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8-19 18:13:07

경무청

[[대한제국|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
대한제국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29176e><colcolor=#ffd800>관련 문서대한제국 · 구한말 · 황실 · 왕조 · 광무개혁 · 대한제국군 · 대한제국 애국가 · 대한제국 원 · 대한제국 훈장 · 대한제국 황실 복원론 · 감리서 · 제국익문사 · 정보대 · 상무영 · 수학원 · 이화문 · 대한국 국제 · 양양가
관련 틀역대 황제 · 역대 황후 · 역대 황태자 · 황실 · 총리 · 황궁 · 황궁의 정전 · 군대 편제 · 오악 · 중앙정치기구 · 신문}}}}}}}}}

파일:대한제국 국장 겸 황실 문장.svg
대한제국 중앙정치기구
경각부 | 京各部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황제
의정부
,의정부,
궁내부 중추원
,중추부,
원수부
,친위부,
내부
,이조,
외부
,통리,
탁지부
,호조,
군부
,병조,
규장각
비서원

시종원
장례원
종부사
법부
,형조,
학부
,예조,
농상공부
,공조,
경부
,포도,
고려 중앙정치기구 · 조선 중앙정치기구
}}}}}}}}} ||

1. 개요2. 상세3. 내력4. 기타

1. 개요

警務廳
조선 말기에서 대한제국 사이 경찰 업무를 관장했던 관청

2. 상세

1894년 8월 14일(음력 7월 14일) 1차 갑오개혁으로 관제가 개편됨에 따라 내무아문[1] 산하 기관으로 창설되었다. 종래의 좌·우 포도청을 통폐합해 일본식 경찰제도를 그대로 도입해 설립한 관청으로써 한성부와 5부내의 경찰업무를 관장하였고 5개의 경무지서[2]와 50개의 순검번소를 관장하였다. 이와 함께 종래의 전옥서[3]를 감옥서로 개편하여 경무청 소속 아래 두었고, 1895년에는 지방에도 감옥서를 두었다.

주요 업무로는 경찰 ·감옥업무 외에도 출판물 판매허가, 호구조사, 시장, 전염병예방, 종두, 변소구조와 분뇨수거, 음료수, 매장, 광견 단속 등 오늘날의 보건 업무도 포함되었다.

설치 당시의 편제는 최고 책임자인 경무사와 경무부관 각 1명과 경무관·서기·총순·순검을 각각 두었고 청내에 재정업무를 담당하는 총무국을 두었다. 1년 후인 1895년 직제를 개편하여 경무사 1명, 경무관 12명 이내, 주사 8명 이내, 감옥서장 1명, 총순 30명 이내, 감옥서기 2명 이내, 간수장 2명 이내를 두었다. 감옥서 또한 감금·부감금·감수·감금서기 각 1명 등의 관원과 압뢰 10명을 두었으나, 1895년 이들의 관직명을 고쳐 감옥서장 ·감옥서기 ·간수장을 두었다.

그러다가 1900년 경부로 승격되면서 의정부찬정을 의례 겸하게된 경부대신 1인 이하 협판 1인, 국장 2인, 경무관 15인, 주사 8인, 총순 40인을 두었고, 국외로 설치된 한성의 감옥서는 서장 1인, 간수장 2인, 주사 2인을 두어 조직을 운영하였다. 하부 조직 또한 감옥서, 경무서, 순검번소 외에 실제 경찰업무를 담당하던 경무국과 일반적인 행정업무를 담당하던 서무국의 2국으로 나누었는데, 경무국 산하에는 경무과와 심문과가 있었고 서무국 산하에는 문서과와 회계과[4]가 있었다. 이와는 별도로 황실의 경호를 위해서 궁내경무서를 특설하였고, 부대신 관방(官房)에 설치된 비서과는 기밀취급과 소속관리의 인사 등의 업무를 관장하였다. 그러나 2년도 체 되지 않아 경부의 폐단이 너무 크다는 이유로 다시 내부 산하 경무청으로 환원되었다.

1907년 경시청으로 개칭되면서 경시총감 1인, 경시부감 1인, 경시 12인, 번역관 2인, 경찰의 5인, 경부 58인, 번역관보 4인을 두었고 하부 조직으로 8개의 경찰서, 4개의 분서(分署), 40개의 순사주재소가 두었다.

3. 내력

경무청은 당시의 일본제도를 모방한 전형적인 기구였으며, 신설된 독립기관으로서 총책임자인 경무사는 서울의 형무소도 관할하는 등, 어느 부서의 대신보다도 강력한 권력을 행사할 수 있었고, 이것은 내부대신의 지휘와 감독을 받는 특수기관이면서도, 그것의 직원이 증대되고 기구의 규모나 직무내용으로 미루어 보아 1개의 부서의 기구를 방불케 하였다.

결국 1900년도에 경부로 승격되어 경무청의 관할지역은 한성부에서 전국으로 확대되었으나 전국으로 경찰권을 행사하게된 경부대신의 힘이 막강해지면서 폐단이 심해져 결국 1902년 6월에 다시 내부 산하의 관서로 격하 되었다.

그러다가 1904년 러일전쟁을 기점으로 경무청은 일본의 영향력 아래에 들기 시작했다. 그리고 얼마 후 제1차 한일협약으로 고문 정치가 시작되자 경무청 또한 고문으로 마루야마 시케토시가 오면서 일본의 입김이 한층 거세지게 되었고 서울 및 그 인근 지역의 치안권을 일본 제국 육군 헌병이 장악하였다. 이후 1907년 7월 27일에 일본의 경시청제를 모방하여 경무청이 경시청으로 개칭되는 것과 동시에 감옥서 또한 법부 소속으로 이전되었으며 경무서 또한 경찰서로 개칭되었다. 같은 해 8월 2일, 경시청 고문이었던 마루야마 시케토시가 경시총감으로 임명되었고 10월 29일에는 한국에서 활동하던 일본 경관들이 경시청에 대거 흡수되면서 급속히 일본화하기 시작, 일제의 앞잡이로 전락하면서 의병 소탕에 앞장서게 되었다.

그리고 1910년 6월 24일 한국경찰권위탁각서가 조인되면서 명목상 대한제국 정부가 지녔던 경찰권이 통감부로 이관되고 말았고 통감부는 경시청을 경찰통감부로 개편했다.

4. 기타

경무청 경찰 제복에 대한 블로그
경무청 복제[5]
경부 복제
복설 경무청 복제
경무청 관제[6]
경부 관제
복설 경무청 관제


[1] 이후 내부로 개칭[2] 후에 경무서로 개칭[3] 조선시대 감옥에 관련된 사무를 관장하던 관청. 오늘날 교정본부에 해당한다.[4] 후에 회계국으로 승격[5] 경무청 복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서술되어 있다[6] 경무청 조직 구성에 대해 설명하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