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20:40:15

LG 트윈스/1992년/7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LG 트윈스/1992년
LG 트윈스 시즌별 성적
1991 시즌 1992 시즌 1993 시즌
LG 트윈스 1992년 페넌트레이스 월별 일정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7월 종료시점 성적
순위 승패마진 승률
7 / 8 36 2 54 -18 0.400
7월 성적 13 0 11 +2 0.542
LG 트윈스 7월 일정 및 결과
<rowcolor=#ffffff> 월
29 30 1 2 3 4 5
파일:태평양 돌핀스 심볼(1988~1995).png
태평양
4:5
파일:태평양 돌핀스 심볼(1988~1995).png
우천
취소
파일:해태 타이거즈 심볼(1982~1995).svg
해태
2:12
파일:해태 타이거즈 심볼(1982~1995).svg
해태
6:7
파일:해태 타이거즈 심볼(1982~1995).svg
해태
1:3
6 7 8 9 10 11 12
휴식 파일:태평양 돌핀스 심볼(1988~1995).png
태평양
6:3
파일:태평양 돌핀스 심볼(1988~1995).png
태평양
4:5
파일:태평양 돌핀스 심볼(1988~1995).png
태평양
7:1
파일:빙그레 이글스 블랙 심볼.svg
우천
취소
파일:빙그레 이글스 블랙 심볼.svg
DH1
빙그레
3:7
파일:빙그레 이글스 블랙 심볼.svg
우천
취소
파일:빙그레 이글스 블랙 심볼.svg
DH2
빙그레
6:1
13 14 15 16 17 18 19
휴식 파일:해태 타이거즈 심볼(1982~1995).svg
해태
1:3
파일:해태 타이거즈 심볼(1982~1995).svg
해태
5:1
파일:해태 타이거즈 심볼(1982~1995).svg
우천
취소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png
우천
취소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png
DH1
롯데
4:6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png
롯데
5:3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png
DH2
롯데
3:6
20 21 22 23 24 25 26
휴식 파일:태평양 돌핀스 심볼(1988~1995).png
태평양
5:2
파일:태평양 돌핀스 심볼(1988~1995).png
태평양
3:5
파일:태평양 돌핀스 심볼(1988~1995).png
태평양
0:1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png
롯데
5:1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png
롯데
5:4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png
롯데
2:4
27 28 29 30 31 1 2
휴식 파일:쌍방울 레이더스 심볼(1991~1999).png
쌍방울
4:8
파일:쌍방울 레이더스 심볼(1991~1999).png
쌍방울
3:5
파일:쌍방울 레이더스 심볼(1991~1999).png
쌍방울
10:8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1989~1994).png
삼성
1:2

1. 6월 30일 ~ 7월 2일 VS 태평양 돌핀스 (인천) 루징 시리즈
1.1. 7월 1일1.2. 7월 2일
2. 7월 3일 ~ 7월 5일 VS 해태 타이거즈 (잠실) 스윕
2.1. 7월 3일2.2. 7월 4일2.3. 7월 5일
3. 7월 7일 ~ 7월 9일 VS 태평양 돌핀스 (잠실) 루징 시리즈
3.1. 7월 7일3.2. 7월 8일3.3. 7월 9일
4. 7월 10일 ~ 7월 12일 VS 빙그레 이글스 (대전) 동률 시리즈
4.1. 7월 10일4.2. 7월 11일 DH14.3. 7월 11일 DH24.4. 7월 12일
5. 7월 14일 ~ 7월 16일 VS 해태 타이거즈 (광주) 동률 시리즈
5.1. 7월 14일5.2. 7월 15일5.3. 7월 16일
6. 7월 17일 ~ 7월 19일 VS 롯데 자이언츠 (잠실) 위닝 시리즈
6.1. 7월 17일6.2. 7월 18일 DH16.3. 7월 18일 DH26.4. 7월 19일
7. 7월 21일 ~ 7월 23일 VS 태평양 돌핀스 (잠실) 위닝 시리즈
7.1. 7월 21일7.2. 7월 22일7.3. 7월 23일
8. 7월 24일 ~ 7월 26일 VS 롯데 자이언츠 (사직) 루징 시리즈
8.1. 7월 24일8.2. 7월 25일8.3. 7월 26일
9. 7월 28일 ~ 7월 30일 VS 쌍방울 레이더스 (전주) 루징 시리즈
9.1. 7월 28일9.2. 7월 29일9.3. 7월 30일
10. 7월 31일 ~ 8월 2일 VS 삼성 라이온즈 (잠실) 동률 시리즈
10.1. 7월 31일

1. 6월 30일 ~ 7월 2일 VS 태평양 돌핀스 (인천) 루징 시리즈

6월 30일 경기는 6월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1. 7월 1일

7월 1일, 숭의야구장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10회 11회 R
LG 2 0 0 1 0 1 0 0 0 0 0 4
태평양 3 0 0 0 0 0 0 1 0 0 1X 5

7월 1일 태평양 원정에서 노찬엽(4호),이병훈(7호)-김경기,장광호가 홈런 2개씩 주고받으며 4:4 팽팽한 승부가 이어지던 연장 11회말 9회에 정삼흠 다음으로 등판한 차동철이 하루 전 LG에서 태평양으로 트레이드로 이적한 윤덕규에게 끝내기 안타를 맞으며 4:5로 졌다.

쌍방울이 빙그레와의 더블헤더에서 1승1패를 기록하며 반 경기차 꼴찌가 되었다.

1.2. 7월 2일

이날 경기는 우천취소되었다.

쌍방울이 빙그레에 패하며 하루 만에 7위에 복귀했다.

2. 7월 3일 ~ 7월 5일 VS 해태 타이거즈 (잠실) 스윕

2.1. 7월 3일

7월 3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해태 0 1 0 0 0 1 0 0 0 2
LG 4 0 1 0 0 1 3 3 - 12

7월 3일 2위 해태와의 홈경기에서 1회에만 팀사이클링히트를 기록하며 2:12 대승을 거뒀다.

1회말 LG 타자들은 송유석을 상대로 1번 송구홍이 2루타, 2번 박흥식이 3루타, 3번 노찬엽이 단타를 때렸고 4번 김상훈이 2점 홈런(시즌 10호)을 기록하며 공격이 시작하자마자 사이클링히트를 기록하고 4:0으로 앞서갔다. 김태원은 장단 16안타 12득점을 기록한 팀 타선 지원을 등에 업고 8회에 차명석에게 마운드를 넘길 때까지 7회까지 2실점하며 시즌 6승(8패)을 따냈다.

2.2. 7월 4일

7월 4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10회 11회 R
해태 0 3 0 0 0 3 0 0 0 0 0 6
LG 0 0 1 0 2 3 0 0 0 0 1X 7
중계방송사: 파일:SBS 로고(1991-1994).svg | 캐스터: 유협 | 해설: 김동엽

4일 경기는 추격전 끝에 연장 11회말 김건우의 끝내기안타로 후반기 첫 위닝시리즈를 기록했다.

김성한, 정회열에 홈런을 허용하는 등 3-6으로 끌려갔으나 6회말 집중 3안타로 3득점, 승부를 원점으로 돌린 뒤 연장 11회말 1사후 노찬엽, 김상훈, 김건우가 연속안타를 터뜨려 짜릿한 끝내기 역전승을 거뒀다. 7회에 등판하여 11회까지 무실점한 차동철이 시즌 첫 승리투수(1승1패)가 되었다.

2.3. 7월 5일

7월 5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해태 0 0 0 0 0 1 0 0 0 1
LG 0 0 2 1 0 0 0 0 - 3
중계방송사: 파일:SBS 로고(1991-1994).svg | 캐스터: 유협 | 해설: 김동엽

시리즈 마지막 경기인 5일 경기도 선발등판한 서왕권의 깜짝 프로데뷔 첫 승과(1승2패) 3회말 이우수,송구홍,박흥식의 연속 3안타로 2점을 뽑고 4회말 이병훈의 솔로홈런(8호)으로 2위 해태를 1:3로 무너뜨리며 시즌 첫 스윕승을 달성했다. 이는 해태의 시즌 첫 스윕패이기도 했으며 해태에게는 빙그레와의 경기차를 3.5경기로 벌어지게 만든 치명타였다.

3. 7월 7일 ~ 7월 9일 VS 태평양 돌핀스 (잠실) 루징 시리즈

3.1. 7월 7일

7월 7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태평양 0 1 2 2 0 0 1 0 0 6
{{{#ffffff LG}} 0 0 1 0 0 0 2 0 0 3

7월 7일 태평양을 상대로 홈에서 김기범을 내세워 시즌 첫 4연승에 도전했지만 양상문박은진이 나온 태평양에 6:3으로 졌다. 김기범은 시즌 (3승)4패를 기록했으며 이날 꼴찌 쌍방울이 삼성을 상대로 김기태의 끝내기안타로 승리하며 쌍방울과의 승차가 없어졌다.

3.2. 7월 8일

7월 8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태평양 0 0 0 0 0 0 0 0 4 4
LG 1 0 0 0 0 1 0 3 - 5

8일 경기는 정삼흠(6승3패)과 차동철의 첫 세이브, 솔로홈런(시즌 9호) 포함 4타수3안타1타점2득점을 기록한 송구홍의 맹활약으로 정민태가 등판한 태평양을 4:5로 이겼다.

1회말 2사 2루에서 김상훈의 적시타로 선취득점한 LG는 6회 김건우(시즌 8호)의 홈런으로 1점을 보탠데 이어 8회 송구홍의 1점홈런과 상대실책, 2안타로 쉽게 3점을 추가해 5-0으로 달아나며 승리를 굳혔다. 정삼흠은 완투를 앞뒀으나 9회 마지막 수비에서 1사후 여태구에게 볼넷, 윤덕규, 이광근, 김동기에게 연속 3피안타로 3실점해 아쉽게 강판당했다. 이어서 김경기가 구원투수 차동철로 부터 우전 적시타를 터뜨리며 4:5까지 추격당했으나 김경기가 3루까지 무리하게 달리다 횡사하는 행운으로 가까스로 승리를 올렸다.

꼴찌 쌍방울의 패배로 다시 1경기차가 되었다.

3.3. 7월 9일

7월 9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태평양 가내영 0 1 0 0 3 0 1 0 2 7
LG 0 0 0 0 0 0 0 1 0 1

9일에는 상대 선발 가내영에게 6이닝 무실점으로 틀어막히고 김태원이 5회까지 4실점으로 시즌 10패를 기록하며 7:1로 패배, 주말 해태전 스윕승의 기세를 잇지 못하고 루징시리즈를 기록했다.

태평양전 4승1무9패로 절대열세를 기록했으며 시즌 전적은 27승2무46패 승률 .373으로 꼴찌 쌍방울에 1경기차 앞선 7위를 기록했다.

4. 7월 10일 ~ 7월 12일 VS 빙그레 이글스 (대전) 동률 시리즈

4.1. 7월 10일

우천취소된 관계로 다음날 더블헤더로 진행된다.

4.2. 7월 11일 DH1

7월 11일 DH1,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LG 1 0 0 0 0 2 0 0 0 3
빙그레 0 1 1 0 0 0 4 1 - 7

1차전에서 송구홍이 선두타자 홈런(시즌 10호)으로 데뷔 첫 두자리 수 홈런을 기록하는 등 7회초까지 3:2로 앞서있었지만 빙그레의 강타선에 5실점하며 3:7로 역전패했다.

4.3. 7월 11일 DH2

7월 11일 DH2,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LG 0 0 1 0 0 1 2 2 0 6
빙그레 0 1 0 0 0 0 0 0 0 1

2차전은 송구홍과 김상훈이 각각 시즌 11호 홈런을 기록하며 6:1로 승리, 대전경기 7연패에서 벗어났다. 2차전 7회에 구원등판한 서왕권은 데뷔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

4.4. 7월 12일

이날 경기는 우천취소되었다.

여담으로 10~12일 모든 경기 결과가 1승 1패로만 이루어졌다.

5. 7월 14일 ~ 7월 16일 VS 해태 타이거즈 (광주) 동률 시리즈

5.1. 7월 14일

7월 14일, 무등 야구장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LG 0 0 0 0 1 0 0 0 0 1
해태 2 0 1 0 0 0 0 0 - 3

7월 14일 광주 해태 원정경기는 정삼흠이 완투했지만 김정수와 조계현이 나온 해태를 넘지 못하고 1:3으로 졌다. 안타수는 6대4로 앞섰지만 효율성에서 해태가 앞섰다. 1회 1사2,3루에서 홍현우에게 2타점 적시타, 3회 한대화에게 1타점 적시타를 맞은 것이 뼈아팠다.

5.2. 7월 15일

7월 15일, 무등 야구장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LG 0 0 0 1 0 2 1 0 1 5
해태 0 0 0 0 1 0 0 0 0 1

15일 경기는 박준태의 LG 트레이드 후 첫 홈런과 송구홍의 19경기 연속 안타 및 12호 홈런, 김태원의 완투로 5:1로 승리했다.

5.3. 7월 16일

이날 경기는 우천취소되었다.

6. 7월 17일 ~ 7월 19일 VS 롯데 자이언츠 (잠실) 위닝 시리즈

6.1. 7월 17일

우천취소된 관계로 다음날 더블헤더로 진행된다.

6.2. 7월 18일 DH1

7월 18일 DH1,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롯데 0 0 0 2 0 1 1 0 0 4
LG 0 1 0 0 0 0 2 1 2X 6

18일 더블헤더 1차전에서 6회까지 박동희가 등판한 롯데에 4:1로 지고 있었으나 7회 김상훈의 2루타와 김동수의 3루타 등으로 2점을 추격한 뒤 8회 김영직의 희생타로 동점을 만들었고 9회말 박준태의 2점짜리 끝내기 홈런으로 4:6 승리로 팀 30승을 기록했다. 이 승리는 6연패 끝에 시즌 첫 잠실 롯데전 승리였다. 민원기는 9회 무실점 투구로 데뷔 첫 승리를 기록했고, 송구홍은 1회 안타로 20경기 연속 안타 기록을 이어갔다.

6.3. 7월 18일 DH2

7월 18일 DH2,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롯데 0 0 0 2 0 0 0 1 0 3
LG 0 0 0 1 3 1 1 0 - 6

2차전에서는 방위병 김기범의 호투와 함께 4회까지 2:0으로 지던 경기를 5회 노찬엽의 결승 2타점 2루타에 힘입어 3:6 역전승을 거뒀다. 송구홍은 4타수 무안타에 그치며 아쉽게 20경기에서 연속안타기록을 마감했다.

더블헤더 2연승으로 해태에 2연패한 꼴찌 쌍방울에 단숨에 4.5경기차로 달아났다.

6.4. 7월 19일

7월 19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롯데 0 0 0 0 1 0 4 0 0 5
LG 1 1 0 0 0 1 0 0 0 3

19일 롯데와의 마지막 홈경기는 1:3으로 앞서던 7회초 타자일순을 허용하며 4실점으로 5:3으로 역전패, 시즌 첫 4연승과 승률 4할, 시즌 두 번째 스윕에는 실패했다.

19일까지 31승2무49패 승률 .390으로 5,6위 태평양과 OB에 6.5경기차, 꼴찌 쌍방울에 4.5경기차로 7위가 굳혀졌다.

LG 트윈스의 1992 시즌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홈경기 중 롯데전이 1번째로 끝나게 되었다.

7. 7월 21일 ~ 7월 23일 VS 태평양 돌핀스 (잠실) 위닝 시리즈

7.1. 7월 21일

7월 21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태평양 0 0 0 4 1 0 0 0 0 5
LG 0 0 0 0 0 0 0 0 2 2

21일 태평양과의 홈경기는 4회에 타자일순을 4실점하고 5회에 윤덕규에게 홈런을 허용하며 5:2로 져 시즌 50패를 찍었다. 선발투수 김태원은 시즌 (7승) 11패째를 기록했다.

7.2. 7월 22일

7월 22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태평양 1 0 0 1 0 1 0 0 0 3
LG 문병권 2 0 2 0 0 0 0 1 - 5

22일 경기는 문병권(선발, 6승5패)과 차동철의 호투(3세이브), 노찬엽의 시즌 6호 홈런 등 6안타로 5득점하며 2:5로 승리했다.

7.3. 7월 23일

7월 23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태평양 0 0 0 0 0 0 0 0 0 0
LG 0 1 0 0 0 0 0 0 - 1

23일에는 2회 1안타와 상대 포수의 실책으로 노찬엽이 홈으로 들어와 얻은 1점을 정삼흠(7승5패)과 김기범(1세이브)이 잘 지켜내 0:1의 짜릿한 승리를 기록하며 잠실 태평양전을 마감했다.(태평양전 6승1무10패)

이 승리로 시즌 전적이 33승2무50패 승률 .400으로 4월 초 시즌 초반 이후 첫 승률 4할에 성공했다.

LG 트윈스의 1992 시즌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홈경기 중 태평양전이 2번째로 끝나게 되었다.

8. 7월 24일 ~ 7월 26일 VS 롯데 자이언츠 (사직) 루징 시리즈

8.1. 7월 24일

7월 24일, 사직 야구장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LG 1 0 2 0 0 0 1 1 0 5
롯데 0 5 0 0 1 3 1 2 - 12

24일 부산 롯데 원정은 상대에게 선발전원안타 포함 16안타를 허용하며 5:12 대패를 당했다.

8.2. 7월 25일

7월 25일, 사직 야구장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LG 1 0 0 1 0 1 0 0 2 5
롯데 0 0 2 2 0 0 0 0 0 4

25일 경기는 3:4로 끌려가던 9회초 김영직의 2루타 이후 김선진의 동점 적시타, 김상훈의 결승 적시타 등 4안타를 몰아쳐 9개의 탈삼진과 함께 완투를 노리던 박동희를 공략하는데 성공하며 5:4 역전승을 거뒀다. 김태원은 4회까지 4실점한 민원기를 구원하여 구원승으로 시즌 8승(11패)을 올렸고 김기범은 시즌 2번째 세이브를 기록했다.

8.3. 7월 26일

7월 26일, 사직 야구장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LG 2 0 0 0 0 0 0 0 0 2
롯데 1 0 0 3 0 0 0 0 - 4

26일 경기는 전날 세이브를 기록한 김기범이 선발로 등판했는데 1회초 송구홍의 시즌 13호 선제 2점 홈런으로 앞서갔지만 1회말 1실점 4회말 3실점으로 역전당한 후 5회에 등판한 염종석에게 꽁꽁 막히며 2:4로 패했다.

이 패배로 염종석은 신인 최다승인 12승을 기록하게 되었고 롯데와의 시즌 맞대결을 모두 치러 4승14패로 마감하였다.

9. 7월 28일 ~ 7월 30일 VS 쌍방울 레이더스 (전주) 루징 시리즈

9.1. 7월 28일

7월 28일, 전주종합경기장 야구장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LG 0 0 0 2 0 1 0 1 0 4
쌍방울 0 5 0 2 0 0 1 0 - 8

28일 전주에서 열린 꼴찌 쌍방울과의 원정경기는 안타수에서 12:5로 열세, 김상훈의 시즌 12호 홈런에도 2회말 타자일순으로 5실점하는 등 끌려가는 경기를 하며 4:8로 졌다. 정삼흠은 시즌 (7승)6패를 기록했다.

9.2. 7월 29일

7월 29일, 전주종합경기장 야구장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LG 0 2 0 0 0 1 0 0 0 3
쌍방울 0 0 0 5 0 0 0 0 - 5

29일에는 2회초 이병훈의 시즌 10호 선제 2점 홈런으로 기선제압했지만 4회에 전날에 이어 타자일순으로 5실점하며 역전을 허용했고 6회 박준태와 송구홍의 안타로 1점 만회했으나 마무리 조규제의 벽을 넘지 못하고 3:5으로 역전패를 당해 쌍방울전 3연속 루징시리즈와 함께 3연패의 수렁에 빠졌고 꼴찌 쌍방울에 3경기 차로 좁혀졌다. 김태원은 시즌 (8승)12패째를 기록했다.

9.3. 7월 30일

7월 30일, 전주종합경기장 야구장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LG 0 0 1 1 1 0 0 1 6 10
쌍방울 0 1 0 0 5 0 0 2 0 8

30일에 열린 시리즈 마지막 경기는 9회초까지 4:8로 뒤지며 피스윕 직전까지 몰렸으나 쌍방울의 마무리 조규제에게 홈런 2개 포함 타자일순 6득점으로 10:8 대역전승, 간신히 피스윕을 모면했다.

이병훈은 시즌 11호,12호 8,9회 연타석 홈런을 터뜨리며 승리의 1등공신이 되었다. LG는 4:8로 지고 있던 9회 1사후 대타로 기용된 김선진이 솔로 홈런을 뽑아내 추격의 발판을 마련하고 이후 주자를 1,2루에 두고 송구홍의 우전적시타와 김상훈의 희생플라이로 2점을 추가해 7:8이 되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LG는 공격의 고삐를 늦추지 않고 조규제를 몰아붙혀 노찬엽의 적시 2루타로 8:8 동점을 만들고 뒤이어 이병훈의 연타석 2점 홈런이 터져 막판 뒤집기에 성공했다.

이 승리로 4연패와 전주 5연패, 쌍방울전 첫 스윕패의 위기로부터 벗어났고 쌍방울과의 경기차를 4로 늘렸다. 9회말에 등판한 차명석은 통산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 그리고 월간 전적 12승11패로 시즌 첫 월간 승률 5할 이상을 확정지었다.

10. 7월 31일 ~ 8월 2일 VS 삼성 라이온즈 (잠실) 동률 시리즈

8월 1일 ~ 8월 2일 경기는 8월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0.1. 7월 31일

7월 31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10회 11회 12회 R
삼성 0 0 0 0 0 0 0 0 1 0 0 0 1
LG 0 0 1 0 0 0 0 0 0 0 0 1X 2

7월 31일 삼성과의 홈경기는 연장 12회 접전끝에 박흥식이 1사만루에서 끝내기 안타를 기록하여 1:2로 이겼다. 월간 전적은 13승11패가 되었고 팀승률은 .402로 4할을 회복했으며, 삼성전 상대전적 8승5패의 강세를 이어갔다. 정삼흠은 연장 10회에 등판하여 구원승으로 시즌 8승(6패)를 기록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