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장 (國章) 정렬 가나다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5px 0 -5px" | ||||||||||
멕시코 | 미국 | 브라질 | 볼리비아 | 에콰도르 |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쿠바 | 파라과이 | 페루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5px 0 -5px" | |||||
대만 | 대한민국 | 레바논 | 몰디브 | 몽골 | ||||||
미얀마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부탄 | 북한 |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우즈베키스탄 | ||||||
이라크 | 이란 | 인도 | 인도네시아 | 일본 | ||||||
중국 | 카타르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타지키스탄 | ||||||
투르크메니스탄 |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 필리핀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5px 0 -5px"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리비아 | 모리타니 | 부룬디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이집트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카보베르데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5px 0 -5px" | |||||
뉴질랜드 | 미크로네시아 연방 | 바누아투 | 통가 | 피지 | ||||||
호주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5px 0 -5px" | |||||||||
그리스 | 독일 | 라트비아 | 러시아 | 루마니아 | ||||||
산마리노 | 스페인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
아제르바이잔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이탈리아 |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헝가리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지위상실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
대한제국 | 소련 | 티베트 | 플뢰르 드 리스 | }}}}}}}}}}}} | ||||||
관련 틀: 국기 · 국가 · 국호 |
[[대한제국|]]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29176e><colcolor=#ffd800>관련 문서 | 대한제국 · 구한말 · 황실 · 왕조 · 광무개혁 · 대한제국군 · 대한제국 애국가 · 대한제국 원 · 대한제국 훈장 · 대한제국 황실 복원론 · 감리서 · 제국익문사 · 정보대 · 상무영 · 수학원 · 이화문 · 대한국 국제 · 양양가 |
관련 틀 | 역대 황제 · 역대 황후 · 역대 황태자 · 황실 · 총리 · 황궁 · 황궁의 정전 · 군대 편제 · 오악 · 중앙정치기구 · 신문 | }}}}}}}}} |
[clearfix]
1. 개요
대한제국의 국장. 또한 조선 왕실, 대한제국 황실의 가문인 전주 이씨를 상징하는 문양으로, 자두꽃(이화, 李花)[1]을 도안화한 문장이다. 자두의 순우리말인 '오얏'을 써서 '오얏꽃 문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2. 역사
덕수궁 석조전 이화문 부조 |
때문에 대한제국 시기 국가/황실 성격이 부여된 곳에서 자주 찾아볼 수 있는데 공문서나 궁궐 건물들은 물론이고 내/외부 장식, 가구, 심지어 가정용품에서도 이화문을 새긴 문화재를 종종 찾아볼 수 있다.
이화문 장식을 직접 보고 싶다면 덕수궁 석조전에서 마련한 황실 복원관을 견학해 보면 좋다. 또한 창경궁 대온실 이화문 장식도 있고 운현궁 이로당 툇마루에 앉아 있으면 양관(덕성여대 평생교육원) 건물이 보이는데 양관 지붕에도 금속으로 된 이화문 투각을 볼 수 있다.
1908년 순종 즉위 이후에는 황제기, 태황제기, 황후기, 황태자기 등을 만들었는데 깃발의 바탕에 따라 지위를 구분하고 중앙의 문양에는 삼중으로 겹친 이화문을 쓰도록 했다.#
2.1. 종류
운현궁 이화문 | 사동궁 겹꽃잎 이화문 | 덕수궁 석조전 내실 이화문 | 덕수궁 석조전 페디먼트 및 대한제국군 원수, 대원수용 피켈하우베 월계관 이화문 # |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이화문 |
잉크와 인쇄기라는 근대식 장비를 통해 소도구와 비품 등에 적용하였는데 디자인 변형도 다양해서 꽃술이 없는 것에서부터 3개, 5개까지 있는 문양도 있고 겹꽃잎이 추가된 문양도 있으며 여타 서양식 문양들이 겉에 월계수를 두듯 오얏 가지를 두르거나 황금으로 만든 원을 장식한 문양도 있다.
색은 주로 노랑색(금색) 또는 빨강색이 많으며 전주 이씨 종친회의 경우 꽃술 안쪽에 '종(宗)' 자를 새겨넣기도 한다. 만약 대한제국 황실이 현대까지 계속 이어졌다면 변형된 이화문들이 더 다양했을 가능성도 있다.
3. 활용 예시
대한제국 20원 주화. 20원이라는 글자 위에 이화문이 보인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의 한인회(Oxford University Korea Society; OUKS)가 이화문을 활용하여 한인회 문양을 제작하였다. 자세한 사항은 옥스퍼드 대학교/한국 문서 참고.
해방 후 미군정 시기의 수입인지에도 이화문이 들어갔다. 해방 후 과도기 동안은 일제강점기 시기 쓰다가 해방과 함께 재고로 남은 일본제국의 인지에 대충 조선정부라는 국명만 덧인쇄해 쓰다가[2] 정국이 어느정도 안정되고 새 인지를 발행하는 과정에서 도안으로 참고할 만한 일제강점기 이전 조선의 정부 상징은 대한제국 이화문이 대표적이니 일제 이전 대한제국을 계승한다는 상징도 포함해 겸사겸사 넣은 것으로 보인다. 모양새는 사동궁의 겹꽃잎 이화문과 유사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