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06 01:37:24

고양 버스 870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004998,#49aaff><tablealign=center>
파일:고양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fff> 광역급행
직행좌석
3300[통]
좌석
일반
마을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0075c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
[[틀:경기도의 공항버스|
공항
]]ㆍ[[틀:경기도의 시외버스|
시외
]] · [[틀:경기 프리미엄버스|
프리미엄
]]ㆍ[[틀:경기순환버스|
경기순환
]]ㆍ[[틀:경기도의 일반좌석버스|
좌석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75c8><colcolor=#fff> 고양시
광주시
111광주시 미경유
남양주시
330-2, -3회송/편도
포천시
화성시
기타
21김포
300수원
700부천
8000평택
}}}}}}}}} ||

파일:명성운수 870번[1261].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고양시 BI_White.svg 고양시 좌석버스 87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고양 870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대화마을) 종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4가(영등포소방서.타임스퀘어)
종점행 첫차 04:25 기점행 첫차 05:25
막차 22:40 막차 23:40
배차간격 1일 6회
운수사명 명성운수 인가대수 2대[1]
노선 대화동 - 대화마을 - 고양종합운동장 - 장성중.대진고교 - 연세프라자 - 후곡마을 - 밤가시마을 - 국립암센터 - 백마마을 - 일산병원 - 섬말다리 - 삼성당 - 능곡역 - 행주산성입구 - 자유로 - 강변북로 - 당산역 - 영등포시장 - 영등포소방서.타임스퀘어

2. 개요

명성운수에서 운행하는 좌석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1993년 4월 28일에 개통되었다.
  • 2009년 11월 1일 고양시 버스번호 개편 때 번호가 87번에서 870번으로 변경되었다.
  • 문래고가 철거로 인해 2010년 8월 28일에 회차지점이 영등포소방서.타임스퀘어로 변경되었다.
  • 2017년 12월 22일부터 '영등포소방서, 타임스퀘어' 정류장 대신 'CM충무병원' 정류장에 정차한다.
  • 2018년 8월 6일에 자유로에 있던 '난지도하수처리장' 정류장이 폐지되면서 양 방향 모두 무정차 통과하게 되었다.
  • 2019년 5월 10일에 '영등포소방서.타임스퀘어' 정류장 정차로 환원되었다.
  • 2019년 11월 21일부터 23일까지 명성운수의 파업으로 인해 고양시 회계과 관용버스를 5대를 투입해서 출근시간 한정으로 운행했다.
  • 2020년 일자 미상으로 첫차수요 감소로 주말ㆍ공휴일은 06시 첫차로 분리운행한다.
  • 2021년 2월 경에는 첫차는 전일 그대로이되 막차 마저도 21시로 변경돼서 1대로 다니게 되었다.
  • 2021년 10월 10일부터 양방향 양화대교를 이용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서울시가 양방향 양화대교 경유하는 것에 대한 인가를 부동의함에 따라 2022년 3월 28일부터 영등포 방향은 성산대교 경유로 환원된다.
  • 서울시와 최종협의가 완료되어 2022년 12월 1일 부로 다시 양방향 양화대교 경유로 변경되었다.

4. 특징

  • 대화동에 있는 대화마을에서 출발하지만, 9707번과 달리 중앙로를 거치지 않고, 대진고 앞길과 일산로를 거쳐 일산병원 앞을 통해 일산을 빠져나온다. 사실 거리와는 별개로 일산로의 신호체계가 상당히 깔끔한 편이기에 소요시간은 중앙로축 노선과 큰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이편이 빠르지만, 일산에서 바로 자유로를 타지 않고, 수요층이 모이는 중앙로축과는 거리가 있는 탓에 몇 년 사이 배차가 고무줄처럼 늘어나버렸기에, 지금으로선 일산로 연선에서도 중앙로로 이동한 뒤 1500번을 타는 것이 소요시간 면에서 무난한 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연선에서 시간만 맞으면 굳이 1500번을 타러 나가는 것보다 그 자리에서 870번을 타는 쪽이 당산/영등포에 더 빨리 도착한다.[2]
  • 배차간격은 과거엔 30대로 5~10분 배차 운행을 하면서 승객을 쓸어담고 다녔지만, 87-3번이란 흑역사와 함께 인근 교통상황이 10년 사이 완전히 뒤집히면서 현재는 전성기 대비 배차가 극단적으로 나빠진 상황. 물론 고정적 승객이 있기에 퇴근시간대엔 아직도 입석을 세우고 다니고 있기는 하지만, 영등포에서 기다리고 있으면 9707이 20대 지나갈 동안에 870번은 한 대 지나가는 것이 현재의 배차간격. 2020년 1월 현재 배차간격은 평일 30~60분, 주말 50~100분이었고 2020년 9월에는 더 줄어서 평일 12회, 주말 6회였다가 2021년부터는 아예 1대로 줄어들며, 평일과 주말 모두 1일 6회만 운행되고 있다.
  • 막차는 영등포에서 22시 정각에 끊길정도로 이르다. 대화마을 출발하는 버스들 중 첫차가 가장 빠른 편이자, 영등포행 노선들중에서도 역시 가장 빠르다. 무려 4시 30분에 첫차가 있다. 영등포까지는 50분 정도 걸리며, 소요 시간은 어느 시간대든 백석에서 출발 시 1500번이나 830번과는 소요시간이 5~10분 정도 차이가 난다. 하지만 능곡 구간을 제외하고는 830번보다 오히려 굴곡이 적다.
  • 2014년 7월 16일부터 시작된 입석금지 시행으로 인해 9707번이 노선 변경을 하면서 능곡 수요를 쓸어가 반사이익을 가장 크게 얻었던 노선. 당시 13대인 인가대수에서 몆 대만 증차되어도 9707번이 녹다운될 가능성이 크다...고 봤지만 8월 14일부터 9707번이 원래 노선으로 환원되면서 영광은 한 달도 채 이어가지 못하게 됐다.
  • 첫차가 고양시에서 영등포가는 버스 중 가장 빠른 편리라 당산역에서 중앙보훈병원행 급행 첫차, 개화행 첫차와 연계가 가능하고 김포국제공항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 6시정도까지 갈 수 있다. 또 영등포역에서는 무궁화호 첫차와 연계 가능하다. 그리고 영등포에서 일산으로 돌아가는 첫차 중 가장 빠른지라 고정 수요가 있기에 살아남고 있다.
  • 대량 감차됐음에도 이용객은 꽤나 되는 편이다. 마땅한 대체재가 없기 때문이다. 다만 이유없이 대량감차 된 것은 아니다. 주로 일산로쪽을 다니는 영등포행 일반좌석버스 시리즈들은 다 마찬가지지만 일산역이나 백마역 가는 마을버스가 없는 단독/다가구주택 지역(밤가시)나, 새벽 첫막차시간대가 아닌 이상에야 5~10분만 걸어가서 경의선 타는 게 더 빠르기 때문이다.[3] 경의선 접근이 불편한 호수로, 중앙로 쪽이 아닌이상 굳이 밀려터지는 자유로 경유 광역버스를 탈 이유가 없다. 여의도행 좌석버스가 전멸한 까닭도 마찬가지. 이쪽은 서울5호선 구조상 아예 접근순서부터가 역전되기 때문에... [4] 다만, 앞으로 다시 증차를 해도 딱히 수요가 늘지 않을 것 같은 게, 9707번이 수요 대비 차가 엄청나게 많아서 이미 능곡 수요를 독점하고 있기 때문이다. 1대로 운행중인 현재에는 1일 이용객수가 100명이 채 되지 않는다.[5]

4.1. 시간표

고양 버스 870번 운행시간표
2022년 11월 16일 기준 출처
횟수 대화동 영등포
1 04:25 05:25
2 09:25 도착 후 회차
3 12:35
4 15:55
5 19:20
6 22:40 23:40

5. 연계 철도역



[1] 실제로는 1대만 운행한다.[2] 백석동우체국에서 능곡 쪽은 9707번을 더 많이 이용한다. 870번이 1일 6회로 대폭 줄어들었기 때문.[3] 대체재가 없다는 이유도 첫막차시간대라 전철이 안 다니는 경우에 이동해야 하거나, 밤가시 일대의 어중간한 전철역 접근성 때문에 발생하는 고정수요 때문이다.[4] 버스: 일산→자유로→영등포→여의도 / 전철: 일산→경의선→공덕(5호선환승)→여의도→영등포[5] 2018년 770번도 그 정도는 아니었다(…) 사실 100명이나 90명이나 그 나물에 그 밥이기는 하다.[A] CM충무병원 하차 후 도보[B] 당산동삼성래미안아파트 하차 시 8, 9번 출구와 연계.[B]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