET) | |||||||||||||
북아메리카 · 아시아 · 유럽 · 기타 | }}}}}}}}} |
기업개요 | |
| |
한글명칭 | 주식회사 일본거래소그룹 |
영문명칭 | Japan Exchange Group, Inc. |
일본어명칭 | 株式会社日本取引所グループ |
설립일 | 2013년 1월 1일 |
업종명 | 증권거래소 |
기업규모 | 대기업 |
상장여부 | 상장기업 |
상장시장 | 도쿄증권거래소(2013년 ~) |
종목코드 | JPX: 8697 |
상장기업 수 | 3,717개 (2020년 9월 18일 기준) 1부: 2,176, 2부: 481 마더스: 325, 자스닥: 662 자스닥성장: 37, TSE프로: 36 |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기업. 도쿄증권거래소, 오사카증권거래소, 도쿄공업품거래소, 일본거래소자율규제법인, 일본증권클리어링(증권청산), 일본상품청산기구(상품청산) 6개의 법인이 합병하여 세워진 통합 증권거래소이다. 본사는 〒103-8224 일본 도쿄도 주오구 日本橋兜町2-1에 위치해 있다. 처음에는 오사카증권거래소 위치에 본사를 뒀으나 2018년 도쿄증권거래소로 본사를 복귀했다.2. 설명
일본의 증권거래소는 도쿄증권거래소, 오사카증권거래소, 나고야증권거래소, 후쿠오카증권거래소, 삿포로증권거래소까지 5개가 있고 도쿄공업품거래소라는 상품거래소까지 딸려 있어서 통일이 안 되고 지방마다 증권거래소가 난립한 구조였다. 결국 고이즈미 준이치로 정부때부터 도쿄증권거래소 위주로 일본의 거래소를 전부 통합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게 된다. 그러나 일본우정 민영화 이후 고이즈미 준이치로 수상은 사임했고, 아베 신조(1차), 후쿠다 야스오, 아소 다로, 하토야마 유키오, 간 나오토, 노다 요시히코까지 후임 총리들이 1년을 못 넘기고 사직하는 일이 반복되자 거래소 통합은 차일피일 밀렸다. 결국 2012년 12월 집권한 아베 신조(2차) 내각에서 거래소 통합 작업에 나서게 된다. 당시 도쿄도지사였던 이시하라 신타로도 아베 내각과 협조하여 2013년 5월 도쿄증권거래소와 오사카증권거래소의 합병을 통해 일본거래소(JPX)를 세우게 된다. 2013년 8월 JPX를 JPX에 상장시켰다. 2013년 9월 도쿄공업품거래소를 통합하였다.문제는 그 이후인데, 나고야증권거래소를 합병하려고 나고야 쪽에 아베가 접촉했으나 2014년 당시 나고야 시장인 카와무라 타카시가 일본거래소와의 통합에 반대하면서 JPX-나고야증권거래소 간 합병이 무산되고 말았다. 그러자 후쿠오카증권거래소와 삿포로증권거래소도 나고야증권거래소처럼 통합 반대로 일관했고, 결국 도쿄-오사카만 통합했고, 나머지 중소규모 지방 증권거래소는 남았다. 지방도시의 경제력이 도쿄에 흡수당한다는 이유로 합병에 반대한 것이었다. 결국 약 200여개의 기업들이 JPX에 포함되지 않았다.[1] 현재 일본 상장주권 거래 비중에서 일본거래소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99.3%이며 0.7%만을 지방 거래소에서 차지하고 있다.
상하이증권거래소와 시가총액기준 아시아 1위, 세계 3위를 다투는 거대한 증권거래소이다.
2021년 1월 기준 전체 시가총액은 약 6조 3500억 달러, 상장사는 3754개이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191919> | 증권거래소 시가총액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세계 증권거래소 시가총액 | ||
<rowcolor=white> 순위 | 증권거래소 | 시가총액 (USD) | |
1 | | 25.56조 | |
2 | | 23.41조 | |
3 | | 6.89조 | |
4 | | 6.52조 | |
5 | | 6.15조 | |
6 | | 4.34조 | |
7 | | 4.29조 | |
8 | | 4.01조 | |
9 | | 3.97조 | |
10 | | 3.42조 | |
11 | | 3.09조 | |
12 | | 3.02조 | |
13 | | 2.12조 | |
14 | | 2.07조 | |
15 | | 2.04조 | |
16 | | 1.97조 | |
17 | | 1.85조 | |
18 | | 1.79조 | |
19 | | 1.71조 | |
20 | | 1.02조 | |
2023년 12월 기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