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0 23:42:53

먹을 찬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9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2획
미배정
미배정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く-う, く-らう
-
표준 중국어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喰은 '먹을 찬'이라는 한자로, '먹다'를 뜻한다.

2. 상세

(입 구)와 (밥/먹을 식)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55B0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ROIV(口人戈女)로 입력한다.

본 글자를 형성자로 간주해서 食의 음을 그대로 따와 대표 훈음을 '먹을 찬'이 아니라 '먹을 식'이라고 잘못 서술한 옥편들이 많으나 이는 잘못이다. 네이버 한자사전 등에서도 잘못된 음을 제시할 지경. 이 때문에 喰을 제목에 사용한 일본 만화 등을(예: 식령)을 국내에 정발할 적에 '식'으로 잘못 옮기곤 한다.

(밥 찬)과 통자 관계이다. 그 외에도 '익힌 간소한 음식'이라는 뜻으로 쓰이면 '손', 음식을 좋아한다는 뜻으로 쓰이면 '치'라고 한다.

서브컬처에서 자주 보이는 '쿠라에'가 이 한자를 쓴다.

3. 용례

3.1. 단어

  • 아찬(喰) → 飡의 별기
  • 이찬(喰) → 飡의 별기
  • 파진찬(喰) → 飡의 별기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 𩚵[⿰𩙿甘](먹을 감)
  • 𩟂[⿰𩙿過](먹을 과)
  • 𠲹[⿱⿰口己心](먹을 기)
  • (먹을 끽)
  • 𥤨[⿱穴女](먹을 노)
  • (먹을 담)
  • (먹을 담, 소리칠 함)
  • (먹을 람)
  • 𩜲(먹을 복)
  • 𩝑[⿰𩙿宣](먹을 선)
  • (밥/먹을 식)
  • (먹을 여)
  • 𩜳[⿰𩙿勇]/𩚗[⿰𩙿冗](먹을 용)
  • (먹을 작/조)
  • 𩟦[⿲𩙿雀戈](먹을 절)
  • /𡄄[⿰口餐](먹을 찬)
  • (먹을 찬, 밥 손)
  • 𩝞[⿰𩙿倉](먹을 창)
  • (먹을 철)
  • (먹을 초, 새소리 추)
  • (먹을 하)
  • 𪘁(먹을 합)
  • 𢻔[⿰果支](먹을 해)
  • (먹을 회)
  • (말더듬을 흘)[1]

5. 상대자

  • (마실 끽)
  • (마실 음)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말을 더듬다'라는 뜻이 있지만 중국어에서(정체자를 쓰는 대만도 포함한다.) '먹다'의 뜻으로 쓰인다. '니츠판러마(너 밥 먹었니)'의 '츠'가 바로 이 한자다.[2] (싫을/배부를 염)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