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6 09:49:06

도깨비불 린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2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6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リン
일본어 훈독
-
표준 중국어
lí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燐은 '도깨비불 린'이라는 한자로, '도깨비불', '(원소로서의) (燐)' 등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도깨비불
중국어 표준어 lín
광동어 leon4
객가어 lìn
민북어 lěng
민동어 lìng
민남어 lîn
오어 lin (T3)
일본어 음독 リン
훈독 -
베트남어 lân
유니코드에는 U+71D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火火木手(FFDQ)로 입력한다.

이 글자의 본자는 㷠(도깨비불 린)이다. 갑골문에서 㷠은 사람() 주위에 여러 개의 점이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즉 시신 주위에 나타나는 도깨비불의 형상을 그린 상형자이다. 금문에서는 이 밑에 두 발을 나타내는 (어그러질 천)이 더해지고, 전서에 이르면 위쪽의 시신도 (불꽃 염) 자의 형태로 바뀌어 마치 (불꽃 염)과 (어그러질 천)이 합쳐진 회의자인 것처럼 되었다. 나아가 예서해서에서는 위쪽의 炎이 더 뭉개져 (쌀 미)가 되고, 모호해진 뜻을 보충하기 위해 왼쪽에 (불 화)를 더하여 현재의 자형이 되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원자 번호 15, 즉 phosphorus를 나타내는 한자로 쓰인다. 실제로도 도깨비불은 시체에 남아 있는 인화수소 등 인 화합물이 화학 반응을 통해 빛을 발함으로써 발생한다는 설이 유력하다. 중화권에서는 원소로서의 인을 나타낼 때는 상온에서 고체임을 나타내기 위해 火 변 대신 (돌 석) 변을 쓰는 을 쓰는데, 이 글자는 발음은 같으나 원래 돌 사이로 물이 흐르는 모양을 뜻하는 한자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초창기만의 표기이며, 나중에는 林鬼로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