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5 10:25:31

M16A1(조선인민군)



M16A1 rifle
M16A1 소총
<nopad> 파일:external/bemil.chosun.com/20130416034501.jpg
대한민국 국군에게 노획되어 전시된 북한제 M16A1의 사진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돌격소총
원산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북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북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북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86년~현재
개발년도 1986년으로 추정
생산년도 1986년으로 추정
사용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북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북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북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기종
원형 M16A1
제원
탄약 5.56×45mm
급탄 20, 30발들이 STANAG 탄창
작동방식 가스 직동식, 회전 노리쇠 방식
총열길이 508mm (20인치)
전장 990~1,007mm로 추정[A]
조준 반경 460mm
중량 2.88~3.06~3.65kg으로 추정[2][A]
강선 6조 우선으로 추정[A]
12인치에 1회전으로 추정[A]
발사속도 700~800RPM로 추정[A]
탄속 884~975m/s로 추정[A]
유효사거리 460m로 추정[A] }}}}}}}}}
1. 개요2. 역사3. 원본과 차이점4. 실전5. 대중매체에서 등장6. 기타7. 둘러보기

1. 개요

북한에서 대한민국 국군으로 위장한 남파공작원, 북한군들에게 지급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생산한 M16A1 소총.

2. 역사

6.25 전쟁 당시부터 꾸준히 국군으로 위장해왔었던 북한군은 한국군이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면서 M16으로 무장하는 비율이 점점 증가하였고, 면허생산까지 하자 북한에서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위장용 화기[9]로는 남파공작원 등을 국군으로 완벽하게 위장하기가 힘들기에 이 소총을 불법 복제한 것으로 추정된다.

언제 처음 획득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라오스 인민혁명당 중앙위원회 총비서 까이쏜 폼위한이 1970년 6월 선물한 M16이 북한에 전시되어 있기도 하고 북한이 베트남전 당시 북베트남을 돕기 위해 일부 도움을 주기도 하였기에 의외로 M16 입수 시점이 한국군의 베트남전 파병 시기와 별 차이 없을 수도 있다.[10]
파일:1591589969.jpg
1986년 4월 김일성이 부대 순회 중인 사진

2010년대에 중국 인터넷을 통해 김일성, 김정일에게 88식 보총을 선보이는 장면의 북한 선전 사진이 공개되었는데 왼쪽 동그라미 쳐진 곳에 서방제 M16A1도 전시되어 있다. 최소 70년대 말 ~ 80년대 초부터 북한이 M16을 보유하고 있고 생산까지 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이 때문에 동시기에 제작된 중국의 CQ 5.56을 가져온게 아니냐는 추측[11]이 돌았지만, 중국의 CQ는 핸드가드와 권총 손잡이의 형상이 완전히 달라서 하부 리시버의 각인이 없는 것을 제외하면 미제 원본과 거의 일치한 형상의 북한의 M16A1과는 다르다.[12] 서로 기술 공유나 결함 등의 피드백을 했을 수도 있겠지만 자료가 없어서 불명확하다.[13]
파일:NKFROKM16.jpg
북한 선전 영화에서 등장한 M16A1

군사적 목적 이외에는 선전 영화에서 한국군 배역들이 사용하는 총기로 출연한다.

3. 원본과 차이점

파일:us_m16a1_forward_assist.webp 파일:korean_m16a1_forward_assist.jpg
미국산 원본 A1 노리쇠전진기 한국산 A1 노리쇠전진기

소총을 불법 복제할 때 샘플로 사용한 총기가 미국제 원판이라 도색은 한국군과 똑같은 색상으로 도색하였지만 조정간은 미국제와 똑같다. 정작 노리쇠 전진기는 한국 생산 버전과 같은 원뿔형이며, 탄창 삽입구에 총번 등 어떠한 각인도 없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같이 노획된 실탄 역시 로트번호가 없는 것으로 보아 탄까지 자체 생산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실전

파일:20110701020741.jpg
북한군 특작부대원이 남파 당시 소지했던 군복과 장비(북한제 M16A1 포함)를 노획한 한국군이 재현한 사진
  • 1983년 8월 4일 오후 11시 40분, 월성 원자력 발전소 인근에 있는 경북 월성군 양남면(現 경북 경주시 양남면) 해안가로 침투하기 위해 접근 중이던 북한 공비 3명과 안내원 2명을 해병 초병들이 사살하고 이후 인근 해상에서 공비들이 탔던 간첩선을 발견해 육해공 합동작전으로 격침시킨 이른바 '월성 무장공비 침투 사건'에서 남파공작원들이 휴대했던 유류품들 중 이 소총이 등장했다. 이후 한국 언론에 공개되면서 북한이 M16A1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이 세간에 알려졌다.
  • 1992년 5월 22일 오전 11시 30분경, 강원도 철원군 북방 비무장지대에서 남측으로 침투하려던 북한군 침투조와 이를 저지하려던 국군 3사단 수색대 병력 사이에 교전이 발생했다. 이후 북한군 3명을 사살한 국군 측에서 이들이 지니고 있던 유류품들 중 각인이 없는 M16A1 3정노획했는데 이 소총들은 북한제 M16A1으로 추정된다.
  • 1995년 10월 17일 오전 2시 20분경, 경기도 파주군(現 경기도 파주시) 임진강 하류 자유의 다리 남방 1.5Km 지점에서 침투 중이던 무장공비 1명을 국군 1사단 초병들이 사살했는데 사살된 공비가 지니고 있던 유류품들 중 M16A1 소총 2정이 나왔다. 이 소총들 역시 총번이 각인되지 않아 북한제 M16A1으로 추정된다.
  • 1996년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발생 이후 공작원들이 은신했던 비트와 국군이 사망한 공작원들에게서 수거한 유류품들 중 이 소총이 등장했고, 북으로 도주하던 남파공작원 잔당들이 이 소총으로 자신들을 뒤쫒던 국군과 교전을 벌였는데 이들이 휴대한 소총들 역시 아무런 각인이 없었고 실탄 또한 로트번호가 없었다.

5. 대중매체에서 등장

  • 웹툰 스틸레인에서 북한군들이 국군 복장에 이 소총으로 무장한 상태로 땅굴을 통해 서울 시내로 침투한 뒤 국군과 교전을 벌인다.
  • 영화 강철비에서 국군으로 위장한 북한군들이 땅굴에서 남한으로 침투 대기할 때 이 소총을 휴대하고 있다. 다만 남한에 침투하기 전에 북한 쿠데타 지휘부가 와해되어 직접 사용하는 장면은 없다.
  • 영화 헌트에서도 태국군으로 위장한 북한 공작원들이 사용한다.
  • 고바야시 모토후미의 전쟁 만화 제2차 한국전쟁에서는 국군 헌병(現 군사경찰) 복장으로 DMZ 남측으로 침투한 북한군들이 들고 있어서 이들과 조우한 국군 병력들이 의심하는 장면이 등장한다.[14]

6. 기타

김신조가 2021년 예능 프로그램인 이제 만나러 갑니다에 출연해 자신이 남파공작원이던 시절, 주한미군도 당시 최신식 소총인 M16으로 무장하게 되자 북한이 무기 정보 습득을 위해 공작원이 휴전선의 미 2사단 방어 지역에 직접 침투해서 졸고 있던 미군 병사의 M16을 절취해 북으로 유유히 복귀했다는 주장을 한 바 있어 이런 공작원들을 통해 소총의 실물을 획득한 뒤 M16의 제원과 성능을 파악하고 복제했으리라 추정할 수 있다.

이 소총 이후로도 K2 소총도 복제 생산했으리라 강하게 추측되는 근거 중 하나가 된다. 1997년 화성 해안초소 K2 소총 사취 사건탈북자의 증언, 한국에서 이란으로 정식 수출한 적이 없는 K7 소음기관단총이 이란 무기 전시회에 난데없이 등장한 정황 등을 종합해 볼 때 충분히 불법 복제했다고도 볼 수 있다.[15]

7. 둘러보기

파일:북한 국기.svg 현대 조선인민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조선인민군 보병장비
1948~현재'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30식 보총R, 53식 보총R
반자동소총 63식 보총의장대/R
자동소총 58식 자동보총R, 68식 자동보총R, 88식 자동보총, 98식 자동보총
저격소총 78식 저격보총, 신형 볼트액션식 저격보총 3종류N?, SVD
권총 64식 권총R, 66/68식 권총N?/R, 70식 권총N?, 백두산 권총, CF-98 권총?
기관단총 PPSh-41R, 49식 기관단총R, PPS-43R, M56R
지원화기 기관총 62식 대대기관총R, 64식 대대기관총R, 68식 대대기관총, 73식 대대기관총, 88식 대대기관총, 98식 대대기관총, DShK, KPV, 무하람 중기관총
유탄발사기 GP-25, AGS-17, 신형 유탄발사기N?
대전차화기 2호 발사관R, 7호 발사관, 69식 화전통, 수성포, 불새-2/3/5, 9M113, 북한판 NLAWN?, 북한판 스파이크?, B-10, B-11, 56식 비반충포, 63식 비반충포, RPO-A, PF-97
박격포 60mm 박격포, 82mm 박격포, 120-PM-43
맨패즈 화승총(9K32/34 스트렐라), 화승총(9K310 이글라-1)
화염방사기 ROKS-2/3, LPO-50
수류탄 F-1, RGD-33, RG-42, RPG-43, RGD-5, RKG-3, 75식 수류탄, 총류탄
지뢰 목함지뢰, POMZ, 나뭇잎 지뢰
특수전화기 반자동소총 M1 카빈R, M1 개런드R
자동소총 M2 카빈R, 2020년식 98식, 불펍형 98식, M16A1, K2, 복합보총(2017, 2021)N?, 신형보총(2023, 2024)N?, AK-12
저격소총 78식 저격보총, 신형 반자동 저격보총, 신형 볼트액션 저격보총 3종류, DVL-10, SSG 08
기관단총 M3, M3a1 그리스건R, Vz.61, 신형 기관단총N?
권총 M1911A1R, 잉글리스 하이파워, CZ70, CZ83, 베이비 브라우닝
R: 퇴역 및 준군사조직용
?:사용여부 불명
N?:제식명칭 불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스토너 계열 총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2a4e> AR-10 SR-25, Mk.11, M110, MARS-H, RSASS, HK417, OBR, MRGG, G28, M110A1, LR-308, FD338, ULR 338, ALR-338, SIG716, Mk.18 Mjolnir, DRD Kivaari, BT-6, Mk.47, MPT-76, REC10, M23
AR-15 <colbgcolor=#002a4e> 미군 <colbgcolor=#002a4e> 돌격소총 M16, M16A1, M16A2, M16A3, M16A4, M4, M27, M231, Mk.18, CAR-15, XM177, GAU-5, M733, Noveske N4
지정사수소총 M655/656, Mk.12, SAM-R, SDM-R, RECCE
미국 돌격소총 M6, 허니뱃저, M16A2E2, LR-300, CM901, IAR, MARS, REC7, ACR, SR-47, XM-15, SIG M400, SIG516, KAC PDW, KAC SR-15, KAC KS-1, FAXON ARAK, BCM RECCE, STR-15S, URG-I, Radian Model 1, MARS-L, M&P15, MOE Carbine
기관단총 M635, AR-57, Mk.57, CMMG FourSix, UDP-9
권총 OA-93
기관총 CMG-1, 아레스 슈라이크 5.56 시스템
캐나다군 돌격소총 C7, C8, IUR
지정사수소총 C7CT, C8CT, C20
캐나다 돌격소총 SA20, SA15.7
기관총 C7 LSW
유럽 HK416, NARP, STM556, WAC-47, STM-9, ADAR 2-15, MK556
동아시아 K13, DSAR-15PC, T65, T86, T91, CQ 5.56, CAR816, T112
그 외 G5, KH-2002, UTAS XTR-12, Safir Arms T-14, Gilboa DBR Snake
AR-16 AR-18, M17S, T2, 89식 소총, SA80, SAR-80, SR-88, SAR-21
기타 AR-1, AR-3, AR-5, AR-7, 스토너 63, KAC ChainSAW, 아레스 FMG
}}}}}}}}} ||

[A] 원본 총기인 M16A1와 같은 스펙이다.[2] 순서대로 탄창 미포함 중량, 20발들이 탄창 포함 중량, 30발들이 탄창 포함 중량[A] [A] [A] [A] [A] [A] [9] 주로 M1/M2 카빈그리스건 등 2차 대전 때 쓰였던 미군 총기가 쓰였으며 캐나다 같은 자유진영에서 밀수한 서방제 무기들도 쓰였다.[10] 베트남전 이후에 북베트남은 전쟁에 도움을 준 공산권에게 남베트남군에서 획득한 미제 장비를 제공하였는데 소련은 M16 등을 받아갔고 폴란드도 F-5 전투기 1대를 선물로 받아 간 적이 있었기에 전쟁 당시에 확보한게 없다면 이 때 받아갔을 수도 있다.[11] 이쪽은 69년도에 7.62x39mm로 컨버전된 프로토타입이 나올 정도로 개발 시기가 빨랐다.[12] 거기다 알려진 자료들로 보면 중국이 원본과 똑같은 형상으로 카피한 것은 한참 나중에 M4 카빈을 복제해 만든 CQ-A 카빈을 생산한 때로, 그 이전에는 확실히 구분되는 디자인으로 카피했다.[13] 가장 정확히 구분하는 방법은 재질을 보는 것인데, CQ는 생산성과 저가격대를 유지하기 위해 미국에서 사용한 것보다 품질이 낮은 자재를 사용했다.[14] 국군 병사들끼리 헌병들도 분명 K2를 장비하고 있을텐데 M16을 들고 있는 것이 수상하다며 대화하면서 이상한 낌새를 느꼈다.[15] 북한은 1949년에 49식 기관단총부터 시작해서 보병 화기를 직접 생산했으며, 설사 성능이 시원찮아도 소총을 복제하는 것은 카이베르 고개 수준만 되어도 얼마든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