爾 너 이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爻, 1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4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ジ, ニ | ||||||
일본어 훈독 | そ-の, なんじ | ||||||
尔 | |||||||
표준 중국어 | ěr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爾는 '너 이'라는 한자로, '너'[汝], '그'[其] 등의 뜻을 나타낸다.2. 특징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너 |
음 | 이 | |
중국어 | 표준어 | ěr |
광동어 | ji5 | |
객가어 | ngì | |
민북어 | ě̤ | |
민동어 | ī | |
민남어 | nī | |
오어 | hher (T3) | |
일본어 | 음독 | ジ, ニ |
훈독 | しか, しか-く, そ-の, なんじ | |
베트남어 | nhi |
아름답게 빛나는 꽃을 본떠 만들어진 상형자이다.
한국에서는 별로 쓰이지 않는 글자이나, 한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진다.
- '너'(2인칭 지시대사≒汝 등).
- '이'(근칭 지시대사≒此 등),[1] '그'(원칭 지시대사≒此 등)
- '~할 따름이다'(≒耳, 而已)
- '~하다', '~하게'(≒然)
또한 현대 중국어에서는 '-l', '-r' 따위의 유음 받침을 음역할 때 쓰이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서울의 중국어 표기인 首爾(首尔). 한어병음으로 적으면 ěr이지만 앞의 음절과 결합할 때는 r만 적으며,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얼'이라고 적는다.
가타카나 ン 의 유래인 한자이기도 하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고이만년(古爾萬年)
- 고이왕(古爾王)
- 이이첨(李爾瞻)
- 노이합적(努爾哈赤)
- 다이곤(多爾袞)
- 마이태 약희(马尔泰 若曦)
- 박이제길특(博爾濟吉特)
- 오자와 세이지(小澤 征爾)
- 우르사(爾姝)
- 이주영(爾朱榮)
- 이주조(爾朱兆)
- 후시구로 토우지(伏黒 甚爾)
- 후지나미 타츠미(藤波 辰爾)
3.4. 지명
- 카타르의 음역 가탑이(卡塔爾)
- 서울특별시의 음역 수이(首爾)
- 신장 위구르 자치구 - 新疆维吾尔自治区
- 하얼빈시 - 哈尔滨
- 치치하얼시 - 齐齐哈尔
- 어얼둬쓰시 - 鄂尔多斯
- 후룬베이얼시 - 呼伦贝尔
- 쿠얼러시 - 库尔勒
3.5. 창작물
- 이아(爾雅)
- 加爾基 精液 栗ノ花
- 爾今の洋洋この蛍光にあり(이금의 양양 이 형광에 있으리)
- 연극 <爾>: 영화 <왕의 남자>의 원작이 되는 연극이다.
3.6. 기타
[1] 본래 '자기의 입장에서 상대방을 지칭'하는 표현이었기에, 此와도 대응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