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2 05:21:33

가피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파일:불교 종교표지(흰색).svg파일:1px 투명.svg불교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8c00><colcolor=#fff> 신·성인 부처 · 여래 · 보살 · 천왕(사천왕) · 시왕 · 아라한 · 나반존자
세계관 삼천세계 · 육도윤회 · 오탁악세
상징 법륜 · · 삼보
경전 불경(경장 · 율장 · 논장) · 결집
종파 종파 · 근본 불교와 부파 불교
계율 5계 · 오신채
사원 (부속 건물 · 능침사) · 선원 · 총림 · 포교당
미술 불상 · 불화(탱화 · 만다라 · 수월관음도 · 달마도) · 불탑 · 승탑 · 보상화무늬 · 연화문 · 대장경판
법구 금강저 · 당간지주 · 목어 · 목탁 · 불단 · 불진 · 석장 · 염주 · 범종 · · 마니륜 · 금강령 · 죽비 · 정병
의식 수계 · 예불 · 불공(사시불공) · 진언 · 다라니 · 다비식 · 발우공양 · 탁발 · 방생 · (사십구재) · 참선 · 사경
문화 법회(설법) · 범패 · 찬불가 · 승복(가사) · 사찰 요리 · 법명 · 법랍 · 불멸기원 · 연등회 · 탑돌이 · 팔관회 · 참회 · 만행 · 승무
불자 승려(비구니 · 군종 승려 · 동자승 · 주지) · 법사 · 신자
기타 가부좌 · 사리 · 감로 · 파계(파계승) · 한국어의 외래어/산스크리트어 · 불교 용어 }}}}}}}}}


1. 설명2. 관련항목

1. 설명

加被

불교식 한자 용어로 기도를 통해 부처나 보살이 중생에게 힘을 주는 일을 의미한다. 다른 종교에서도 가우(加祐), 가비(加備), 가호(加護) 등등 비슷한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들은 모두 산스크리트 Adhiṣṭhāna[1]의 번역어다. 우리나라 불교에서는 불보살의 가피로 도움받음을 두고 '가피를 입는다.'라고 표현한다. 티베트어로는 jinlap[2]이라고 한다.

불교에선 가피에 총 3가지가 있다고 설명한다. 현실에서 받는 현증가피(顯證加被), 꿈을 통해 이루어지는 예지몽을 받는 몽중가피((夢中加被), 현실에서도 꿈속에서도 징조가 없으나 생각만 하면 이루어지는 현전가피(現前加被)라는 것이다.

태국의 상좌부 불교에서도 '아띳딴(อธิษฐาน)'이라는 이름으로 밀교식 가피 개념의 영향을 받은 흔적이 존재한다. 다만 현대 태국어로 아띳딴은 기도에 대한 응답보다는 기도 그 자체를 뜻한다.

일본 진언종에서는 여름이 되면 '오이 가피(きゅうり加持)'라는 일종의 기도를 한다. 우선 불단 앞에 오이 한 상자를 차려놓고, 거기에 액운과 역병 등 온갖 부정을 '봉인한' 뒤 불상 앞에서 기도를 올린다. 의식이 끝나면 가피를 받은 오이를 마을 사람들이 나눠 먹는다. 구카이당나라에서 배워 온 유서 깊은 서민 신앙이라고 한다.

2. 관련항목


[1] 이 단어는 '발 붙일 곳', '토대', '임재하심' 등의 다양한 어감을 지닌다.[2] 어원상 '휘어잡는 듯한 엄청난 힘'을 나타낸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