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08:20:44

평산 신씨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colbgcolor=#000><colcolor=#ece5b6> {{{#!wiki style="word-break: keep-all; display: inline-table; max-width: 300px; margin: -12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ce5b6>
파일:평산 신씨 종문.svg
平山 申氏 (平州 申氏)
평산 신씨 (평주 신씨)
}}}
관향 황해도 평산군
시조 신숭겸(申崇謙)
집성촌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
광주광역시 북구
대구광역시 달성군·달서구·수성구·군위군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경기도 가평군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철원군
경기도 여주시·용인시·광주시·이천시
충청북도 괴산군·음성군·진천군·청주시
충청북도 충주시
충청남도 보령시·서천군·예산군.천안시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무주군·부안군·임실군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정읍시
전라남도 고흥군·담양군·무안군·신안군
전라남도 영광군·영암군·완도군·장흥군
전라남도 해남군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경상북도 구미시·문경시·봉화군
경상북도 상주시·안동시·영덕군·영양군
경상북도 영주시·청송군·칠곡군
경상남도 거제시·거창군·남해군·밀양시
경상남도 사천시·의령군·진주시·창원시
경상남도 함양군·합천군
강원도 김화군·이천군·평강군·회양군
경기도 개풍군
황해도 금천군·신계군·연백군·은율군
황해도 재령군·평산군·해주군
평안남도 강동군·강서군·안주군·양덕군
평안남도 평원군
평안북도 영변군·의주군·자성군·정주군
함경남도 단천군·문천군·북청군·신흥군
함경남도 정평군
함경북도 경흥군·성진군
인구 563,375명(2015년) | 국내 14위
링크 평산신씨대종중

1. 개요2. 역사3. 분파4. 항렬5. 집성촌
5.1. 강원·경기5.2. 충청5.3. 광주·전라·제주5.4. 대구·경상5.5. 북한
5.5.1. 강원·경기5.5.2. 황해5.5.3. 평안5.5.4. 함경
5.6. 영해 신씨(평산 신씨 판사공파) 집성촌
6. 유명 인물
6.1. 역사 인물6.2. 31세손6.3. 32세손6.4. 33세손6.5. 34세손6.6. 35세손6.7. 36세손6.8. 37세손6.9. 38세손6.10. 계보 불명

[clearfix]

1. 개요

황해도 평산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시조고려개국공신[1] 신숭겸.

2. 역사

시조 신숭겸(申崇謙)의 초명은 능산(能山)이며, 전라도 곡성현(谷城縣) 출신이다. 태봉의 장군으로 있다가 홍유(洪儒), 배현경(裵玄慶), 복지겸(卜智謙) 등과 함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王建)을 왕으로 추대하여 고려를 세웠다. 태조 왕건에게 평산을 봉지로 받고, 신(申)씨를 사성(賜姓)받았다.

927년(태조 천수[天授] 10) 공산[2]에서 견훤과의 전투 중 태조를 대신하여 전사하였다.[3] 이에 태조 왕건은 순절한 신숭겸에게 벽상호기위태사개국공삼중대광의경대광위이보지절저정공신(壁上虎騎衛太師開國公三重大匡毅景戴匡衛怡輔砥節底定功臣)으로 추봉하였다. 신숭겸의 묘소인 신 장절공 묘역(申壯節公墓域)은 강원도 춘천시 서면 방동리에 있고 음력 3월 3일과 9월 9일에 향사한다. 신숭겸이 고려 왕조에 이어 조선 왕조에서도 충(忠)의 상징으로 받들어진 까닭에 평산 신씨는 많은 혜택을 받았다.

조선시대 정승 8명, 대제학 2명, 문과 급제자 186명, 무과 급제자 307명을 배출하였다. 또한 종묘배향공신(宗廟配享功臣) 4명을 배출하였다.

시조인 신숭겸을 비롯해서 신립, 신각, 신호, 신경진, 신류, 신헌, 신팔균, 신돌석[4] 등 전통적으로 무반들을 많이 배출한 무인 가문이기도 하다. 무반 가문답게 대한민국 건국 이래 대한민국 해병대의 아버지인 신현준을 포함해 장성급 장교를 총 18명 배출했으며, 이는 모든 성씨를 통틀어 파평 윤씨 다음으로 많은 것이다.# 무인과 더불어 신사임당, 신위 등 유명한 문장가와 예술가들도 배출했다.

명문 무반 가문답게 전통적으로 활을 잘 쏘기로 알려진 가문으로 당장 평산 신씨라는 성씨 자체가 시조인 신숭겸의 활솜씨로 만들어진 것이고 임진왜란 당시 종군한 후손들인 신립, 신호, 신정(申霆) 등도 당대의 명궁으로 이름을 남긴 사람들이다. 「 조선의 궁술 」의 뛰어난 궁술인 명단에도 평산 신씨가 제법 있다.

3. 분파

신성부원군파(信城君派)[5], 군수공파(郡守公派), 참판공파(參判公派), 판윤공파(判尹公派), 감찰공파(監察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판사공파(判事公派)[6], 이상공파(貳相公派), 전서공파(典書公派), 제정공파(齊靖公派), 온수감공파(溫水監公派),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사간공파(思簡公派), 한성윤공파(漢城尹公派), 정언공파(正言公派), 문희공파(文僖公派), 장령공파(掌令公派), 봉상윤공파(奉常尹公派), 밀직공파(密直公派) 등 19개 분파가 있다.

4. 항렬

대략적으로 근현대에 분포하고 있는 항렬자는 다음과 같다. 항렬자를 철저히 지키는 가문으로 유명하며, 현대에는 보통 32~37세손 항렬자를 쓰는 사람이 많고 특히 그중에서도 35세손이 압도적으로 많다.
31세손○희(熙), ○상(相), ○수(秀), 태(泰)○
32세손○균(均), ○규(圭), ○로(老), ○곤(坤)
33세손현(鉉)○, 언(彦)○, 윤(允)○, 종(鍾)○
34세손○철(澈), ○식(湜), ○순(淳), ○영(泳)
35세손동(東)○, 상(相)○, 영(榮)○, 주(柱)○
36세손○섭(燮), ○용(容), ○항(恒), ○환(煥)
37세손재(載)○, 숙(璹)○, 기(基)○, 배(培)○
38세손○호(鎬), ○진(鎭), ○일(鎰), ○련(鍊)

5. 집성촌

5.1. 강원·경기

  • 강원도 양양군 서면 구룡령로
  • 강원도 인제군 상남면 미산리
  • 강원도 철원군 근동면 방통리[7]
  • 강원도 철원군 근북면 율목리[8]
  •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자등리
  • 강원도 춘천시 서면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 경기도 여주시 가남읍 본두리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좌항리
  •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조읍리
  •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옥천리
  • 경기도 양평군 단월면 덕수리

5.2. 충청

  •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사창리·신기리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대장리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9]
  • 충청북도 청주시 성재 2리
  •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용교리
  • 충청남도 보령시 화산동
  •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오포리
  • 충청남도 보령시 청라면 음현리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관리·성산리·율리
  •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상좌리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대지리·옥전리

5.3. 광주·전라·제주

  • 광주광역시 북구 청풍동
  • 전라북도 군산시 회현면 학당리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대차리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지성리
  •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외하리
  •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 식도리·진리
  • 전라북도 임실군 삼계면 학정리
  • 전라북도 임실군 신덕면 수천리·지장리
  • 전라북도 장수군 계내면 대곡리
  • 전라북도 정읍시 과교동[10]
  •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용당리
  • 전라남도 담양군 수북면 개동리[11]
  •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읍 용산리
  • 전라남도 신안군 신의면 하태동리
  •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신하리
  •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입비동길
  • 전라남도 완도군 소안면 미라리[12]
  • 전라남도 장흥군 대덕읍 신리
  •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 만수리·운전리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외도동

5.4. 대구·경상

  • 대구광역시 달서구 진천동
  •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 대구광역시 군위군 부계면 가호리·창평리
  • 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 구봉리
  • 경상북도 문경시 우지동
  • 경상북도 문경시 농암면 율수리·화산리
  •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전두리
  •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수식리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서만리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동부리·서부리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조암리
  • 경상북도 예천군 호명면 어지리
  •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복리[13]·지소리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복성리
  •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구영리
  •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 와룡리
  • 경상남도 남해군 서면 중현리[14]
  •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중산리[15]
  •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후사포리
  • 경상남도 밀양시 상남면 예림리[16]
  •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금문리·선진리·송지리·온정리[17]
  • 경상남도 의령군 지정면 마산리
  • 경상남도 진주시 수정동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서곡동[18]
  •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삼정리
  • 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송전리
  • 경상남도 합천군 묘산면 관기리[19]
  • 경상남도 창녕군 부곡면 사창리

5.5. 북한

5.5.1. 강원·경기

  • 강원도 김화군 근동면 교전리·아침리[20]
  • 강원도 이천군 낙양면 삼포리
  • 강원도 이천군 방장면 가려주리
  • 강원도 이천군 웅탄면 평리
  • 강원도 평강군 고삽면 근남리·동상리·원남리·중평리
  • 강원도 회양군 회양면 하교동리
  • 경기도 개풍군 대성면 대성리
  • 경기도 개풍군 진봉면 지금리

5.5.2. 황해

  • 황해도 금천군 구이면 관문리
  • 황해도 신계군 마서면 용락리
  • 황해도 연백군 괘궁면 관동리
  • 황해도 연백군 목단면 동운리
  • 황해도 은율군 장련면 화천리
  • 황해도 재령군 장수면 재궁리
  • 황해도 평산군 고지면 세관리
  • 황해도 평산군 마산면 당후리[21]·대경리·주답리·한촌리[22]
  • 황해도 평산군 세곡면 광평리[23]·덕촌리[24]·생금리[25]·운봉리[26]·응촌리
  • 황해도 평산군 인산면 건천리[27]
  • 황해도 평산군 적암면 녹동리
  • 황해도 해주군 추화면 만송리

5.5.3. 평안

  • 평안남도 강동군 삼등면 반룡리
  • 평안남도 강서군 강서면 현봉리
  • 평안남도 강서군 성암면 주산리[28]
  • 평안남도 안주군 안주읍 장상리
  • 평안남도 양덕군 오강면 봉암리
  • 평안남도 양덕군 화촌면 쌍평리
  • 평안남도 평원군 노지면 석소리
  • 평안남도 평원군 숙천면 도덕리[29]·미남리[30]·백로리·통덕리[31]
  • 평안북도 영변군 남송면 봉지동
  • 평안북도 의주군 월화면 취봉동
  • 평안북도 자성군 여연면 만흥동
  • 평안북도 정주군 이언면 대성동

5.5.4. 함경

  • 함경남도 단천군 광천면 용잠리
  • 함경남도 문천군 명효면 답촌리·유구미리·풍무리
  • 함경남도 북청군 북청읍 죽평리
  • 함경남도 북청군 성대면 보성리
  • 함경남도 신흥군 상원천면 흥평리
  • 함경남도 정평군 주이면 풍양리
  • 함경북도 경흥군 신안면 간의동·명호동
  • 함경북도 성진군 학성면 금천동
  • 함경북도 경흥군 웅기면 웅상동

5.6. 영해 신씨(평산 신씨 판사공파) 집성촌

  •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구미리
  •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금호리
  •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회리
  •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대지리·덕산리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신안리[32]
  • 경상북도 영양군 입암면 노달리
  •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신촌리·합강리[33]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중평리[34]

6. 유명 인물

6.1. 역사 인물

6.2. 31세손

'신태(泰)○' 항렬이다.

6.3. 32세손

'신○균(均)' 항렬이다.

6.4. 33세손

'신현(鉉)○' 항렬이다.

6.5. 34세손

'신○순', '신○철', '신○식' 항렬이다.

6.6. 35세손

'신상○', '신동○'이라는 이름의 십중팔구는 이쪽이다.[45][46]

6.7. 36세손

6.8. 37세손

'신기○', '신재○' 항렬이다.

6.9. 38세손

'신○호' 항렬이다.

6.10. 계보 불명



[1] 개국공신 1등, 삼한공신, 태조 태묘 배향공신.[2]팔공산.[3] 태조 왕건 방영 당시 신숭겸 역을 맡은 김형일에게 자신들의 시조를 잘 연기해 달라는 응원을 했다. 공산 전투 편이 방영될 때 평산 신씨 종친회에서 단체로 모두 모여서 TV를 시청하였으며 신숭겸이 전사한 에피소드에서 단체로 TV를 향해 절을 올렸다는 일화도 존재한다. KBS Drama Classic의 신숭겸 전사 장면 하이라이트 클립 덧글에도 '시조님을 저렇게 폭풍간지로 묘사했으니 당연히 후손들이 절을 올릴 만하다.'는 평이 있다.[4] 본명은 신태호(申泰浩), 신돌석은 아명(兒名)이다. 평민출신 의병장으로 유명하며 태백산의 호랑이라는 별명이 있다. 신분은 평민이지만 부친이 재산을 많이 모아 지역 유지였으며, 덕분에 양반들과 같은 서당에서 글 공부를 할 수 있었다. 훗날 집안 재산을 털어 의병활동을 시작한다. 본래 윗대는 지방 향리직을 맡는 양반이었으나 조부 때쯤부터 잔반(殘班)이 되어 평민으로 신분이 강등되었다 한다.[5] 조선후기 단양 사족의 동향과 평산 신씨의 향촌사회 활동 논문과 집에 있는 족보 참고.[6] 고려 말 판예빈시사(判禮賓寺事)를 지낸 15세손 신득청(申得淸)을 분파조로 하는데, 신득청의 조부 신현(申賢)이 영해군(寧海君)에 봉해져 이후 후손들이 경상도 영해 지방에 많이 살았기 때문에 평산 신씨 영해파라고도 한다. 한편, 신득청의 셋째 아들 신자성(申自誠)은 포은 정몽주의 문하생이었는데, 1401년(태종 1) 조정에서는 과거 이방원이 살해한 정몽주 등에 대한 벼슬을 증직하자는 논의가 있었다. 이때 신자성은 이방원은 이러한 논의를 할 자격이 없다며 상소하였고, 낙향하였다가 그해 병으로 죽었다. 그런데, 권근 등이 그의 사후 사건을 파헤쳐 결국 신자성은 부관참시당했고 가문은 멸문지화의 위기에 빠졌다. 이때 원천석이 신득청의 장남인 신예(申藝)의 아들들을 거두어 장성한 후에 그들에게 '본관을 평산이라 하지 말고 영해라 하여라. 그리고 세월이 오면 평산으로 복본하여라'고 당부하였다. 이때부터 신득청의 후손들은 1960년 평산 신씨로 복관하기 전까지 줄곧 '영해 신씨'로 본관을 칭하였다.#@[7] 남북에 걸친 비무장지대이다.[8] 남북에 걸친 비무장지대이다.[9] 독립유공자 신팔균이 이 마을 출신이다.[10] 소설가 신경숙이 이 마을 출신이다.[11] 독립유공자 신용희가 이 마을 출신이다.[12] 독립유공자 신만희·신준희가 이 마을 출신이다.[13] 계명문화대학 초대 학장이자 신일희 계명대학교 총장의 선친인 신태식(申泰植)과 독립유공자 신동호·신익한·신필호가 이 마을 출신이다.[14] 신동관 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15] 신영복 전 성공회대학교 경제학부 교수가 이 마을 출신이다.[16] 독립유공자 신기균이 이 마을 출신이다.[17] 독립유공자 신영안이 이 마을 출신이다.[18] 독립유공자 신갑선이 이 마을 출신이다.[19] 독립유공자 신원순이 이 마을 출신이다.[20] 북한 측의 비무장지대이다.[21] 독립유공자 신경빈이 이 마을 출신이다.[22] 독립유공자 신환이 이 마을 출신이다.[23] 독립유공자 신혁희가 이 마을 출신이다.[24] 독립유공자 신도희·신문칠이 이 마을 출신이다.[25] 독립유공자 신세균이 이 마을 출신이다.[26] 독립유공자 신필수가 이 마을 출신이다.[27] 독립유공자 신복균이 이 마을 출신이다.[28] 독립유공자 신동윤이 이 마을 출신이다.[29] 독립유공자 신악·신영삼이 이 마을 출신이다.[30] 독립유공자 신언준·신영일이 이 마을 출신이다.[31] 독립유공자 신두식이 이 마을 출신이다.[32] 독립유공자 신경동이 이 마을 출신이다.[33] 독립유공자 신상용이 이 마을 출신이다.[34] 독립유공자 신동환·신두환·신범희·신상두·신상선·신상익·신철희가 이 마을 출신이다.[35] 출처: <우리겨레 위인이야기> - 윤승운[36] 옛 이름은 신태서(申泰瑞) / 신태익(申泰益)이며 형제들도 이름이 '신태O'이다. '태(泰)O'자 돌림을 쓴 것.[37] 본래는 신현x로 "현"자가 가운데에 들어가야 하지만, 어찌된 영문인지 "현"자가 뒤로 빠졌다. 후술할 신중현의 경우도 마찬가지다.[38] 라디오 스타에서 부친이 32세손 "均"자 항렬이라고 언급했었다. 고로 원래는 33세손 "鉉"자 항렬이지만 항렬자를 쓰지 않은 케이스.[39] 전술한 신의현의 경우처럼 본래는 신현O로 "현"자가 가운데에 들어가야 하지만, 어찌된 영문인지 "현"자가 뒤로 빠졌다.[40] 아버지가 균(均)자 항렬이다.[41] 본래는 신O순으로 "순"자가 뒤에 들어가야 하지만, 어찌된 영문인지 "순"자가 가운데로 빠졌다.[42] 역사학 교수로 역사저널 그날에도 출연한 바 있다.[43] 아버지와 할아버지가 각각 항렬자를 사용하고 있다.[44] 아버지가 '鉉'자 항렬이다.[45] 신해철의 아들도 여기 들어간다.[46] 단, 범 롯데가 사람들은 해당되지 않는다. 애당초 본관과 한자가 다른데, 본관은 평산 신씨가 아니라 영산 신씨이며 한자는 펼 신(申)자가 아니라 매울 신(辛)자를 쓴다.[47] 신정환과 마찬가지로 항렬자를 쓰지 않은 케이스. 원래 이름은 신동학이었지만 어린시절 개명을 했다고 한다. 호적상에는 여전히 신동학으로 기재되어 있다. 라디오 스타 출연 당시 부친이 신중철(1931년생)로 34세손 "澈"자 항렬이라고 언급했었다. 고로 원래는 35세손 "東"자 항렬이다. 당시 진행자로 활약하던 신정환에게는 항렬상 손자뻘이 되는 셈. 그래서 신정환이 말 놓아도 되냐고 농담했을때 신승훈이 발끈하면서 "야...!"라고 응수했다. 가수 커리어로 치면 당연히 신승훈(1990년 데뷔)이 신정환(1994년 데뷔)보다 선배다. 진지하게 따져보면, 자기보다 어린 사람이어도 항렬이 높으면 존댓말을 쓰는게 원칙이지만 상대방 역시 자기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이므로 존댓말을 해야 한다. 대신 신승훈의 남동생은 신동은(1970년생)으로 항렬을 따랐다.[48] 증조부가 ○균 항렬이다.[49] 한때 고령 신씨로 잘못 알려져 있었다.[50] 본래는 신x용으로 "용"자가 뒤에 들어가야 하지만, 어찌된 영문인지 "용"자가 가운데로 빠졌다.[51] 다만 항렬자를 쓰지 않고, 항렬자와 발음이 같은 한자를 썼다. 이는 그의 아들들도 마찬가지.[52] 부친이 36세손 '燮'자 항렬을 사용한다.[53] 다만 항렬자를 쓰지 않고, 항렬자와 발음이 같은 한자를 썼다. 이는 그의 동생과 아버지도 마찬가지.[54] 아들이 38세손이라 37세손이 된다. 다만 항렬자를 쓰지 않고, 대신 항렬자에 해당되는 글자가 하명자에 붙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