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004998,#49aaff><tablealign=center> | 고양시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3300[통] | ||
좌석 | |||
일반 | |||
마을 | |||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고양종합운동장.일산서구청) | 종점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신원동(신원중학교)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00 |
막차 | 22:50 | 막차 | 23:50 | ||
평일배차 | 10~20분 | 주말배차 | 25~40분 | ||
운수사명 | 명성운수 | 인가대수 | 13대[1] | ||
노선 | 고양종합운동장·일산서구청 - 대화역 - 킨텍스원시티 - 원마운트 - 주엽역[2] - 저동중고교 - 풍산역 - 고양가구3단지입구 - 전원마을입구 - 고양국제고등학교 - 위시티 - 식사오거리 - 신원당마을입구 - 원당역 - 원흥역 - 신원중학교 |
2. 개요
명성운수에서 한정면허로 운행하는 일반형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약 42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고양시에서 2019년 4월 23일부터 5월 8일까지 남부노선인 888번과 함께 시내버스 한정면허 운송사업자를 모집하였다. 그 결과 북부노선인 이 노선은 명성운수가, 남부노선은 888번은 선진버스가 선정되었다.[3]관련 기사
- 선정된 2개 버스회사와 노선, 운행시기 등에 대해 추가협의를 한 후 6월 중에 한정면허를 발급했으며 동년 10월 28일부터 운행이 시작되었다. 관련 게시물 그러나 GBIS에는 하루 늦게 10월 29일에 등록되었다.
- 2021년 7월 5일에 '고양종합운동장 - 대화중학교 - 킨텍스 - 문촌마을(중) - 주엽역' 구간이 '고양종합운동장 - 대화역 - 문촌마을14단지 - 킨텍스꿈에그린 - 원마운트 - 주엽역'으로 변경되었으며, 풍산역 방향은 기존처럼 주엽역, 강선마을 중앙차로 정류장을 경유하지만 일산서구청 방향은 시내버스 최초로 중앙로가 아닌 주화로를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4]
- 차량반입이 완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사수급 문제로 인해 4대로 운행을 시작하였고, 2020년 상반기 중에 인가대수 13대를 모두 운행할 것으로 계획을 잡았으나, 2020년 3월부터 코로나19를 이유로 4대로 감축 운행을 하였다.
- 그러다 2022년에 2대를 추가 투입해 6대로 운행했다가 다행히 고양시에서 개통 이후 지금까지 운행하는데 발생한 적자분 85%를 명성운수로 지급한다는 조건으로 2022년 9월 26일부터 개통한지 3년만에 인가대수 13대로 정상운행하게 되었다.
4. 특징
- 고양시에서 노선 경로를 직접 설계한 결과 고양 BRT 구간 중 상습 정체구간인 대화역과 일산동부경찰서 ~ 마두역 구간을 우회하거나 음영지역(구간)을 해결하기 위한 경로로 노선이 설정됐다.
- 고양시에서 최근 입주한 원흥, 삼송지구와 곧 입주 예정인 지축지구 등 신규 택지개발 지역과 고양시 도심(일산)지역을 이어주기 위한 노선으로 계획하여 사업자를 선정했다.
- 2022년 9월 26일부터 인가대수가 정상화되어 배차간격이 줄어들었다. 다시 말해, 인가대수 13대 모두 운행중인 것으로 보이며, 버스정보시스템을 켜면 운행중인 차량이 최소 10대는 항상 확인된다. 배차간격이 10~15분인데 오히려 간격이 멀 때보다 승차량이 늘어난 것이 체감된다. 식사동을 경유하는 노선이 부족하며 특히 전원마을, 고양국제고 수요를 95번 이외의 버스가 충족시켜주게 되었다.
- 한정면허 노선이다.
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3호선: 대화역, 주엽역, 원당역, 원흥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풍산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