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외무부장관 (1948~1998) |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허정 내각 | ||||
초대 장택상 | 제2대 임병직 | 제3대 변영태 | 제4대 조정환 | 제5대 허정 | |
<nopad> 장면 내각 | <nopad> 장도영 내각 | <nopad> 송요찬 내각 | <nopad> 김현철 내각 | ||
제6대 정일형 | 제7대 김홍일 | 제8대 송요찬 | 제9대 최덕신 | 제10대 김용식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11대 정일권 | 제12대 이동원 | 제13대 정일권 | 제14대 최규하 | 제15대 김용식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16대 김동조 | 제17대 박동진 | 제18대 노신영 | 제19대 이범석 | 제20대 이원경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21대 최광수 | 제22대 최호중 | 제23대 이상옥 | 제24대 한승주 | ||
<nopad> 문민정부 | |||||
제25대 공로명 | 제26대 유종하 | ||||
외교통상부장관 (1998~2013) |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27대 박정수 | 제28대 홍순영 | 제29대 이정빈 | 제30대 한승수 | 제31대 최성홍 |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
제32대 윤영관 | 제33대 반기문 | 제34대 송민순 | 제35대 유명환 | 제36대 김성환 | |
외교부장관 (2013~현재) |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37대 윤병세 | 제38대 강경화 | 제39대 정의용 | 제40대 박진 | 제41대 조태열 | |
조선 예조판서 · 대한제국 외부대신 · 임시정부 외무부장 | }}}}}}}}} |
공로명 관련 틀 |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대한민국 제25대 외무부장관 공로명 孔魯明 | Kong Roh-myung | |||
출생 | 1932년 2월 25일 ([age(1932-02-25)]세) | ||
함경북도 명천군 | |||
본관 | 곡부 공씨 | ||
호 | 산창(山窓) | ||
재임기간 | 제10대 외무부 정무차관보 | ||
1981년 5월 19일 ~ 1981년 11월 2일 | |||
제11대 외무부 제1차관보 | |||
1981년 11월 2일 ~ 1983년 6월 23일 | |||
초대 주러시아연방 특명전권대사[1] | |||
1990년 3월 2일 ~ 1992년 1월 | |||
제17대 국립외교원장 | |||
1992년 1월 ~ 1993년 4월 | |||
제11대 주일본국 특명전권대사 | |||
1993년 4월 ~ 1994년 12월 | |||
제25대 외무부장관 | |||
1994년 12월 24일 ~ 1996년 11월 7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배우자 | 한명숙 | |
자녀 | 슬하 2남 | ||
학력 | 경기중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 학사) 국방대학교 (행정학 / 학사) | ||
종교 | 개신교 | ||
경력 | 제10대 외무부 정무차관보 제11대 외무부 제1차관보 초대 주러대사 제11대 주일대사 외교안보연구원 원장 제25대 외무부장관 신한국당 전임고문 겸 당무위원 동국대학교 석좌교수 한림대학교 석좌교수 동서대학교 석좌교수 세종연구소 명예소장 세종재단 이사장 한일포럼 회장 | ||
군사 경력 | |||
임관 | 통역장교 | ||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
1950년 ~ 1958년 | |||
최종 계급 | 대위 (대한민국 육군) | ||
참전 | 6.25 전쟁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외교관이다. 종교는 개신교이다. 본관은 곡부(曲阜)#, 호는 산창(山窓)이다.2. 생애
1932년 함경북도 명천군에서 태어났다.경기고등학교 졸업 후인 1950년 통역장교로 입대하였다. 제22보병사단 등에서 복무하여 1958년 대한민국 육군 대위로 전역하였다. 육군 장교 복무 중 육군보병학교 5기, 육군기갑학교 7기를 졸업하였다.
전역 후 1958년부터 외무부에서 외교관으로 근무하였다. 1961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6.25 전쟁 후 외교관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군 장교 중에서 충원하기로 한 외무부는 1955년에 1차 채용시험을 시행했다. 외교부차관을 역임한 윤하정(尹河珽)이 이때 뽑혔다. 두 해 뒤인 1957년의 2차 채용에는 공로명 한 명밖에 합격자가 없어 이듬해 봄에 다시 3차 모집을 실시했다고 한다. 이때의 채용조건은 촉탁을 거쳐 1년 내에 3급(지금의 5급)으로 임용한다는 것이었다. 당시의 외무부 등용문은 고등고시와 외무부 자체 채용시험을 통한 임용(주로 대학 졸업생 대상) 두 가지 길이 있었다. 고등고시는 지금과 같은 임용시험제가 아니라 자격시험제로 여겨졌다. 따라서 고등고시 3부(외교) 합격자는 매 기에 따라 한 명 있을 때도 있었으며, 대체로 5-6명 전후에 불과했다.[2]
노태우 정부 때 주소, 주러대사, 문민정부 때 주일대사, 외교안보연구원장, 외무부장관(1994년 ~ 1996년) 등을 거쳤다. 1983년 외무부 정무차관보 재직 당시 중국 민항기 불시착 사건의 대한민국 측 협상 대표로 사건을 해결했고, 초대 모스크바 영사처 처장으로 한소 수교에 결정적으로 기여하였다. 또한 외교안보연구원장 재직 시절 남북 핵통제공동위원회의 남측 대표를 맡아 북한과 핵 협상을 벌이기도 했으며, 외무부장관 재직 시절 고노 담화와 무라야마 담화가 나오기도 했다.
베트남 전쟁 당시 1975년 월남 패망 후 마지막까지 교민 철수를 지원하다가 자신은 탈출에 실패하여 5년 간 북베트남 정부에 억류되었던 이대용 전 공사 등의 석방을 위한 북한과의 교섭에 참가한 바 있다.
장관직 퇴임 이후에는 세종재단 이사장 겸 동서대학교 국제관계학부 석좌교수, 한일포럼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2021년 구순(九旬)을 앞두고 후배 외교관과 지인 등 52명이 글을 모아 문집 ‘공로명과 나’를 출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