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국방부차관 (1948~현재) | |||||
<nopad> 이승만 정부 | |||||
초대 최용덕 | 제2대 장경근 | 제3대 김일환 | 제4대 강영훈 | 제5대 이호 |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허정 내각 | <nopad> 장면 내각 | |||
제6대 김용우 | 제7대 김종갑 | 제8대 최세항 | 제9대 이희봉 | 제10대(정무) 박병배 | |
<nopad> 장면 내각 | <nopad> 장도영 내각 | <nopad> 송요찬 내각 | <nopad> 김현철 내각 | ||
제10대(사무) 김업 | 제11대(정무) 우희창 | 제11대(사무) 신응균 | 제12대 이홍배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13대 강서룡 | 제14대 이경호 | 제15대 류근창 | 제16대 최광수 | 제17대 이민우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18대 김용휴 | 제19대 조문환 | 제20대 박찬긍 | 제21대 권영각 | 제22대 황인수 |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23대 신치구 | 제24대 임헌표 | 제25대 권영해 | 제26대 이수휴 | 제27대 정준호 |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28대 이정린 | 제29대 안병길 | 제30대 박용옥 | 제31대 문일섭 | 제32대 권영호 |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
제33대 유보선 | 제34대 유효일 | 제35대 황규식 | 제36대 김영룡 | 제37대 김종천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제38대 장수만 | 제39대 이용걸 | 제40대 백승주 | 제41대 황인무 | 제42대 서주석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43대 박재민 | 제44대 신범철 | 제45대 김선호 |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역임한 직위 | |||||||||||||||||||||||||||||||||||||||||||||||||||||||||||||||||||||||||||||||||||||||||||||||||||||||||||||||||||||||||||||||||||||||||||||
|
대한민국 제11대 국방부차관 신응균 申應均 | Shin Eung-Kyun | |
<colbgcolor=#004080><colcolor=#ffffff> 창씨명 | 히라야마 가쓰토시 平山勝敏 |
호 | 고운(孤雲) |
본관 | 평산(平山)[1] |
출생 | 1921년 1월 22일 |
경기도 경성부(現 서울특별시) | |
사망 | 1996년 3월 25일 (향년 75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 |
재임기간 | 제11대 국방부차관 |
1961년 5월 19일 ~ 1961년 7월 4일 | |
제3대 주독일 대한민국 대사 | |
1961년 7월 4일 ~ 1963년 8월 | |
제2대 국립외교원장 | |
1964년 10월 ~ 1966년 9월 | |
비고 |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등재 친일인명사전 등재 |
군사 경력 | |
임관 | 일본육군사관학교 (제53기) |
복무 | 일본 제국 육군 |
1940년 ~ 1945년 | |
대한민국 육군 | |
1945년 ~ 1959년 | |
최종 계급 | 중장 (대한민국 육군) |
참전 | 태평양 전쟁 6.25 전쟁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군인, 친일반민족행위자.2. 생애
1921년 1월 22일 경기도 경성부(現 서울특별시)에서 일본 제국 육군 장교였던 아버지 신태영과 어머니 천기주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대전고등학교, 일본육군사관학교 제53기를 졸업하고 일본 제국 육군에 임관하였다. 태평양 전쟁에 중포부대 소속으로 참전했다.미군정 시기에 대한민국 육군 장교[2]가 되었다. 1959년에 중장으로 예편하고, 주 터키 대사에 임명되었다. 장면 정부 당시인 1960년 11월, 국방부 차관보에 임명되었다. 5.16 군사정변이 발생한 후 정변 세력에 동참하여 대한민국 국방부차관을 거쳐 1961년 7월, 전규홍의 뒤를 이어 제3대 주 서독 대사에 임명되었다. 1970년에는 국방과학연구소를 설립해 초대 소장을 맡았다.
1996년 3월 25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자택에서 지병인 간암으로 별세했다. 그의 유해는 1996년 3월 27일 국립서울현충원 제1장군 묘역에 안장되었다.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군 부문에 아버지 신태영과 함께 선정되었으며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