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13:05:49

김우락


대한민국의 독립운동 명문가
석주 이상룡 일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ddd> 성명 서훈 내역 비고
이승화 건국훈장 애족장 (1990) 이상룡의 당숙
이상룡 건국훈장 독립장 (1962) 본인
이상동 건국훈장 애족장 (1990) 이상룡의 동생
이형국 건국훈장 애족장 (1990) 이상동의 장남
이운형 건국훈장 애족장 (1990) 이상동의 차남
이봉희 건국훈장 독립장 (1990) 이상룡의 동생
이광민 건국훈장 독립장 (1990) 이봉희의 장남
이광국 미서훈 이봉희의 차남
이준형 건국훈장 애국장 (1990) 이상룡의 장남
이병화 건국훈장 독립장 (1990) 이준형의 장남
김우락 건국훈장 애족장 (2019) 이상룡의 배우자
김대락 건국훈장 애족장 (1990) 김우락의 큰오빠
김락 건국훈장 애족장 (2001) 김우락의 여동생
이만도 건국훈장 독립장 (1962) 김락의 장인
이중업 건국훈장 애족장 (1990) 김락의 배우자
김도화 건국훈장 애국장 (1990) 이상룡의 종고모부
강호석 건국훈장 애족장 (2011) 이상룡의 사위
김태동 대통령표창 (2003) 이상동의 사위
허국 미서훈 이준형의 사위
허은 건국훈장 애족장 (2018) 이병화의 배우자
허발 미서훈 이병화의 장인
허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1962) 허은의 제종조부
허길 건국포장 (2008) 허은의 고모
이원기 건국훈장 애국장 (1990) 허길의 장남
이육사 건국훈장 애국장 (1990) 허길의 아들
박경종 건국훈장 애족장 (1990) 이상룡의 매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90033, #330066 20%, #330066 80%, #190033); 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박승선 연안 차씨
임시대통령 이승만 임시대통령 박은식
제3대 제4대 제5대 제6-7대
김우락 남상복 - 김경선
국무령 이상룡 국무령 홍진 국무령 김구 국무회의 주석 이동녕
제8대 제9대 제10-12대 제13-16대
- 강릉 김씨 김경선 -
국무회의 주석 송병조 국무회의 주석 양기탁 국무회의 주석 이동녕 국무위원회 주석 김구 }}}
}}}}}}}}}
<colcolor=#fff><colbgcolor=#330066>
출생 1854년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사망 1933년 4월 14일 (향년 79세)
경상북도 안동시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활동기간 초대 임시정부 국무령 배우자
1925년 7월 7일 ~ 1926년 2월 18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30066><colcolor=#ffffff> 본관 의성 김씨
부모 부친 - 김진린
모친 - 함양 박씨
형제자매 김대락, 김락 외 3남 1녀
배우자 이상룡
자녀 아들 이준형
강호석의 처
외손자 강용구(姜龍求), 강명구(姜命求), 외손녀 강경구(姜景求)[1]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2019) }}}}}}}}}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2019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1854년 경상북도 안동군 임하면(臨河面) 천전리(川前里)에서 아버지 김진린(金鎭麟)과 어머니 함양박씨 사이에서 4남 3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19세 때인 1872년 석주(石洲) 이상룡(李相龍)과 결혼하여 고성이씨 가문의 임청각(臨淸閣) 종가댁 맏며느리가 되었다. 1910년 일본에 의해 국권을 빼앗기자 이상룡은 가족 모두를 이끌고 만주 망명을 결정하였다. 1911년 1월 5일 이상룡이 먼저 떠났다. 김우락은 아들 내외 등과 함께 1월 25일 국경을 넘었다. 2월 7일 회인현(懷仁縣) 항도촌(恒道村)에 도착했다.

김우락은 만주로 온 이후인 1911년 10월 「해도교거사(海島僑居辭)」라는 한글 가사를 썼다. 그녀가 쓴 가사의 내용은 남편인 이상룡이 망명을 결정할 무렵의 일을 기록하고 있고, 만주에 망명하여 정착하기까지의 과정을 상세히 적었다. 또한 이 가사에는 여성의 몸이지만 독립을 위해 힘을 보태고자 하는 자신의 심경도 드러내고 있다. 「해도교거사」외에 그녀는 1914년 말 고국에 있는 형제자매, 특히 여형제들에게 편지 글을 대신해서 「간운사」라는 가사를 썼다.

김우락은 만주로 온 이후 남편 이상룡이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지속할 수 있게 가산을 팔았다. 1932년 5월 이상룡은 길림성(吉林省) 서란(舒蘭) 소성자(小城子)에서 순국을 하고 말았다.김우락은 남편의 시신을 만주에 묻었다. 일본 경찰의 감시를 피해 밤에만 걸어 석 달 만에 서울에 도착하여 안동에 들어갔다. 1933년에 79세의 나이로 생애를 마쳤다.

정부는 2019년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1] 출처: 진주강씨족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