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3 21:32:19

건면

라면 관련 문서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bgcolor=#cd7000,#cd7000> 종류 봉지라면(라면과자) · 컵라면(사발면) · 사리면 · 비빔면 · 짜장라면 · 짬뽕라면 · 김치라면 · 부대찌개 라면 · 프리미엄 라면
구성 라면 스프(액상스프) · 라면사리(생라면 · 건면)
요리법 라면에 밥 말아먹기 · 생라면 · 뽀글이 · 한강라면 · 치즈라면 · 볶음라면 · 전자레인지 라면 · 달걀국라면 · 쌈장라면 · 김치라면 · 냉라면 · 짜파구리 · 투움바 라면 · 쿠지라이식 라면 · 마크 정식 · 초콜릿 라면 · 천러 라면 · 908라면
파생 요리 및 응용식품
기타 구미라면 축제 · 라면보이 · 라면 먹고 갈래? · 면식수햏 · 라면 채널
분류:라면 브랜드 · 틀:대한민국의 비빔라면 · 틀:농심의 라면 제품 · 틀:삼양식품의 라면 제품 · 틀:오뚜기의 라면 제품 · 틀:팔도의 라면 제품
}}}}}}}}} ||
1. 개요2. 특징
2.1. 장점2.2. 단점
3. 제조사
3.1. 농심3.2. 풀무원3.3. 삼양3.4. 하림3.5. 그외

1. 개요

건면은 면발을 익힌 후에 기름에 튀기지 않고, 열풍으로 자연 건조시킨 면을 말한다.

2. 특징

2.1. 장점

  • 라면 분야의 주류인 유탕면보다 유통기한이 길다. 유탕면은 면 안의 기름이 산패되는 반면, 기름을 쓰지 않는 건면은 이런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1] 라면의 유통기한은 보통 6개월 정도이지만 건면의 유통기한은 면에 국한한다면 2~3년이며 밀봉되어있다면 3년 후에도 충분히 먹을 수 있다.
  • 보존 처리 과정에서 기름을 쓰지 않으므로 유탕면에 비해 지방 함량이 매우 낮다.[2] 때문에 건면은 유탕면보다 좀 더 건강하다는 인식이 있다.
  • 제조 과정 중 면의 녹말이 완전히 호화되었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가열을 하지 않아도 시간만 충분하면 조리할 수 있다. 이런 특성상 조리된 면의 식감이 화력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2.2. 단점

  • 건면은 유탕면보다 조리시간이 길게 걸린다. 유탕면 대비 대략 20%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된다.
  • 유탕면보다 수요가 적어 생산량 부족으로 인해 가격이 높다.
  • 조각내었을 때 단면이 날카롭게 생긴다는 점 때문에 생라면용으로도 좋지 않다. 유통기한이 긴데도 불구하고 뜨거운 물을 구하기 어려운 비상상황에서는 오히려 비상식량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지는 셈이다.
  • 국물의 점도가 높아져서 조리 중 거품이 많이 나므로 화력이 강하면 흘러 넘치기도 한다.

3. 제조사

3.1. 농심

3.2. 풀무원

  • 자연은 맛있다(정면, 백면, 홍면)
  • 짜글면 고깃집 된장찌개
  • 생면식감(순한맛/매운맛)
  • 직화 짜장
  • 육개장 칼국수
  • 탱탱쫄면
  • 비빔냉면
  • 물냉면
  • 탱글 메밀소바
  • 이가자연면 메밀소바
  • 튀기지 않은 사리면
  • 로스팅 서울라면 97g
  • 로스팅 꽃게탕면
  • 로스팅 돈코츠라멘
  • 로스팅 짜장면 파기름
  • 로스팅 짜장면 고추기름
  • 로스팅 짬뽕 홍게

3.3. 삼양

  • 파듬뿍육개장
  • 손칼국수
  • 바지락칼국수

3.4. 하림

  • The미식 장인라면 얼큰한맛
  • The미식 장인라면 담백한맛
  • The미식 메밀비빔면
  • 푸디버디 빨강라면
  • 푸디버디 하양라면
  • 푸디버디 미역국 초록쌀라면
  • 푸디버디 까망 짜장면
  • 푸디버디 핑크 퐁당 라면 (한정판)
  • 하림 삼계탕면

3.5. 그외


[1] 파스타 건면의 유통기한이 매우 긴 것도 마찬가지의 이유이다.[2] 유탕면의 기름도 보존을 위해 튀기는 과정에서 들어가는 것이므로 이 과정을 건조로 대체하는 건면은 기름을 쓸 필요가 없다.[3] 비폰 포보 베트남 쌀국수 컵라면, 백제 쌀국수, 농심 쌀국수 소고기장국 등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