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 264에 대한 내용은 264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11, #a11 20%, #a11 80%, #a11);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단장 | |||
김원봉 | ||||
고문 | ||||
김대지 | 황상규 | |||
단원 | ||||
강세우 | 강인수 | 고인덕 | 곽재기 | |
권정필 | 권준 | 김광추 | 김기득 | |
김방우 | 김병현 | 김상옥 | 김상윤 | |
김성숙 | 김시현 | 김익상 | 김지섭 | |
김철호 | 나석주 | 남정각 | 박문희 | |
박자혜 | 박재혁 | 박차정 | 박희광 | |
배동선 | 배중세 | 배치문 | 서상락 | |
송천흠 | 신악 | 신영삼 | 신채호 | |
신철휴 | | 유자명 | 윤세주 | |
윤치형 | 이구연 | 이병철 | 이병희 | |
이성우 | 이수택 | 이육사 | 이종암 | |
이태준 | 정이소 | 최수봉 | 황옥불확실 | |
최용덕 | 한봉근 | 한봉인 | 홍가륵 | |
유시태 | 이원대 | 이원기 | 윤병구 | |
유석현 | 정율성불확실 | 문시환 | 이춘암 | |
공약 10조
| ||||
5파괴 | ||||
7가살 | ||||
조선혁명선언 • 황옥 경부 폭탄사건 | }}}}}}}}}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본명 | 이원록(李源祿)[1] |
이명 | 이원삼(李源三) |
필명 | 이활(李活), 대구이육사(大邱二六四), 육사(肉瀉·戮史·陸史)[2] |
자 | 태경(台卿) |
본관 | 진성 이씨[3] |
출생 | 1904년 5월 18일 (음력 4월 4일) |
경상북도 예안군 의동면 원촌동 원촌마을 (現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4] 706)[5] | |
사망 | 1944년 1월 16일[6] (향년 39세) |
중화민국 허베이성 베이핑시 주재 일본 제국 총영사관 교도소 (現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 |
묘소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 산4-1[7] |
부모 | 아버지 이가호 (1878 ~ 1941) 어머니 허길 (1876 ~ 1941) |
형제자매[8] | 형 이원기 (1899 ~ 1942) 남동생 이원일 (1906 ~ ?)[9] 남동생 이원조 (1909 ~ 1955) 남동생 이원창 (1914 ~ ?)[10] 남동생 이원홍[11] |
배우자 | 안일양[12] (1905 ~ 1983) |
자녀 | 아들(친자) 이동윤 (1930 ~ 1932) 아들(양자) 이동박 (1941년생)[13] 장녀 이경영 차녀 이옥비 (1941년생)[14] |
신체 | 165cm[15] |
종교 | 유교(성리학)출처 |
학력 | 보문의숙 (졸업) 긴조예비학교[16] (중퇴) 중국대학[17] (상과 / 2년 중퇴) 교남학원 (중퇴)[18] |
조직 | 의열단 |
상훈 | 건국포장,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금관문화훈장 추서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시인. 본관은 진성(眞城), 호는 육사(陸史), 본명은 이원록(李源祿) 또는 이원삼(李源三). 한때 이활(李活)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한 적도 있으며 후에 자신의 수감번호였던 264를 따 와 이육사로 개명했다. 윤동주, 한용운과 더불어 일제강점기의 저항 시인으로 유명하다.퇴계 이황의 14대손이다. 독립유공자 이광호(李洸鎬)와 독립유공자 이영호(李寧鎬)는 그의 9촌 삼종숙(三從叔)이다.
2. 생애
1904년 5월 18일[19] 경상북도 예안군 의동면 원촌동(現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 원촌마을) 881번지에서 퇴계 이황의 13대손인 아버지 이가호(李家鎬, 1878 ~ 1941.4.26.)와 어머니 김해 허씨 허길(許吉, 1876 ~ 1942. 4. 29)[20] 사이의 6형제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영천군 화북면 오동리(梧洞里) 사람 안용락(安庸洛)의 딸 안일양(安一陽, 1906.11.7. ~ 1983)과 결혼하였다.[21]연보이육사의 딸인 이옥비 여사의 증언에 따르면, 1934년 육사와 정치군사간부학교 1기생 동기인 처남 안병철(安炳喆)이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하다 잡혀들어간 후 고문을 이기지 못하고 한 자백으로 여러 사람이 체포되어 죽거나 다쳤다. 이 일 때문에 이육사는 크게 분노해 안병철의 뺨을 때린 후 장인과 처삼촌에게 두루마리 6장이나 되는 편지를 보내 더러운 피의 일족(부인 안일양을 지칭)인 사람을 더는 받아들일 수 없으니 데려가라 전했다고 한다. 심지어 그 일 이후 무려 7년 동안이나 본가에 들러도 부모님께 인사만 드리고 잠은 여관에서 잤다고 한다.[22]#
어린 시절 대한제국 시기 장릉(章陵) 참봉을 지낸 조부 이중직(李中稙, 1847 ~ 1916. 1. 17)에게서 소학을 배우는 등 한학을 공부하다가 조부가 사망한 1916년, 그의 가문인 진성이씨 문중에서 설립한 보문의숙(이후 도산공립보통학교로 개칭)에서 수학하기 시작하였다. 이 경험으로 그는 훗날의 창작 활동에서 한학을 배운 흔적이 보인다.[23] 졸업 후 1920년 가족들이 모두 대구부 남산정(現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662번지로 이주하여 정착했다. 19살 때 영천군의 사립 백학학원(白鶴學院)의 교원으로 9개월간 근무하였고 1924년 4월 일본 도쿄에 유학하여 킨죠(錦城) 예비학교를 1년간 다니다가 중퇴하였다. 1925년 8월 중국 베이징으로 유학하여 중국대학(中國大學) 상과에 입학하였으나 2학년 때 중퇴하였다.#
1927년 장진홍(張鎭弘)의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 사건에 연루되어 대구형무소에서 1년 7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그 때의 수인번호인 264에서 따서 호를 '육사'라고 지었다.[24][25][26]
출소 후 1929년 5월부터 중외일보 대구지국 기자로 1년간 근무했다. 1930년 1월 3일 이활이라는 이름으로 첫 시 <말>을 조선일보에 발표한다. 이때 후에 교보생명을 창업하게 되는 신용호에게도 영향을 미쳐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고, 나아가 교육보험사업에 설립하는데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27]
1931년 8월에는 조선일보 대구지국 기자로 전직하였으나 1932년 3월 퇴사하였다. 같은 해 4월 만주국 펑톈으로 가서 의열단 핵심단원 윤세주를 만나 의열단 입단을 권유받고 곧 난징에 있는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28]에 1기로 입교하였다. 이곳에서 그는 폭탄·탄약·뇌관 등의 제조법과 투척법 그리고 피신법·변장법·무기운반법 등을 배웠으며 권총 사격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고 전한다.
1933년 4월 졸업 후 7월경 귀국하여, 육사라는 필명으로 시 《황혼(黃昏)》을 《신조선(新朝鮮)》에 발표했다. 신문사·잡지사를 전전하면서 시작 외에 논문·시나리오까지 손을 댔고, 루쉰의 소설 《고향(故鄕)》을 번역하였다. 그러나 1934년 3월, 의열단 및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출신자라는 이유로 경성부 본정경찰서에 검거된 뒤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어 혹독한 고문을 받았으며 7월에야 기소유예로 풀려날 수 있었다.##2
1934년 6월 20일, 의열단 관련자로 투옥되었을 때 서대문형무소에서 촬영된 사진. |
1937년 윤곤강(尹崑崗)·김광균(金光均) 등과 함께 동인지 《자오선(子午線)》을 발간, 그 무렵 유명한 《청포도(靑葡萄)》를 비롯하여 《교목(喬木)》 《절정(絶頂)》 《광야(曠野)》 등을 발표했다.
1943년 베이징으로 건너갔다가 어머니와 큰형의 소상을 위해 5월에 귀국했다가 이 해 6월 동대문경찰서 형사에게 체포되어 베이징으로 압송되었고 이듬해 베이징 주재 일본총영사관 교도소에서 옥사하였다. 둘째동생 이원창과 함께 의열단에서 활동했던 이병희가 그의 유해를 수습하여 서울 미아리 공동묘지에 안장했고, 1960년 안동시에 이장됐다. 1968년에는 안동시에 그의 시비가 건립됐다. 2004년에 이육사 문학관이 세워졌고, 안동시에서는 안동 강변도로를 "이육사로"로 개칭했다. 강변 도로를 타고 안동댐으로 가면 수몰지구 민속촌 입구에 시인의 대표 시인 광야 시비가 세워져 있으며, 도산면 서부리와 도산서원을 지나 온혜리 도산면사무소 교차로에서 토계리 방향으로 들어가면 원천리에 이육사 문학관과 청포도 시비가 세워져 있다.
3. 기타
- 그의 경력이 독립운동에 매진한 것으로(옥살이만 17번) 채워진 덕분인지 그는 윤동주와 함께 '저항 시인'으로서 평가받게 되었으며 실제로 1943년부터는 한글 사용에 대해 탄압을 가해오자 한시만 쓰는 식으로 붓을 꺾지 않으면서도 저항의 의지를 굽히지 않았다.[29][30] 하지만 현재 윤동주는 서훈이 3급이고 이육사는 서훈이 4급이다. 이로 인해 많은 이들이 보훈부에 정정을 요구하였으나 보훈부에서는 안 된다는 말만 있어 왔다. 아무래도 윤동주는 문단에서 힘깨나 쓰는 분들과 엮일 일이 없었으므로 거부감이 적었으나 이육사는 문단에서 숨기고 싶은 일들이 많은 분들과 엮여 왔던 만큼 그의 이름이 언급되면 불편한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동생부터 남로당계 고위인사라 북한 사회주의 정권과의 연결성을 부정할 수 없는 것도 문제다. 현대에야 이런 연좌제적인 사상을 거의 적용하지 않고 대중들도 이육사 시인의 동생에 대해 거의 알지도 못하지만 여러 요건이 얽혀 영향이 없다고 보기는 어렵다.
- 동생뿐만 아니라 이육사 본인도 마르크스-레닌주의자였다. 1931년에는 김원봉에 대해 중국국민당의 지원을 받음으로써 "중국의 부르주아 계급과 야합"하고, "사상이 애매하고 비계급적"이라고 비판했다. 또한코민테른의 일국일당주의를 위반하여 "조선인이 중국에서 조선의 혁명 사업을 한다는 것은 그 사람의 혁명적 정조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가 1933년 국내에서 발표한 '자연과학과 유물변증법'이라는 글도 그의 이념적 성향을 잘 보여준다.# 그가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졸업식 때 지은 연극 '지하실'에서는 조선에 공산제도가 실현되고, 토지는 국유화되고, 노동자와 농민이 지배하는 사회가 실현돼, 마지막으로 '조선혁명 성공 만세'를 외치는 내용이어서 그가 독립운동의 방향을 사회주의 혁명으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하상일 동의대 교수는 "이육사 연구는 사회주의적 성격에 대해서는 사실상 함구하고 있었다. 반공주의의 감옥에 갇혀버린 우리 현대사의 억압으로 인해 이육사의 민족주의는 보수적 민족주의에 기반한 주자학적 전통주의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으로 획일화되어 버리고 만 것"이라고 지적했다.@
- 전체적으로 그의 시를 평가하자면 윤동주가 부끄러움과 반성, 기독교적 희생을 주로 다루고 있다면 이육사는 강인하면서 비장함을 지니고 극한에 서서도 굴하지 않는 의지를 표출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육사의 시가 주제가 명확하게 드러난다고 해서 수능에 나오면 난이도가 쉽다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건 딱 쉬운 난이도의 해석으로만 유도하는 고교 교육과정까지만 통하는 소리다. 이육사의 시는 상징적인 시어가 많아 의미 자체를 해석하기 어려워 이육사의 시 앞에서는 자동으로 무릎을 꿇어야 한다는 말까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능에서 윤동주와 함께 많이 출제된 작가인데 이는 친일 행적이 없기 때문. 199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자야곡, 199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꽃이,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교목이,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강 건너간 노래가,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초가가 출제되었다.
- 오늘날 교과서에서 저항시인의 대표주자로 배우고, 그의 작품이 종종 교과서에 실리는 만큼 단순히 '저항시인'으로만 기억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는 '저항시인'이라는 수식어조차 부족해 보일 정도로 평생을 초인적인 삶을 살았다. 이미 20대 초반 무렵무터 각종 독립 운동에 연관되어 감옥살이를 했으며 만주까지 건너가서 독립운동을 했고 조선 독립군이 사용할 무기 반입 계획에 몸소 참여하기도 했다. 그야말로 마흔 남짓한 짧은 인생이었지만 위대하게 불타오른 애국지사의 표상이다.
- 일제강점기의 문인들 중 가장 적극적으로 독립운동을 한 인물이다. 39년의 인생 동안 옥살이만 17번을 했다는 사실이 그의 삶을 대변한다.
- 도산서원 근처에 있는 이육사문학관에 가면 이육사의 딸인 이옥비(1941년~)를 만날 수도 있다. 물론 운이 좋아야 한다. 문학관 뒤편에 거주하고 있다. 2013년 11월 3일 안동대학교 선비캠프에서 도산서원 방문 뒤인 다음날 이육사문학관 관람과 더불어 그를 만나서 인생 및 이육사의 딸이라는 위치 등등 여러 이야기를 강연하였다. 2007년부터 이육사문학관 근처에 있는 목재고택에서 거주하면서 문학관에 왕래한다.[31]
- 동생인 이원조는 좌파 문인으로 활약하다가 해방 후에 북한 정권에서 고위직을 맡았다. 물론 박헌영과 더불어 숙청되는데, 여러 이설이 있지만 1955년경에 정치범수용소에서 옥사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때문에 이육사 역시나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이기는 하지만, 해방 이후 북한 정부 수립과는 관련이 없는데도 괜히 동생 때문에 언급되기도 한다. 이육사 생전에 작품집이 발간된 적은 없었고, 이원조가 광복 후 1946년에 형의 작품집을 발간한다.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청림동에 청포도 문학공원이라는 작은 기념공원이 있다. 오랜 수형생활로 건강이 안 좋아진 이육사는 한학자인 사촌형 이종형이 있던 청림동으로 휴양을 왔는데 당시 이곳은 60만평 크기의 동양 최대의 청포도 농장[32]이 있어 이를 보고 이육사의 대표작 청포도가 만들어 졌다고 알려짐에 그를 기리기 위해 조성되었다.
- 2019년 2월 26일 이육사 선생의 새로운 사진과 친필이 적힌 사진이 발견돼 처음으로 공개됐다. #
동생인 이원일, 친구인 조규인과 함께 찍은 20대의 이육사(우측)의 사진.
- 2019년 6월 18일자 한국일보 기사에 의하면, 이육사 선생은 대나무로 살점을 떼내는 고문을 받았다고 한다. #
- 생전에 상당한 주당이었다. 절친한 시인이었던 신석초의 언급에 따르면 조용히 말술을 마시는 시인이었다고 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술에 취해 민폐를 끼치는 일은 전혀 없었다고 하니 주량은 물론 자제력 또한 상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4. 대중매체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122회 칼날 위에서 노래하다 - 이육사 |
- 2024년 4월 4일 SBS 교양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에 이육사의 일대기가 소재로 등장했다. 타이틀 칼날 위에서 노래하다는 이육사의 대표작인 절정의 구절 중 서릿발 칼날진 그 위에 서다를 인용 및 변형한 것으로 보인다.
5. 작품
이육사의 시는 독립운동 지사로서의 강한 의지를 담은 시들이 많지만, 고통스러운 현실에서 느끼던 인간적인 고뇌를 담은 시들도 존재한다. 대표 시로는 <황혼>, <절정>, <광야>, <꽃>, <교목>이 있다.황혼 이육사 내 골방의 커-튼을 걷고 정성된 맘으로 황혼을 맞아들이노니 바다의 흰갈매기들같이도 인간은 얼마나 외로운 것이냐 황혼아 네 부드러운 손을 힘껏 내밀라 내 뜨거운 입술을 맘대로 맞추어 보련다 그리고 네 품안에 안긴 모-든 것에 나의 입술을 보내게 해다오 저-십이성좌의 반짝이는 별들에게도 종소리 저문 삼림 속 그윽한 수녀들에게도 시멘트 장판 위 그 많은 수인들에게도 의지가지없는 그들의 심장이 얼마나 떨고 있을까 고비 사막을 걸어가는 낙타 탄 행상대에게나 아프리카 녹음 속 활 쏘는 토인들에게라도 황혼아 네 부드러운 품안에 안기는 동안이라도 지구의 반쪽만을 나의 타는 입술에 맡겨다오 내 오월의 골방이 아늑도 하오니 황혼아 내일도 또 저-푸른 커-튼을 걷게 하겠지 암암히 사라지긴 시냇물 소리 같아서 한번 식어지면 다시는 돌아올 줄 모르나 보다 |
섣달에도 보름께 달 밝은 밤 앞내강 쨍쨍 얼어 조이던 밤에 내가 부른 노래는 강 건너갔소 강 건너 하늘 끝에 사막도 닿은 곳 내 노래는 제비처럼 날아서 갔소 못 잊을 계집애 집조차 없다기에 가기는 갔지만 어린 날개 지치면 그만 어느 모래불[37]에 떨어져 타서 죽겠죠 사막은 끝없이 푸른 하늘이 덮여 눈물 먹은 별들이 조상 오는 밤 밤은 옛일을 무지개보다 곱게 짜내나니 한 가락을 여기 두고 또 한 가락 어디멘가 내가 부른 노래는 그 밤에 강 건너갔소. |
수만호 빛이라야 할 내 고향이언만 노랑나비도 오쟎는 무덤 위에 이끼만 푸르리라 슬픔도 자랑도 집어삼키는 검은 꿈 파이프엔 조용히 타오르는 꽃불도 향기론데 연기는 돛대처럼 날려 항구에 들고 옛날의 들창마다 눈동자엔 짜운 소금이 저려 바람 불고 눈보라 치쟎으면 못살이라 매운 술을 마셔 돌아가는 그림자 발자취 소리 숨 막힐 마음속에 어데 강물이 흐르뇨 달은 강을 따르고 나는 차디찬 강맘에 들리라 수만호 빛이라야 할 내 고향이언만 노랑나비도 오쟎는 무덤 위에 이끼만 푸르리라 |
청포도 이육사 내 고장 칠월은 청포도가 익어가는 시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저리주저리 열리고 먼 데 하늘이 꿈꾸려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열고 흰 돛단배가 곱게 밀려서 오면 내가 바라는 손님은 고달픈 몸으로 청포(靑袍)를 입고 찾아 온다고 했으니,[39] 내 그를 맞아, 이 포도를 따 먹으면 두 손은 함뿍 적셔도 좋으련. 아이야, 우리 식탁엔 은쟁반에 하이얀 모시 수건을 마련해 두렴. |
광야 이육사 까마득한 날에 하늘이 처음 열리고 어디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 모든 산맥들이 바다를 연모(戀慕)해 휘달릴 때도 차마 이 곳을 범(犯)하던 못하였으리라. 끊임없는 광음(光陰)을 부지런한 계절이 피어선 지고 큰 강물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 지금 눈 내리고 매화 향기 홀로 아득하니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다시 천고(千古)의 뒤에 백마 타고 오는 초인(超人)이 있어 이 광야에서 목놓아 부르게 하리라 |
절정 이육사 매운 계절의 채찍에 갈겨 마침내 북방으로 휩쓸려 오다. 하늘도 그만 지쳐 끝난 고원 서릿발 칼날진 그 위에 서다. 어디다 무릎을 꿇어야 하나 한 발 재겨 디딜 곳조차 없다. 이러매 눈 감아 생각해 볼밖에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40][41]가 보다. |
꽃 이육사 동방은 하늘도 다 끝나고 비 한 방울 내리잖는 그때에도 오히려 꽃은 빨갛게 피지 않는가 내 목숨을 꾸며 쉬임 없는 날이여 북쪽 툰드라에도 찬 새벽은 눈 속 깊이 꽃맹아리가 옴작거려 제비떼 까맣게 날아오길 기다리나니 마침내 저버리지 못한 약속이여 한바다 복판 용솟음 치는 곳 바람결 따라 타오르는 꽃 성에는 나비처럼 취하는 회상의 무리들아 오늘 내 여기서 너를 불러 보노라 |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이육사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0> 가족 | 아버지 이가호 · 어머니 허길 · 형 이원기 · 남동생 이원조 | |
작품 | <청포도> · <절정> · <교목> · <꽃> · <광야>,(백마 탄 초인), | ||
관련 단체 | 의열단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이달의 문화인물 (1990-1997)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90년 | |||||
7월 김정희 | 8월 장영실 | 9월 김소월 | 10월 세종대왕 | 11월 김홍도 | 12월 신재효 | |
1991년 | ||||||
1월 나운규 | 2월 정철 | 3월 한용운 | 4월 김정호 | 5월 방정환 | 6월 정약용 | |
7월 문익점 | 8월 안익태 | 9월 허준 | 10월 주시경 | 11월 윤선도 | 12월 이해랑 | |
1992년 | ||||||
1월 이황 | 2월 정선 | 3월 박지원 | 4월 우장춘 | 5월 신사임당 | 6월 류성룡 | |
7월 일연 | 8월 홍난파 | 9월 고유섭 | 10월 이윤재 | 11월 안창호 | 12월 윤동주 | |
1993년 | ||||||
1월 이이 | 2월 이인문 | 3월 장보고 | 4월 이천 | 5월 윤극영 | 6월 원효 | |
7월 지석영 | 8월 안중근 | 9월 박연 | 10월 최현배 | 11월 장지연 | 12월 윤백남 | |
1994년 | ||||||
1월 우륵 | 2월 황희 | 3월 김유정 | 4월 홍대용 | 5월 강소천 | 6월 이상백 | |
7월 안견 | 8월 박은식 | 9월 박승희 | 10월 이희승 | 11월 정도전 | 12월 신채호 | |
1995년 | ||||||
1월 강세황 | 2월 조식 | 3월 월터 정 | 4월 최무선 | 5월 이원수 | 6월 김병로 | |
7월 이육사 | 8월 김구 | 9월 채동선 | 10월 김윤경 | 11월 이수광 | 12월 곽재우 | |
1996년 | ||||||
1월 김만중 | 2월 최치원 | 3월 이순지 | 4월 서재필 | 5월 김명국 | 6월 유일한 | |
7월 도선 | 8월 심훈 | 9월 왕산악 | 10월 정인승 | 11월 전형필 | 12월 이제마 | |
1997년 | ||||||
1월 송석하 | 2월 성현 | 3월 최윤덕 | 4월 이중환 | 5월 초의 (의순) | 6월 한호 | |
7월 이세보 | 8월 박제가 | 9월 박진 | 10월 장지영 | 11월 왕인 | 12월 송진우 | |
※ 선정 당시 기관명은 문화부(1990~1993) → 문화체육부(1993~1998) → 문화관광부(1998~2005)였다. | ||||||
이달의 문화인물(1998-2005) | }}}}}}}}} |
한국의 현대문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ddd><colbgcolor=#87cefa,#010101><colcolor=#fff,#ddd> 연대 | 서정 갈래 | 서사 갈래 | |||||||||||
1910년대 | 상징주의 시 (김억) · 현대적 자유시 (주요한) | 신소설 (이인직 · 이해조 · 최찬식) | ||||||||||||
1920년대 동인지 시대 | 감상적·퇴폐적 낭만주의 시 (이상화) · 김소월[1] · 한용운[2] | 감상적·퇴폐적 낭만주의 소설 (김동인) | 자연주의 · 사실주의 소설 (염상섭 · 현진건) | |||||||||||
신경향파 문학 | 국민 문학파 (신민요 운동 · 시조 부흥론) | 신경향파 문학 | 국민 문학파 | |||||||||||
계급주의 문학 | 계급주의 문학 | |||||||||||||
1930년대 | 시문학파[3] (모더니즘 시) · 생명파 · 전원파 | 모더니즘 소설[4] · 장편소설[5] · 농촌소설[6] · 역사소설[7] | ||||||||||||
1940년대 ~ 광복 | 청록파 · 저항시 (이육사 · 윤동주 · 신석정) | 국문학의 암흑기[8] | ||||||||||||
광복 ~ 1950년대 | 이념시(연간조선시집) · 해방기념시집 · 순수시 | 귀향 소설 · 분단 문학 | ||||||||||||
전쟁시 · 모더니즘 시 · 서정시 | 전쟁소설 · 분단 소설 · 귀향 소설 | |||||||||||||
1960년대 | 현실 참여시 | 순수 서정시 | 참여문학 | 순수문학 | ||||||||||
1970년대 | 민중시 · 노동시 | 민중 소설 · 농민·어민 소설 · 노동 소설 · 순수 소설 · 중간소설 · 대중소설 | ||||||||||||
1980년대 | 민중시 · 서정시 · 해체시 | 노동 소설 · 연작소설 · 역사 장편 대하소설 | ||||||||||||
1990년대 ~ 현재 | 생태시 · 해체시 (도시시 · 일상시) · 메타시 · 디카시 | 일상 소설 · 다문화 문학 · 소수자 문학(퀴어, 페미니즘) | 반문학 · 장르소설 | |||||||||||
{{{-2 {{{#!folding [1] 전통적 운율·정서를 계승한 시인.[2] 조국 광복 염원·의지 및 부정적 현실 극복을 다룬 시인.[3] 정치적 이념을 배제한 순수 서정시를 추구한 유파. 특정 사상이나 계급주의적 관점을 강조하던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카프)에 반발하며 등장했으며, 시 동인지 《시 문학》을 중심으로 순수 서정시 운동을 주도했다. 김영랑, 박용철, 정지용, 신석정 등의 시인이 활동했다.[4] 부정적 현실을 지식인의 관점에서 비판한 소설이 많았다. 특히 의식의 흐름 기법이 많이 쓰였다. 대표적으로 이상의 날개와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이 있다.[5] 장편소설 중에서도 일제 강점기에 부정적 인물이 득세하던 현실을 반영한 소설이 이때 주목받았다. 대표적으로 채만식의 태평천하, 염상섭의 삼대가 있다.[6] 계몽주의에 기반한 농촌 계몽 소설, 향토적 삶을 다룬 향토적 농촌 소설, 식민지 지배와 통치 제도의 억압성과 부조리로 인한 농촌의 현실을 다룬 현실 비판적 농촌 소설이 있다.[7] 만주 사변 이후 더욱 극심해진 일제의 사상 통제와 검열을 피해, 역사적 사건을 다루어 민족 의식을 고취하고자 하였다.[8] 당시 일제의 민족말살정책이 중일전쟁과 태평양 전쟁을 거치면서 더욱 심화되어 아예 한국어 사용 자체를 금지할 지경에 이른 관계로 주제 의식이 모호하고 불분명한 몇몇 단편들만 간신히 명맥을 이었다. 대표적으로 순수 소설인 황순원의 '별'이 1941년에 발표되었다. 이 시기에 학창시절을 보낸 전후세대(1920년대생) 작가들은 체계적인 한글 교육을 받지 못한 탓에 다른 세대와 비교도 안되는 굴곡진 인생 경험을 했음에도 이를 풀어내는데 한계가 있었고 이전 세대와 60년대 부상한 한글세대(김승옥 등) 사이에 끼어버렸다. | ||||||||||||||
고전문학 · 장르 문학 | }}}}}}}}} |
금관문화훈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1974 조택원 무용가 | 1975 안수길 소설가 | 1976 홍종인 언론인 | 1977 최석채 언론인 | 1978 방정환 독립운동가, 아동문학가 |
1979 고유섭 미술사학자 | 1980 전봉초 음악가 | 1981 김소월 시인 | 1982 이효석 소설가 | 1982 조지훈 시인 | |
1983 홍승연 언론인 | 1983 천관우 언론인 | 1983 이육사 독립운동가, 시인 | 1984 이원수 아동문학가 | 1984 장발 미술가 | |
1985 강소천 아동문학가 | 1986 홍진기 언론인 | 1987 김남중 언론인 | 1990 모윤숙 시인 | 1990 주시경 독립운동가, 국어학자 | |
1994 김상만 언론인 | 1994 나운영 음악가 | 1994 이숭녕 국어학자 | 1995 공병우 한글연구가 | 1995 김소희 국악인 | |
1995 문신 미술가 | 1995 정명훈 음악가 | 1995 이대원 미술가 | 1995 류경채 미술가 | 1996 송석하 민속학자 | |
1996 신용호 기업인 | 1996 조병화 시인 | 1997 신순남 미술가 | 1997 홍두표 언론인 | 1997 최창봉 언론인 | |
1997 정진숙 출판인 | 1997 고병익 역사학자 | 1998 방우영 언론인 | 1998 김연준 작곡가 | 1999 방일영 언론인 | |
1999 방종현 국어학자 | 1999 김세형 음악가 | 1999 이유태 미술가 | 1999 김흥수 미술가 | 1999 장준하 독립운동가, 언론인 | |
1999 송건호 언론인 | 2000 황순원 소설가 | 2000 백남준 미술가 | 2000 서정주 시인 | 2001 김기창 미술가 | |
2001 김천흥 국악인 | 2001 장우성 미술가 | 2001 김수영 시인 | 2001 최영희 역사학자 | 2002 임권택 영화감독 | |
2002 오지호 미술가 | 2003 박동진 국악인 | 2003 윤석중 아동문학가 | 2004 구상 시인 | 2004 이혜구 음악사학자 | |
2005 박성용 기업인 | 2005 정세영 기업인 | 2006 신상옥 영화감독 | 2006 김동원 연극인 | 2006 차범석 극작가 | |
2006 조남철 바둑기사 | 2007 송도균 언론인 | 2007 노성대 언론인 | 2007 송범 무용가 | 2008 박경리 소설가 | |
2008 이청준 소설가 | 2008 김영랑 시인 | 2009 유현목 영화감독 | 2010 전숙희 수필가 | 2010 앙드레 김 패션 디자이너 | |
2010 김영환 군인, 6.25전쟁기 해인사 폭격명령 거부 | 2011 박완서 소설가 | 2012 지관 해인사 주지 | 2012 이건희 기업인 | 2012 허동수 기업인 | |
2012 김형규 국어학자 | 2013 이우환 미술가 | 2014 호머 헐버트 선교사, 한글 체계화 공헌 및 한글 보급·한글 홍보 공로 | 2014 전형필 문화재수집가 | 2014 이은관 국악인 | |
2016 백성희 연극인 | 2016 임영웅 연극인 | 2017 박맹호 출판인 | 2018 최인훈 소설가 | 2018 이영희 한복 디자이너 | |
2018 정지용 시인 | 2018 황병기 국악인 | 2020 서세옥 미술가 | 2019 김성환 시사만화가, 대표작《고바우 영감》 | 2020 손창근 미술품소장가 | |
2021 윤여정 영화배우 | 2021 이어령 문화부장관, 작가, 정치인 겸 문학평론가 | 2021 박서보 화가 | 2022 송기숙 작가 | 2022 송해 희극인 | |
2022 김우창 문학평론가 | 2022 김지하 시인 | 2022 이정재 배우 | 2022 황동혁 감독 | 2023 이미자 대중음악인 | |
2023 조수미 성악가 | 2023 이미경 기업인 | 2024 이문열 소설가 | }}}}}}}}}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 명문가 석주 이상룡 일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0,#ddd> 성명 | 서훈 내역 | 비고 |
이승화 | 건국훈장 애족장 (1990) | 이상룡의 당숙 | |
이상룡 | 건국훈장 독립장 (1962) | 본인 | |
이상동 | 건국훈장 애족장 (1990) | 이상룡의 동생 | |
이형국 | 건국훈장 애족장 (1990) | 이상동의 장남 | |
이운형 | 건국훈장 애족장 (1990) | 이상동의 차남 | |
이봉희 | 건국훈장 독립장 (1990) | 이상룡의 동생 | |
이광민 | 건국훈장 독립장 (1990) | 이봉희의 장남 | |
이광국 | 미서훈 | 이봉희의 차남 | |
이준형 | 건국훈장 애국장 (1990) | 이상룡의 장남 | |
이병화 | 건국훈장 독립장 (1990) | 이준형의 장남 | |
김우락 | 건국훈장 애족장 (2019) | 이상룡의 배우자 | |
김대락 | 건국훈장 애족장 (1990) | 김우락의 큰오빠 | |
김락 | 건국훈장 애족장 (2001) | 김우락의 여동생 | |
이만도 | 건국훈장 독립장 (1962) | 김락의 장인 | |
이중업 | 건국훈장 애족장 (1990) | 김락의 배우자 | |
김도화 | 건국훈장 애국장 (1990) | 이상룡의 종고모부 | |
강호석 | 건국훈장 애족장 (2011) | 이상룡의 사위 | |
김태동 | 대통령표창 (2003) | 이상동의 사위 | |
허국 | 미서훈 | 이준형의 사위 | |
허은 | 건국훈장 애족장 (2018) | 이병화의 배우자 | |
허발 | 미서훈 | 이병화의 장인 | |
허위 |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1962) | 허은의 제종조부 | |
허길 | 건국포장 (2008) | 허은의 고모 | |
이원기 | 건국훈장 애국장 (1990) | 허길의 장남 | |
이육사 | 건국훈장 애국장 (1990) | 허길의 아들 | |
박경종 | 건국훈장 애족장 (1990) | 이상룡의 매부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 명문가 왕산 허위 일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0,#ddd> 성명 | 서훈 내역 | 비고 |
첫째 허훈 | 건국훈장 애국장 (1990) | 허위의 백형 | |
허종 | 미서훈 | 허훈의 손자 | |
셋째 허겸 | 건국훈장 애국장 (1991) | 허위의 계형 | |
넷째 허위 |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1962) | 본인 | |
허형 | 건국훈장 애국장 (1991) | 허위의 장남 | |
허영 | 미서훈 | 허위의 차남 | |
허준 | 미서훈 | 허위의 삼남 | |
허국 | 미서훈 | 허위의 사남 | |
사촌 허형 | 미서훈 | 허위의 종형 | |
허발 | 미서훈 | 허형의 차남 | |
허은 | 건국훈장 애국장 (2018) | 허발의 장녀 | |
허길 | 건국포장 (2008) | 허은의 고모 | |
허규 | 미서훈 | 허발의 삼남 | |
사촌 허필 | 건국포장 (2019) | 허위의 종제 | |
허형석 | 미서훈 | 허필의 차남 | |
이기영 | 건국훈장 애국장 (2002) | 허위의 사위 | |
이병화 | 건국훈장 독립장 (1990) | 허은의 배우자 | |
이준형 | 건국훈장 애국장 (1990) | 이병화의 부친 | |
이상룡 | 건국훈장 독립장 (1962) | 이병화의 조부 | |
이원기 | 건국훈장 애국장 (1990) | 허길의 장남 | |
이육사 | 건국훈장 애국장 (1990) | 허길의 차남 | }}}}}}}}} |
[1] 사실 이름을 이육사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이는 이육사가 처음 형무소에 들어갔을 당시 죄수번호 였던 264의 발음을 따서 이육사 라는 가명으로 활동하였으며 본명은 알려지지 않았다.[2] #[3] 원촌파(遠村派) 21세 원(源)○ 항렬.(족보)[4] 인근의 의촌리, 토계리, 단천리, 온혜리와 함께 진성 이씨 집성촌이다.[5] 도로명 주소로는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백운로 533-20[6] 음력 1943년 12월 21일.[7] 도로명주소 미발급.[8] 본인을 포함한 형제들이 전부 천수를 누리지 못하고 단명했다.[9] 李源一. 진보이씨상계파세보 하권 542쪽에는 이원유(李源裕)로 등재되어 있다. 1906년 11월 21일생.[10] 李源昌. 1914년 1월 25일생.[11] 李源洪. 화가로 활동하다가 19세 때 요절했다.[12] TV 프로그램 선을 넘는 녀석들에도 잠깐 언급되었다.[13] 李東博. 1941년 11월 13일생. 셋째 남동생 이원창의 셋째 아들이다.[14] 이육사의 장남, 장녀는 어린 나이에 요절해 유일하게 성인으로 성장한 무남독녀. 선을 넘는 녀석들,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122회와 빙그레의 캠페인 '처음 입는 광복'에 출연했다. 남원 양씨 양진호(梁振鎬)와 결혼하여 슬하에 양우영(梁佑榮)·양우석(梁佑錫) 등 두 아들을 두었다.[15] 당시 영남지역 평균키와 비슷하거나 약간 더 컸다. 오늘날의 175~176cm 정도라고 볼 수 있다.[16] 錦城予備学校. 일본 도쿄에 위치한 긴조중학교(錦城中学校. 현재 긴조학원고등학교(錦城学園高等学校)) 내에 설립된 예비학교였다.[17] 베이징대학과 다른 학교로, 1913년 쑨원에 의해 세워졌고 1949년 폐교되었다.#[18] 현 대륜고등학교[19] 음력 4월 4일.[20] 구한말 대한제국군 해산에 반발해 거의한 13도 창의군(정미의병)의 의병장 허위의 사촌 형 허형(許蘅)의 딸이다.[21] 충남지사와 국회의원을 지낸 심대평의 처 안명옥과 안일양은 사촌지간이라고 한다.위키백과 심대평[22] 이후 안병철은 죄책감에 평생 이육사를 보지 못했고, 부인인 안일양 역시 충격으로 여러 차례 자살 기도를 했지만 시어머니의 만류로 살았다고 한다.[23] <청포도>에서 마지막 연에서 '아이야'라는 구절과 같은 것 등을 비롯하여 그의 시 대부분이 한시의 기승전결 구조와 간결한 시행배열을 보이고 있다.[24] 어떤 강사가 학생들에게 이육사의 호를 쉽게 외우도록 하기 위해 지어낸 얘기에 불과하다는 주장이 있으나 사실무근이다. 적어도 1963년 12월 18일자 동아일보에서부터 육사라는 호는 대구형무소 수인번호에서 취음한 것이라고 나오며 1934년 의열단 관련자로 투옥되었을 당시 경성지방법원 검사국 문서에 본명 이활(李活)에 이명 李源三·陸史임이 병기되어 있다.[25] 본명인 이활(李活)로 활동하기도 했다. 본디 '치욕의 역사를 도륙낸다', '현재의 역사(일제강점기 시대였으니...)를 찢어죽이겠다'라는 의미에서 호를 '육시할 육'자에 '역사 사'자를 써 육사(戮史)로 하려고 했으나 호가 매우 거칠고 사나우며 너무 노골적이라는 집안어른 이영우의 권고로 육자를 '뭍 륙'자로 고친 육사(陸史)로 순화했다고 한다. 이렇게 전해지는 이육사 시인의 필명이나 호 등은 육사(陸史), 육사(戮史), 육사(肉瀉), 대구이육사(大邱二六四)라고 한다.[26] 서술 근거가 된 자료는 아래와 같다. "육사 이름, 六四→戮史→肉瀉→陸史로 변천" - 오마이뉴스, 2004년 7월 31일, 항일시인 '육사' 六四→戮史→肉瀉→陸史로 - 동아일보, 2004년 8월 1일, 가족 이야기- 시인 이육사의 딸 李沃非 - 조선일보, 2015년 1월 2일, 《이육사의 육사시집》 구글 도서검색 결과, 한국어 위키백과 '이육사' 문서[27] 다만 이는 교보생명에서 발표한 내용으로서,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출처[28] 정식 명칭은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간부 훈련반 제6대[29] 게다가 두 시인 모두 해방을 목전에 두고 옥사했다.[30] 공교롭게도 두 시인은 각각 북부 출신, 남부 출신이었다.(윤동주 시인은 한반도 출신이 아닌 연변 지역의 용정이 고향이지만 본적은 함북 청진이었다.)[31] 원래 이육사 슬하에 자녀는 1남 2녀이나 장남과 장녀는 일찍 요절해 조카인 이동박을 양자로 들여 대를 이었다.[32] 포항 해군기지가 이 청포도 농장 부지위에 건설되었다.[33] 극본 김항명, 연출 장형일 PD, 1부는 이상화 편으로 백윤식이 열연했고 2부는 윤동주 편으로 태민영이 열연했다.[34] 1989년 KBS 드라마 <바람과 구름과 비>에서는 흥선대원군 역, 1996년 KBS 드라마 <용의 눈물>에서는 정도전 역, 2002년 KBS 드라마 <제국의 아침>에서는 왕식렴 역, 2003년 KBS 드라마 <무인시대>에서는 정중부 역.[35] 배우들의 호연과 세련된 연출로 상당히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휴스턴 영화제 특집극 부문에서 대상을 받았다.[36] 2018 수능에 출제되었는데 교과서나 EBS 연계교재 그 어디에도 등장하지 않았던 작품이다. 다만 교육청 모의고사에는 등장한 전적이 있다.[37] 모래 언덕.[38] '자(子)'는 자시 즉 밤 11시~1시라는 시간을 의미하고, '야(夜)' 역시 밤이라는 시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곡(曲)'은 노래를 의미하므로 '자야곡'은 '한밤중에 부른 노래'를 의미한다.[39] 여기서 청포를 입은 손님은 독립군을 의미한다.[40] 이육사의 시에서 자주 보이는 희망의 소재. 강철이라는 금속으로 강인함을, 무지개라는 자연물로 희망을 나타내 굳센 희망을 의미한다.[41] 혹은 다른 해석도 존재 한다. 겨울이라는 시어가 시련을 의미하는데, 이에 대한 속성으로 각각 강철과 무지개가 제시되었다. 시련은 강철처럼 굳건하고 엄중하여 결코 부서지지 않을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무지개가 언젠가 사라질 허상이듯이 시련 또한 사라질 것이라는 희망적인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