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02574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
좌석 | |||
일반 | 시내버스 맞춤형버스 공공버스(시군간) | ||
똑버스 | |||
마을 | 마을버스 고양누리버스 | ||
3300번: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056번: 도촌, 서촌, 멱절행 지선으로 운행 | |||
{{{#!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0085ca><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경기도 | }}} |
[[틀:경기도의 공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14px"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85ca><colcolor=#fff> 고양시 | ||
광명시 | |||
김포시 | |||
부천시 | |||
수원시 | |||
안산시 | |||
파주시 | |||
평택시 | |||
포천시 |
|
1. 개요
명성에서 운행하는 일반좌석버스 노선이며, 왕복 운행거리 69.9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고양공영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4가(영등포소방서.타임스퀘어) | ||
종점행 | 첫차 | 04:30 | 기점행 | 첫차 | 05:40 |
막차 | 22:30 | 막차 | 23:40 | ||
평일배차 | 1일 10회 | 주말배차 | 1일 5회 | ||
운수사명 | 명성 | 인가대수 | 2대[1] | ||
노선 | 고양공영차고지 - 하이파크시티2.4단지 - 탄현마을5.6단지 - 탄현서광아파트 - 일산시장 - 산들대림아파트- 신일초등학교 - 강선마을(중) - 마두역(중) - 백석역(중) - 일산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자유로JC - 자유로 - 강변북로 - 양화대교 - 당산역.삼성래미안아파트 - 영등포소방서.타임스퀘어 |
3. 역사
- 교하지구 입주민이 교통난으로 불편을 겪자 명성운수에서 2002년 5월 7일에 83번 좌석버스로 개통했다. 교하지구 청암초등학교에서 운정 현대1차아파트, 운정 동문아파트, 일산시장, 밤가시마을, 국립암센터, 마두역, 백석역,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자유로, 당산역, 영등포역을 경유하는 노선이었다. 개통 당시 배차간격은 18-20분 간격, 운행댓수는 10대였다.
- 이후 일산에서의 이용객을 늘려 보려고 차고지를 교하 연다산리로 이전하였고, 중간 경유지도 탄현큰마을, 탄현2지구, 일산시장(신도로), 산들마을, 강선로(신일초-문화초-강선초), 중앙로를 거치는 지금과 같은 형태로 변경시켰다. 이에 대한 승객들의 반응이 좋아짐에 따라 어렵게 증차되었고, 이로써 914번(지금의 9707번)의 이용객을 대부분 가져왔다.
- 2009년 11월 1일에 고양시 버스번호 개편에 따라 83번에서 830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0년 8월 28일에 영등포역 일대의 교통정체를 피하려는 목적으로 문래고가 철거시점에 맞춰 회차점을 영등포소방서앞/타임스퀘어로 변경하였다.
- 2011년 3월 23일에는 탄현/구일산 경유로 인한 소요시간 증가와 출퇴근시의 만원버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하/운정신도시에서 출발하는 1500번을 분리신설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동시에 고양공영차고지로 단축되어, 파주시 구간은 운행하지 않게 되었다.
- 2018년 8월 6일부터 자유로 상의 '난지도하수처리장' 정류장이 폐지되면서 양 방향 모두 무정차 통과한다.
- 성산대교 상습정체로 인해 2021년 10월 10일부터 양방향 양화대교 경유로 변경된다. 관련 게시물
- 코로나19와 1500번으로 인해 배차간격이 농어촌 버스 수준으로 벌어졌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는 18대로 운행했지만 현재는 15대나 감차되었다. 돈 더 내고 1500번을 이용하라는 뜻이다.
- 서울시와 최종협의가 완료되어 2022년 12월 1일 부로 다시 양방향 양화대교 경유로 변경되었다.
4. 특징
- 한때 고양시 일반좌석버스 승객 수 1위는 물론, 1000번과 함께 명성운수 수입금 1위를 두고 다퉜던 적이 있었을 정도로 승객이 많았다. 전성기 때는 평일 출퇴근시간뿐만 아니라 주말 낮시간에도 입석을 받을 정도로 인기가 많았다.
- 그러나 2018년 주 52시간제 시행 및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명성운수 운전기사가 절대적으로 부족해졌고, 1000번이나 1500번 등 요금이 비싼 직행좌석 노선의 파행 운행을 줄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일반좌석 노선들의 파행 운행이 심해졌다. 이 노선도 예외는 아니라 원래 20대였던 운행대수가 2대로 대거 감차되었다. 과거에는 5~10분의 빗자루질 수준의 배차간격을 자랑했으나 주52시간제 이후 20~30분까지 늘어나더니 코로나 이후로는 1일 10회밖에 운행하지 않는다. 1500번이 20대 가까이 지나갈 때 830번은 딱 한 번 지나가는 게 지금의 현실이다.
- 그래도 탄현이나 구일산, 후곡마을 주민들의 당산, 영등포행 수요가 많고 중앙로에서도 1500번보다 싸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830번이 오면 승객들을 상당히 태워가긴 한다.
- 지금의 상황이 계속된다면 앞으로도 쭉 2대로 다니거나 폐지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고양시가 일반좌석 노선도 대광위에 준공영제 노선으로 신청하겠다는 답변도 있긴 해서, 다시 차가 늘어날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2]
- 일반좌석버스 중 유일하게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경유한다.[3]
- 영등포역으로 가려면 옛날에 정차했던 신세계백화점 정류장보다 조금 먼 타임스퀘어.영등포소방서에서 내려야 하기에 불편하다. 그래도 좁고 노점상까지 있어 혼잡했지만 영등포소방서로 옮긴 뒤에는 그나마 양반인 편.
- 2016년 8월초까지만 하더라도 강변북로에서 성산대교로 진입할 때 성산대교 진입램프가 복잡하면 2~3차로를 이용해 최대한 성산대교 근처까지 가서 1차로로 끼어들기 운행을 했는데 최근 블랙박스가 대중화 되고 램프근처에 이러한 얌체운전 신고를 홍보하면서 마포구청과 마포경찰서에 엄청난 민원이 들어갔고 운행사원들은 범칙금 폭탄을 맞게 돼 명성운수 노조차원에서 소요시간 단축을 위한 끼어들기를 하지 않겠다고 공지하여 현재까지 지켜지고 있다. 실제로 출퇴근시간대에 성산대교램프 진입에만 최대 2km까지 꼬리를 물고있으며 20~30분 그 이상이 걸리고 있다.
- 2023년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고양 연장으로 미래가 더욱 어두워졌다. 고양, 파주의 영등포행 버스 수요의 상당 부분은 당산역에서 9호선으로 환승해 여의도나 강남으로 가려는 수요인데, 서해선 개통으로 김포공항역 환승이라는 더 빠른 루트가 생겼기 때문. 특히 830번이 지나가는 덕이, 탄현, 구일산, 후곡 모두 탄현역, 일산역과 가까운 지역들이라 1500번보다 타격이 더 클 수밖에 없다.
4.1. 대체 노선
- 목적지가 백석동 ~ 강선마을(중앙로 연선)인 경우
1500번과 완벽히 겹치므로 CM충무병원에서 이 노선을 타면 된다. 만약, 1500번이 만석이라 타기 힘들다면 강선마을부터 마두역까지는 능곡으로 둘러가지만 자주 오는 760번, 9707번을 타도 된다. 전철로 간다면 1호선을 타고 용산역에서[A] 경의중앙선으로 환승 후 대곡역에서 3호선으로 환승하면 된다.
- 목적지가 일산시장, 산들마을인 경우
영등포에서 한번에 가는 대체 노선이 딱히 없으므로, 여기도 일단 1500번으로 환승 후 강선마을에서 056번을 타자. 전철로 간다면 1호선을 타고 용산역에서[A] 경의중앙선으로 환승해서 일산역에서 하차 후 걸어가면 된다.
- 목적지가 덕이동, 탄현인 경우
합정역이나 홍대입구역으로 이동 후 M7731번을 타고 끝까지 가도 괜찮으며, 영등포나 당산에서 1500번을 타고 철산아파트.탄현역앞에서 내려도 탄현으로 갈 수 있긴 하다. 전철로 간다면 1호선을 타고 용산역에서[A] 경의중앙선으로 환승해서 가면 된다.
- 이 노선에서 갈라져서 나온 노선이 1500번이기 때문에, 대체노선은 사실상 1500번이라고 보면 된다.
4.2. 시간표
주의! 명성운수의 기사 부족, 공공버스 미참여 등으로 인해 상황에 따라 평일에도 1일 5회 운행하는 경우가 있음. 이 경우 주말 기준으로 운행되니 주의할 것. |
고양 버스 830번 운행시간표(평일) 경기버스정보 도착시각 토대로 추정 | ||
횟수 | 고양 | 영등포 |
1 | 04:30 | 도착 후 회차 |
2 | 06:30 | |
3 | 07:40 | |
4 | 11:00 | |
5 | 12:00 | |
6 | 15:30 | |
7 | 16:10 | |
8 | 19:00 | |
9 | 20:00 | |
10 | 22:30 | 23:40 |
고양 버스 830번 운행시간표(주말) 경기버스정보 도착시각 토대로 추정 | ||
횟수 | 고양 | 영등포 |
1 | 04:30 | 도착 후 회차 |
2 | 07:50 | |
3 | 12:30 | |
4 | 16:50 | |
5 | 21:30 | 23:05 |
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영등포역[7]
서울 지하철 2호선: 당산역
수도권 전철 3호선: 정발산역[8], 마두역, 백석역
수도권 전철 5호선: 영등포시장역
서울 지하철 9호선: 당산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일산역[B]
수도권 전철 서해선: 일산역[B]
일반 철도역: 영등포역 (
,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누리로)
[1] 예전에는 20대가 10분 간격으로 다녔으나,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2대까지 감차되었다.[2] 아니면 경기도에서 시행하는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신청할 수도 있다. 일반좌석버스와 단일 시군 노선도 하나둘씩 선정되고 시행하기 시작하는 것을 보면 신청할 가능성이 꽤나 있다. 실제로 4월 1일 921번이 공공관리제를 시행하며 일반시내버스로 전환되고 배차간격이 상당히 개선된 걸 보면 희망이 없지는 않다. 그러나, 그 기한을 여태 못 지켰기에 신뢰가 떨어지는 건 덤.[3] 일산IC~자유로JC 구간.[A] 영등포시장역에서는 5호선을 타고 공덕역에서, 당산역에서는 2호선을 타고 홍대입구역에서[A] [A] [7] 영등포소방서, 타임스퀘어 하차 후 도보[8] 일산동구청 하차 후 도보로 약 150m[B] 일산시장 하차시 2번 출구와 연계.[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