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6:26:30

인천검암역세권 공공주택지구

검암역세권개발사업에서 넘어옴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도시개발사업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_White.svg 중구 영종국제도시 인천역세권개발사업 동인천역세권개발사업 제물포르네상스 뉴홍콩시티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_White.svg 동구 화수화평 주택 재개발사업
파일:미추홀구 CI_White.svg 미추홀구 인천도화도시개발사업 주안 2,4동 일원
재정비촉진지구
용현학익지구
파일:연수구 CI_White.svg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송도역세권개발사업
파일:남동구 CI_White.svg 남동구 구월2지구
파일:부평구 CI_White.svg 부평구 산곡구역 재개발정비사업
파일:계양구 CI_White.svg 계양구 계양신도시 계산지구 효성 도시개발사업
파일:서구(인천광역시) CI_White.svg 서구 청라국제도시 검단신도시 루원시티 경서3구역 가정2 공공주택지구
인천검암역세권
공공주택지구
검단3·5구역 왕길1구역 에코메타시티
(한들3구역)
파일:강화군 CI_White.svg 강화군 글로벌톱텐시티
인천경제자유구역 수도권 신도시
}}}}}}}}} ||
파일:인천도시공사.jpg 도시개발사업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인천검암역세권 공공주택지구
仁川黔岩驛勢圈 公共住宅地區
Geomam New Town
}}}
파일:인천검암역세권공공주택지구 조감도.png.png
조감도
<colbgcolor=#0079c1><colcolor=#fff> 지역 인천광역시 서구 검암동, 경서동 일원
사업 면적 811,188.3㎡
계획 인구 16,200명
세대 수 6,636세대
사업시행자 인천광역시, 인천도시공사
파일:인천검암역세권 공공주택지구_토지이용계획(변경)도.jpg
개발구획도
1. 개요2. 역사
2.1. 2010년대2.2. 2020년대
3. 목표4. 주거 환경
4.1. 공동주택4.2. 교육4.3. 교통
4.3.1. 도로4.3.2. 철도4.3.3. 버스
5. 업무시설, 공공기관6. 문화시설7. 종교시설8. 이야깃거리

[clearfix]

1. 개요

인천광역시 서구 검암동, 경서동 일원에서 검암플라시아 복합환승센터 복합개발사업과 함께 진행되고 있는 도시개발사업(역세권개발사업)이다. 사업시행자는 인천도시공사이며, 2027년까지 조성할 예정이다.

2. 역사

본래 검암동은 전형적인 농촌 마을로 '간재울(하동)', '검바위(중동)', '바르뫼(상동)', '윗독점' 등의 소규모 촌락이 산재한 지역이였으나, 검암토지구획정리사업(검암1·2지구)이 진행되며 점차 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어 나가기 시작했다.

이후 인천국제공항철도 검암역의 개업에 이어 인천공항고속도로 청라IC 개통,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검암역, 검바위역 개업 등으로 인천 서북부의 교통거점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나가고 있었으나, 검암역청라IC에 인접한 하동마을·윗독점마을 인근의 부지는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아 역 인근의 상권 활성화 어려움 등의 여러 아쉬움이 있었다.

2.1. 2010년대

2011년 2월 28일, 인천광역시 도시철도건설본부는 2012년 부터 운행 예정인 KTX, 2014년 개통 예정이였던 인천지하철 2호선에 맞추어 환승역인 검암역 앞 검암역세권지구에 대한 개발 추진의사를 밝혔고, 관련 타당성 조사와 개발계획 수립 용역을 진행하기 위한 준비를 시작하였다. 연합뉴스 기사

2011년 9월, 검암역세권 개발 추진을 위한 용역비를 인천시 추경예산에 반영하여 용역사업 집행계획을 수립했고, 용역자 선정을 위한 행정절차 등을 통해 12월 내로 용역을 착수, 2013년까지 용역을 완료할 예정이다.

당시 검암역세권지구는 인천 서북권 대규모 그린밸트로 묶여 있어 해당 계획이 발표된 이후부터 사업 추진 가능성에 대한 논란이 있었고, 수도권 그린벨트 해제 총량에 묶여 있는 상황이어서 국토부와 수자원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 등 관련 기관과 협의가 이뤄지지 않는 한 사업 추진 역시 쉽지만은 않은 상황이였다. 부동산 경기 또한 좋지 않아 사업 추진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란이 발생하였다. 기호일보 기사

2013년 1월, 코레일공항철도㈜와의 협의를 통해 검암역을 서울역과 같은 콘셉트로 상업시설과 컨벤션 등 앵커시설 등을 유치하는 안을 검토하였으며, 복합환승센터의 건립을 통해 사업의 타당성을 확보하려는 목적으로 보인다. 기호일보 기사

2014년 9월, 기존 용역의 중단 및 추진 지지부지 등의 문제로 결국 인천시는 경인아라뱃길 주변지역(아라인천여객터미널, 검암역, 계양역, 아라김포여객터미널) 전체 개발로 방향을 전환하여 타당성 용역에 착수했다. 아주경제 기사

2015년 2월, 경인아라뱃길 친수구역 조성사업과 함께 검암역 인근의 개발 방향을 경인 아라뱃길과 연계한 문화레포츠 시설을 중심으로 관광.레크레이션 등 다양한 활동공간으로 개발하는 것으로 방향을 언급하였다. 파이낸셜 뉴스 기사

2015년 9월, 인천시는 현재의 검암역세권지구 부지와, 공촌사거리 인근 부지, 백석동 일대 까지 함께 개발하기 위한 검토 용역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시에서 그린밸트 해제 가능한 물량의 제한으로 인해 이 개발은 실현 불가능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인천일보 기사

2016년 1월, 경인아라뱃길 주변지역에 대한 개발 계획 공개에 따라 검암역세권지구는 주택 공급과 복합터미널, 문화시설 등으로 개발 방향을 설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천일보 기사

2016년 9월, 경인아라뱃길 친수구역 조성사업은 사업 타당성 부족에 따른 한국수자원공사의 사업 불참으로 결국 취소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혔다. 아주경제 기사

2017년 11월, 인천시는 과거부터 진행해온 검암역세권 부지 개발의 미래 발전 가능성을 고려하여 우선 추진을 진행하였다. '인천 검암(KTX)역세권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 계획안'을 인천시 의회에 제출함으로서 사업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2022년까지 복합환승센터(특별계획구역), 공공주택(계획인구 6389세대), 첨단복합단지, 상업시설, 유·초·중학교 각 1개소, 주차장3개소, 녹지공원(20%) 등으로 구성된 계획안으로, 현재의 검암역세권 개발 방향은 이때 확정된 것으로 예상된다. 아주경제 기사

2018년 2월, 기존의 경인아라뱃길 친수구역 조성사업을 시 재정 사업으로 전환하여 추진할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검암역세권지구 개발은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아주경제 기사

2018년 4월, 인천시 의회에서 지난 2017년에 제출된 '인천 검암(KTX)역세권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 계획안'이 원안 그대로 통과되었다. 이에 따라 앞으로의 사업 진행에는 큰 차질이 없어 보인다. 경인일보 기사

2018년 6월, 인천국제공항·검암역~서울 구간 KTX 노선 폐지가 가시화되었다. KTX의 정차로 사업성이 크게 증가한 검암역세권지구는 사업의 어려움을 겪게 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KTX 노선이 폐지된다면 인천발 KTX 노선이 한 개도 남아있지 않게 된다. 경인일보 기사

2018년 7월, 인천시는 2023년 준공을 목표로 검암역 인근에 서북부 제2종합버스터미널 건설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기존 복합환승센터를 KTX·공항철도·인천2호선, 버스환승센터·버스터미널 모두 입점시키는 방안으로 추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KTX 정차의 타당성을 위해 사업 계획을 미리 발표한 것으로 바라보는 입장도 있다. 인천일보 기사

그러나, 곧이어 인천국제공항·검암역~서울 구간 KTX 노선 폐지가 확정되면서 사업에 먹구름이 끼게 되었다. 사업의 활로를 두고 긴급 논의에 나섰다.

2018년 8월, 국토부에 공공주택지구 지정을 제안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사업의 활로 모색 중 국가에서 해당 부지를 공공주택사업으로 지정하는 것을 논의한 것으로 보인다.

2018년 9월, 문재인 정부9.13 부동산 종합대책 발표 내용 중 수도권 주택 공급 확대 방안(수도권 주택 30만 호 공급계획)에 대해 언급하였고, 이에 이어 21일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 방안의 세부 내용 발표 및 「공공주택 특별법」 제6조에 따라 인천검암역세권 공공주택지구를 공공주택사업으로 지정하였다. 사업은 다시 궤도에 올라 차질없이 진행될 전망이다. 경향신문 기사 [고시1]

2.2. 2020년대

2021년 11월, 검암역세권지구의 지구계획이 승인되었다. 각 부지의 용도 등이 세부적으로 공개되었고, 사업 면적도 기존 793,253㎡에서 810,310.6㎡로 확대되었다.[고시2]

2022년 5월, 검암역세권지구의 지구계획이 일부 변경(1차)되었다. A-1블록의 일부 세대의 주택 유형이 국민임대에서 영구임대로 변경되었다. [고시3]

2022년 8월, 지구 내 복합환승센터 건립 사업을 위해 민간사업자인 IBK 투자증권·롯데건설 컨소시엄과의 사업협약을 체결하였다. 뉴스1 기사

2023년 8월, 부지조성공사가 착공되었다.

2023년 11월, 검암역세권지구의 지구계획이 일부 변경(2차)되었다. 사업준공일이 2024년 12월 31일에서 2027년 6월 30일로 변경되었으며, 일부 건설 계획 면적의 변경이 있었다. 건설호수도 7,269호에서 6,629호로, 수용인구는 16,185명에서 16,183명으로 변경되었다. [고시4]

곧이어, 공사의 착공식이 진행되었다. 공공주택 3,953호를 포함해 주택 6,629호를 공급할 예정이며, 인천 서북부 교통의 요충지로서 작동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인천일보 기사

2024년 9월, 인천도시공사가 사업 지연의 책임을 물어 복합환승센터 건립 사업의 민간사업자에게 협약 해지를 통보하였다. 결국, 검암플라시아 복합환승센터 복합개발사업은 다시 재추진 절차를 밟아도 오는 2029년 완공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게 되었다. 경기일보 기사

2024년 11월, 검암역세권지구의 지구계획이 일부 변경(3차)되었다. 사업면적이 810,310.6㎡에서 811,188.3㎡로 확대되었고, 일부 토지이용계획 또한 함께 변경되었다. 건설호수도 6,629호에서 6,636호로, 수용인구는 16,183명에서 16,200명으로 변경되었다. [고시5]

3. 목표

정부의 수도권 주택 30만 호 공급계획에 따라 추진하는 정책사업으로서, 교통요충지(검암역·청라IC)에 공공주택조성으로 서민 중심의 주거공간 확보하고 도시형 첨단특화산업, 창업지원플랫폼 등을 도입하여 자족형 복합도시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 주거 환경

4.1. 공동주택

구분 구역 단지명 세대수 입주 건설사
공동주택 A-1 인천검암 A-1블록[통합공공임대] 1,740세대 미정 미정
S-2 인천검암 A-2블록 [공공분양·임대] 1,032세대[8] 미정 미정
S-3 인천검암 A-3블록 [공공분양] 749세대 미정 대우건설 (예정)
B-1 인천검암 B-1블록[공공분양] 441세대 미정 대우건설 (예정)
B-2 검암역세권 유승한내들 601세대 미정 유승종합건설
B-3 인천검암 B-3블록[민간임대] 510세대 미정 미정
S-1 인천검암 S-1블록[민간분양] 858세대 미정 미정
주상복합 M-1 인천검암 M-1블록[민간분양] 554세대 미정 미정

4.2. 교육

공동주택 단지가 8개인 만큼 초등학교, 중학교가 단지계획 내에 포함되어 있다.
  • 검암역세권1초등학교
  • 검암역세권1중학교

4.3. 교통

4.3.1. 도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ff601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f601f>
파일:서구(인천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ff601f> <colbgcolor=#ffffff,#191919> 가경주로 · 가남로 · 가람로 · 가석로 · 가우리들로 · 가재울로 · 가정로 · 가좌로 · 가현로 · 가현산로 · 간촌로 · 갈메울로 · 갑문로 · 강남로 · 거북로 · 거월로 · 거첨로 · 건지로 · 검단 경명로간 도로 · 검단로 · 검단천로 · 검마루로 · 검바위로 · 검암로 · 경서로로 · 경제로 · 경중로 · 고래울로 · 고산로 · 고산후로 · 금산로 · 금정로 · 길무로 · 길주로
누리로 · 느티로
단봉로 · 단촌로 · 담지로 · 당곡로 · 대곡로 · 대촌로 · 대평로 · 도곡로 · 도담로 · 도요지로 · 독정로 · 동화시로 · 두루물로 · 두밀로 · 드림로
로봇랜드로
마전로 · 마중로 · 매밭로 · 면개포로 · 명가골로 · 모월곶로 · 미래로 · 바리미로
반월로 · 발산로 · 방축로 · 백범로 · 백석산로 · 뱃길로 · 버들로 · 보도진로 · 보듬로 · 보석로 · 봉오재로 · 봉화로 · 북항단지로 · 북항로 · 북항배후로 · 불로로 · 비즈니스로
사렴로 · 사월로 · 새오개로 · 서곶로 · 서달로 · 서로로 · 석곶로 · 석남로 · 설원로 · 세계로 · 세어로 · 세자봉로 · 소담로 · 솔모랭이로 · 솔빛로 · 승학로 · 신석로 · 신진말로 · 신현로 · 심곡로
아라로 · 약암로 · 어울로 · 에코로 · 여우재로 · 연희로 · 열우물로 · 염곡로 · 오동로 · 오류로 · 옥빛로 · 옹주물로 · 완정로 · 용두산로 · 원석로 · 원적로 · 원전로 · 원창로 · 율도로 · 이든로 · 이음로 · 이화로
장고개로 · 장도로 · 장제로 · 정서진로 · 정서진남로
차오름로 · 천마로 · 첨단기술로 · 첨단동로 · 첨단서로 · 청동로 · 청라라임로 · 청라루비로 · 청라사파이어로 · 청라에메랄드로 · 청라커낼로 · 청라한내로 · 청라한울로 · 청마로 · 청서로 · 청중로 · 칠천왕로
크리스탈로
탁옥로 · 탐구로
파랑로 · 푸른로 · 풍무로
한들로 · 한서로 · 한중로 · 향동로 · 호두산로 · 환경로
인천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지구 좌측에 위치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청라IC를 이용해 인천공항과 서울 방면 모두 빠르게 접근할 수 있으며, 인근에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통과하여 경기도로의 빠른 접근 또한 가능하다.

이외에도 경인고속도로도 차로 20분 내외로 접근이 가능하여 부천, 화곡, 목동, 영등포, 여의도로의 접근도 빠른 편에 속한다.

인천의 주요 간선도로인 서곶로봉수대로 사이에 위치하여 서구 내외부로의 이동이 편리하고, 경서(청라)-왕길 간 중봉터널을 계획 중에 있어 자차 이동의 편리성을 더해줄 예정이다.

서구와 계양구를 잇는 경명대로도 바로 인근에 위치하고 있어 계양구로의 접근도 편리한 편이다.

4.3.2. 철도

지구가 검암역 바로 앞에 위치해 있으며,지구 관통대로를 통해 바로 검암역으로 연결된다.

검암역인천국제공항철도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정거장으로, 계양역과 함께 인천 서북권 지역의 서울 접근성을 높이는 데에 큰 기여를 한 역 중 하나이다.

강남 접근성 또한 차후 검암역에 직결 운행될 서울 지하철 9호선을 통해 보완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강남까지 환승없이 1시간 내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인근에 위치한 청라국제도시에서 서울 지하철 7호선GTX-D, GTX-E도 이용이 가능하다.

4.3.3. 버스

지구 내 검암역 건너편 부지에 '검암플라시아 복합환승센터 복합개발사업'이라는 이름으로 인천서북부종합터미널이 예정되어 있다. 타 도시행 직통노선을 신설하거나 기존 인천종합터미널 출발 노선을 연장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노선을 유치할 예정이며, 2028년 상반기 완공할 예정이다.

지구 관통대로 등에 기존 버스 노선들이 연계될 예정이며, 현재 지구 내 버스 노선은 아래와 같다.

5. 업무시설, 공공기관

도시지원시설용지에 지식산업센터, 창업지원센터 등의 관련 업무 시설이 설치될 예정에 있으며, 이 외에도 서북부터미널 내에도 각종 업무 시설이 함께 유치될 예정이다.

6. 문화시설

7. 종교시설

8. 이야깃거리


[고시1]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517호[고시2]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517호[고시3]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1222호[고시4] 국토교통부 고시 제 2023-637호[고시5] 국토교통부고시 제2024-623[통합공공임대] [공공분양·임대] [8] 공공분양 750세대, 공공임대 282세대[공공분양] [공공분양] [민간임대] [민간분양] [민간분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