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3 06:33:55

간위거왕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5453A, #6A5445 20%, #6A5445 80%, #55453A);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A5445> 부여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모수왕 부루왕 금와왕 대소왕
<rowcolor=#6A5445> 해두국 갈사국
말대 초대 제2대 제3대
해두왕 갈사왕 1세 갈사왕 2세 도두왕
<rowcolor=#6A5445> 중국사서
초대 시조 계보 미상 칭왕 초대
영품리왕 동명왕 부여왕
계보 미상 초대 제2대 제3대
시왕 부태왕 위구태왕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간위거왕 마여왕 의려왕 의라왕
제8대 제9대 계보 미상 말대
현왕 울왕 잔왕
<rowcolor=#6A5445> 졸본부여
말대 말대
연타발 추모성왕
<rowcolor=#6A5445> 남부여 문헌상 언급 두막루
초대 왕족 수령
성왕 구태 | 우태 | 위거 낙개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color:#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삼국시대 이전
<rowcolor=#FFD400> 단군조선 위만조선 진국 삼한연맹
단군 역대 군주 진왕
예맥
<rowcolor=#fbe673> 부여 예맥족장 최씨낙랑국 비류국
역대 군주 남려 최리 송양
<rowcolor=#fbe673> 고리국 졸본부여 비류백제 온조백제
영품리 추모 비류 온조
마한
<rowcolor=#fbe673> 초대 제2대 제3대 제?대
준왕 마한왕 2세 마한왕 3세 마한왕
진한
<rowcolor=#fbe673> 실직국 감문국 골벌국 음즙벌국
안일왕 금효왕 아음부 타추간
진한 변한 탐라
<rowcolor=#fbe673> 사로국 금관국 반파국 탐라국
거서간 김수로 이진아시 역대 군주
}}}}}}}}}}}}
부여 제4대 군주
簡位居王 | 간위거왕
<colbgcolor=#6A5445><colcolor=#fbe673> 출생 연대 미상
부여
사망 연대 미상
부여
능묘 미상
재위기간 제4대 군주
3세기 전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6A5445><colcolor=#fbe673> 성씨 해(解)
간위거(簡位居)
부모 부왕 위구태왕
모후 왕후 공손씨
서자 해마여
왕호 간위거왕(簡位居王) }}}}}}}}}

1. 개요2. 행적3. 기타

[clearfix]

1. 개요

尉仇台死, 簡位居立. 無適子, 有孽子麻餘. 位居死, 諸加共立麻餘.
위구태왕이 죽자 간위거가 왕이 되었다. 간위거는 적자가 없고 서자인 마여가 있었다. 위거가 죽자 제가들이 함께 마여를 왕으로 세웠다.
삼국지》 권30 오환 선비 동이전

부여(夫餘)의 군주. 위구태왕의 아들. 어머니는 공손도의 종녀로 추정하고 있다.

2. 행적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는 아버지 위구태가 죽자 군주가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간위거왕은 적자가 없었기 때문에 간위거 사후에는 간위거의 서자인 마여를 추대하여 마여왕이 왕위에 올랐다.

3. 기타

  • 위구태왕 시기인지 간위거왕 시기인지는 불분명하나, 황초(220년~226년) 사이에 부여에 예속되었던 읍루가 반란을 일으켜 부여가 읍루 정벌을 시도했지만 끝내 굴복시키지 못했다고 한다.
  • 경향신문의 1987년 9월 11일자 기사에서 위만의 손자인 우거왕의 명칭이 고유 명사가 아닌 우두머리를 지칭한다는 조승복 교수의 주장에서 언급된다. 조 교수는 우거가 고유 명사라 한 안사고의 주장이 잘못되었으며, 고구려 왕족 박위거, 동천왕의 이름 우위거, 부여의 국왕 간위거와 대사 위거 등과 동계어라고 언급하면서 씨족의 생활 공동체를 다스리는 우두머리 또는 우두머리직을 가리키는 보통 명사라고 하였다. 실제로 3세기 당시에 사용된 후기 상고한어 재구음을 살펴보면 우거(右渠)는 /*ɦwɨʔ ga/ '우으가'였으며 위거(位居)는 /*ɦwi ka/ '위가'였으므로 유사성이 있다.[1]


[1] 흔히 알려진 Baxter-Sagart 상고한어 재구음으로는 각각 /*[ɢ\]ʷəʔ *[ɡ\](r)a/ '꿯 끄라', /*[ɢ\]ʷrəp-s *k(r)a/ '끄뤕스 그라'로 읽혀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이는 서주 시대의 문헌을 바탕으로 재구한 것이므로 기원전 2세기와 서기 3세기의 인명에 적용하기는 힘들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