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004998,#49aaff><tablealign=center> | 고양시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3300[통] | ||
좌석 | |||
일반 | |||
마을 | |||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삼송동(삼송역현대헤리엇아파트) | 종점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디지털미디어시티역2번출구)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10 |
막차 | 23:00 | 막차 | 00:10 | ||
평일배차 | 10~20분 | 주말배차 | 20~35분 | ||
운수사명 | 서울여객 | 인가대수 | 19대 | ||
노선 | 삼송역현대헤리엇아파트[1] - 지축차량기지 - 지축초중교 - 은평뉴타운 - 구파발역 - 동산동능모퉁이 - 삼송역 - 삼송15~20단지 - 원흥역 - 도래울마을 - 화랑교차로 - DMC해링턴플레이스 - 향동숲내초교 - 은평공영차고지입구 - DMC첨단산업센터 - MBC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중간 출발 정류장 |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방면 | DMC해링턴플레이스 04:40, 05:15,[2] |
지축지구 방면 | 없음 |
2. 개요
서울여객에서 운행하는 일반형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약 45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2020년 4월 22일에 개통하였다. 향동지구 교통대책 일환으로, 본래 2019년에 733번의 분리노선인 733A번으로 개통 예정이었으나, 기사 수급 문제와 코로나 영향으로 개통이 지연되다 이제서야 개통하게 되었다. 관련 내용
- 2020년 5월 20일부로 '구파발역 - DMC해링턴플레이스' 구간이 연장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20년 11월 24일부로 DMC역을 경유하게 되면서 상암동 일대 노선변경이 이루어졌다. 월드컵북로가 아닌 성암로를 통해 DMC역을 경유하고 월드컵파크2단지를 통해 홍대 방향으로 운행한다.[3] 관련 게시물
- 2022년 2월 3일부로 '삼송역삼거리 - 지축차량사업소 - 지축지구 - 구파발역' 구간이 연장되었으며,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마포구청 - 망원역 - 합정역 - 홍대입구역' 구간이 단축되었다. 또한 DMC 방면으로 경유하던 스타필드 고양(정문)을 경유하지 않게 되었으며[4], 평일 기준 17대 운행으로 정상운행을 실시한다. 그리고 같은 날 7013번의 향동지구 미경유로 인한 첫차시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향동지구 출발 DMC행 첫차 중간출발 차량 운행[5]도 추가되었다. 관련 게시물[6]
- 2022년 2월 22일, 삼송역 현대헤리엇아파트[7] 정류장이 추가되어 노선이 소폭 연장되었다.
4. 특징
- 정상화됐다고는 하지만, 평일과 달리 주말에는 배차간격이 긴 편이니 이용 시 버스위치정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수색 및 상암동의 상습적인 정체로 배차간격이 들쑥날쑥할 수 있다. 또한, 주말 및 공휴일에는 고양 스타필드 주변의 정체도 덤 미리 버스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이용해야 한다.
- 이케아, 롯데아울렛을 가고자 한다면 도래울6.7단지 또는 도래울마을5.6단지 정류소에서 내려 걸어가거나, 95번, 024A번, 024B번, 046번을 이용하면 된다.
- 지축지구내 지축나인포레 A-1블럭 앞에, 특별 정류장이 존재한다.
5. 노선변경 이후
- 노선 변경 3개월 차인 현재 다행히 큰 감차운행 없이 평일 기준 15대 내외로 운행되고 있다.[9] 고양시에서 강력한 행정명령을 내려 파행운행 시절보다 안정적인 운행을 보여주고 있다.[10]
- 지축지구 경유 및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홍대입구역 구간 단축으로 인한 대체 노선은 아래와 같다.
- 향동에서 첫차 중간출발 차량(오전 2회)은 향동지구~DMC역 구간만 2회 순환 후 DMC해링턴플레이스에서 운행종료후 진관공영차고지로 복귀한다
6.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3호선: 삼송역, 구파발역, 원흥역
서울 지하철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인천국제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
[1] 상행 정류소명은 힐스테이트삼송역[2] 향동지구 ~ DMC역 구간만 반복운행. 자세한 내용은 특징 란에 따로 서술함.[3] 반대로 구파발역 방향으로는 월드컵경기장 남측 정류장 정차 후 우회전하여 월드컵터널로 직통 운행한다.[4] 농협하나로클럽 정류장에서 내리면 스타필드 고양 후문이 바로 앞에 있다.[5] DMC 해링턴플레이스 04:40 05:15 05:50 출발[6] 7013번의 향동지구 구간 단축은 2021년 3월 25일에 처음 공개되었으나, 거의 1년이 다 되서야 시행되었고, 7021번을 대체 투입할 계획이었으나 무산되었다.[7] 상행 정류장 명은 힐스테이트삼송역[8] 진관공영차고지는 충전소가 이미 포화됐기 때문에 충전을 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래서인지 730번 차량들은 상기한 은평공영차고지나 선진운수 용두동영업소, 상암공영차고지로 충전하러 간다.[9] 다만, 주말에는 배차간격이 길어진다. 그래도 30분 이상으로는 길어지진 않는다.[10] 지금 당장 한달 이용객만 봐도 차이가 나는데 노선변경 이전은 서울여객에서 가장 이용객이 적은 노선이었으나 노선변경 후 이용객이 눈에 띄게 증가하여 서울여객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노선이 되었다.[11] 경유지가 상이하나, 진관동(구파발역) ~ 홍대입구역 전 구간을 오갈 경우 위의 두 노선버스를 이용하는것이 좋다. 혹은 연신내역에서 6호선을 이용한다면 DMC역, 마포구청, 합정역 일대까지 버스보다 빠르게 모셔준다.[12] 홍대입구역으로 빠르게 가고자 할 때는 상암휴먼시아에서 7016번, 7711번, 마포15번 혹은 DMC역에서 7737번을 이용해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