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25 04:05:52

고양 버스 96

파일:Semi_protect2.svg   가입 후 15일이 지나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004998,#49aaff><tablealign=center>
파일:고양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fff> 광역급행
직행좌석
3300[통]
좌석
일반
마을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파일:고양96_3725.png
파일:고양96_3143.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대체노선4.2. 사건사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고양시 BI_White.svg 고양시 일반형버스 96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고양 96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식사동차고지) 종점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강화산성서문)
종점행 첫차 04:45 기점행 첫차 05:30
막차 00:30 막차 00:30
배차간격 20~50분[1]
운수사명 고양교통 인가대수 19대[2]
노선 식사동차고지[3] - 사단앞 - 안곡중고교 - 중산마을10단지.동신아파트 - 발산중학교 - 일산동구청(중) - 마두역(중) - 백석동.요진와이시티(중) - 일산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김포IC - 고촌역 - 장곡.고촌고등학교 - 풍무역 - 사우역.김포고 - 김포초교 - 나진교 - 한강로사거리 - 누산사거리 - 수참.하성입구 - 도사리 - 마송 - 새터마을 - 오리정 - 군하리.한우마을 - 김포대학교 - 포내2리 - 성동검문소 - 강화병원 - 강화터미널 - 강화군청 - 강화산성서문
중간 출발 정류장
강화산성 방향 없음
식사동 방향 없음 [4]

2. 개요

고양시에서 인천(강화)까지 가는 유일한 일반형버스 노선. 총 운행거리는 101.9km로 상당한 장거리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959.png
좌석 959번 시절
  • 김포시 면허 회사인 선진버스에서 운행하던 959번을 2006년 가을에 분리신설한 960번 좌석버스가 전신이다.
  • 이후 선진버스에서 고양시 업체인 고양교통을 분리하여 넘기면서 2009년 7월 1일에 고양시의 일반형버스로 전환되었다. 동시에 번호를 96번으로 변경하였다.
  • 2014년 1월에 이 노선과 전체가 겹쳤던 95번을 운휴시키면서 사실상 흡수했다. 폐선이 아닌 운휴였으므로, 노선 자체는 그대로 두었다가 2014년 12월 20일에 95번은 기존과 전혀 다른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위시티 구간을 제외한 고양시 구간은 95번과 완전히 동일하다.
  • 2011년 3월 31일에 종점이 마두역에서 대화역으로 연장되었다. 단, 중앙로가 아닌 호수로를 경유했었다.
  • 2014년 1월 27일에 '일산동부경찰서 - 승리교회 - 대화역' 구간을 단축하고, '마두역 - 일산동구청, 정발산역 - 중산마을 - 식사동차고지' 구간을 연장했다. 동시에 기점이 식사동차고지로, 종점이 서문으로 변경되었다.
  • 2018년 3월에 식사동 막차가 0시 20분에서 0시 30분으로, 강화서문 막차가 0시 10분에서 0시 30분으로 조정되었다.
  • 2018년 8월 27일부터 강화여고입구 정류장을 추가정차 한다.
  • 2018년 12월 1일에 식사동 방면 첫차가 5시에서 5시 30분으로 변경되었다. 김포대학교에서 4시 45분과 5시에 중간출발하던 것도 5시 30분 출발로 바뀌었다.
  • 2022년 11월 23일 수요일 첫차부터는 평일 한정으로 운행하던 김포대학교 중간출발 05시 30분차량은 운행하지 않는다. 그 외 강화나 식사에서 출발하는 첫차 시간은 변동이 없다.

4. 특징

  • 엄연히 일반형버스 노선이지만 강화군 문화관광 홈페이지에서 서울, 인천, 김포 등을 가는 노선과 함께 시외버스 노선으로 안내하는 문제가 있다.
  • 일산신도시에 거주하는 가족 단위의 주민들이 주말마다 강화도(강화군)로 주말 나들이나 소풍을 갈때 이용하는 노선이며, 주말이 되면 88번 못지 않게 아이들 소리가 시끄럽게 들리기도 하는 노선이다. 다른 고양교통 노선의 기사들이 불친절하고 난폭하게 운전하는 것에 반하여 이 노선은 아무래도 가족 단위의 손님들이 매우 많다보니 96번의 기사들은 최대한 친절하게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하고 있다.
  • 위시티 구간을 제외한 식사동 - 백석동 구간은 동사의 95번과 동일하고 고촌부터 강화병원까지는 김포 88번과 거의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95번과 88번을 적절하게 섞은 노선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이 버스는 88번과 달리 장곡 내부로 들어가진 않는다.
  • 동사 97번과 같이 일산소속/김포소속 차량이 분리되어 있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대로 양쪽에서 동시에 출발하기 때문이며, 일산소속은 식사동 본사, 김포소속은 김포대학영업소에서 주박을 하여 이원화 되어 있으나, 인사배차 관리는 식사동 본사에서 관리한다.
  • 동사 97번과 더불어 김포시내 지역에서 통진읍, 월곶면 방향으로 가장 이른 시간대에 진입하는 노선이다. 그리고 가장 늦은 시간대까지 통진읍, 월곶면에서 김포시내로 운행하는 노선이다.
  • 강화터미널을 경유하지만 내부로 들어가지는 않고 도로변에 있는 정류장에서 승.하차를 받는다.
  • 막차는 편도 운행이라 각각 기종점에 닿으면 곧바로 운행을 종료하니 주의. 운행을 마친 김포소속 차량은 김포대학차고지까지 공차회송한다.
  • 강화도 경유 시내버스 최초로 공공와이파이가 설치된 노선이다.
  • 경기도 시내버스 중 가장 서쪽으로 가는 노선이다.[6] 경기도 버스가 강화도 깊숙히 들어가는 특이한 노선.
  • 고양시 일반형버스 중에서 유일하게 바다를 건너는 노선이다. 강화대교를 건널때 보이는 강처럼 생긴 염하가 엄연히 서해바다이다.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4.1. 대체노선

  • 배차가 긴 편이나, 코로나19로 인한 감차 등의 복합적 요인으로 배차가 더 증가하였다. 대체노선을 꼭 확인할 것.

4.2. 사건사고

  • 2020년 2월 5일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고막리에서 한 왕복 2차로 도로에서 시내버스 2대가 충돌했다. # 사고는 A씨가 몰던 시내버스 96번이 고막리마을회관에서 김포대학교 방면으로 주행중 맞은편에서 오던 다른 시내버스 88번이 중앙선을 넘어 충돌하면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은 "커브 길에서 도로가 미끄러워 운전이 잘되지 않았다"는 88번 운전기사의 진술을 토대로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하였다.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경기도 휘장.svg 고속도로 경유 경기도 일반형버스
<rowcolor=#373a3c> 고양시 시흥시 양평군
96 5602 5604 33-1, 4, 5 2000-2

파일:강화군 CI.svg 강화군 경유 시내버스
···

파일:고양시 CI.svg 고양시김포시 버스 파일:김포시 CI.svg
33-1 96 97 2000




[1] 실제 간격은 평일 30분~50분, 주말은 50분~65분 간격으로 운행한다.[2] 실제로는 7대 운행[3] 차고지 내 95번, 96번 타는곳이라고 적혀있는 노란색 표지판에서 승.하차 가능하다.[4] 평일 한정 김포대학교 05:30 중간출발은 2022년 11월 23일 수요일 첫차부터 모두 강화산성서문에서만 출발하는 것으로 변경되었음.[5] '돌문마을입구' 정류장과 사우동 육교 인근에 위치.[6] 북쪽은 연천 39-2번 동재마을 지선, 동쪽은 양평 10-1번, 남쪽은 안성 20번, 참고로 수도권 전 노선중에 가장 최서단으로 가는 노선은 강화 18번이다.[7] 바로 약산마을로 나가는 96번과 달리 위시티 안쪽을 훑고 나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사단앞 정류장에서 탑승하면 똑같다.[8] 고촌으로 가지는 않지만, 아라대교에서 내려 다른 노선으로 환승하면 된다.[9] 강화도까지 완벽히 겹친다. 다만, 강화군 내에서 96번은 터미널을 경유한 후 군청으로 넘어가지만, 88번은 반대로 군청을 경유한 후 터미널에서 종착한다.[10] 다만 이쪽은 직행좌석버스인 만큼 중간중간 무정차 정류장이 꽤 있다.[11] 14번, 18번, 20번, 21번, 24번, 25번, 28번, 30번, 32번, 33번, 49번, 62번[12] 다만 96번과 달리 백석, 마두가 아닌 일산동구청, 일산동부경찰서, 대화역에서 이용해야 한다는 것과 위에 언급한 세 노선들 모두 배차간격이 그렇게까지 좋은 편은 아니다.[13] 일산동구청 정류장 하차 후 도보로 약 15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