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11, #a11 20%, #a11 80%, #a11);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단장 | ||||
김원봉 | |||||
고문 | |||||
김대지 | 황상규 | ||||
단원 | |||||
강세우 | 강인수 | 고인덕 | 곽재기 | ||
권정필 | 권준 | 김광추 | 김기득 | ||
김방우 | 김병현 | 김상옥 | 김상윤 | ||
김성숙 | 김시현 | 김익상 | 김지섭 | ||
김철호 | 나석주 | 남정각 | 박문희 | ||
박자혜 | 박재혁 | 박차정 | 박희광 | ||
배동선 | 배중세 | 배치문 | 서상락 | ||
송천흠 | 신악 | 신영삼 | 신채호 | ||
신철휴 | | 유자명 | 윤세주 | ||
윤치형 | 이구연 | 이병철 | 이병희 | ||
이성우 | 이수택 | 이육사 | 이종암 | ||
이태준 | 정이소 | 최수봉 | 황옥불확실 | ||
최용덕 | 한봉근 | 한봉인 | 홍가륵 | ||
유시태 | 이원대 | 이원기 | 윤병구 | ||
유석현 | 정율성불확실 | 문시환 | 이춘암 | ||
| |||||
조선혁명선언 • 황옥 경부 폭탄사건 | }}}}}}}}}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 |
이명 | 신용재(申用才) |
본관 | 평산 신씨[1] |
출생 | 1896년 1월 27일 |
평양부 숙천군 우상방 도덕리[2][3] (현 평안남도 숙천군 용덕리) | |
사망 | 1946년[4] 2월 4일 (향년 50세) |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대조리 (현 서울특별시 은평구 대조동) | |
묘소 | 국립서울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54호 |
상훈 | 건국훈장 독립장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5]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2. 생애
신영삼은 1896년 1월 27일 평안도 숙천군 우상방 도덕리(현 평안남도 숙천군 용덕리)에서 태어났다.그는 1916년 3월 31일 경성부에서 조선총독부의원 부속 의학강습소 의학과를 졸업하고, 1918년 중화민국 봉천성 심양현(瀋陽縣)으로 건너가 재중동포들을 상대로 하는 의료사업 및 민족사상 고취에 전념하였다.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이에 호응하여 만주에서도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그후 상하이로 건너가 유동열·김규식 등과 함께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가담하여 활동하였으며, 중국항공창의 군의관으로서 대일항쟁에 참가하였다.
1932년 4월에는 윤기섭·신익희·최용덕(崔容德)·왕웅·민병길·김사집(金思潗) 등과 같이 조선혁명당을 조직하여 그 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그후 난징에서 중국으로 복무하면서 의열단에 가입하여 김원봉·이종희·김용재(金容宰)·권준·김용기(金容基) 등과 중견 군사간부를 양성하는데 기여하였다.
1936년에는 충칭에서 의료업에 종사하면서 나창헌과 함께 독립운동을 측면 지원하였다.
1942년 10월에는 유자명·심광식·김현구(金玄九) 등과 임시정부 임시의정원 의원에 선임되어 평안도 대표로 의정활동에 참여하여 8.15 광복 때까지 활동하였다. 또한 1944년 3월에는 조선민족혁명당을 창당하여 상무위원이 되었으며, 1945년 2월 8일에는 신한민주당(新韓民主黨)의 중앙집행위원에 취임하는 등 광복 때까지 독립운동에 종사하였다.
이후 귀국하여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대조리(현 서울특별시 은평구 대조동)에 거주하다가 1946년 2월 4일 별세하였다.
196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독립장에 추서되었다. 그리고 그의 유해는 1968년 9월 18일 국립서울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이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