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1 20:54:59

최윤덕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태조 ~ 연산군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문하좌시중 문하좌시중 → 문하좌정승
초대

배극렴
제2대

조준
문하좌정승
제2대

조준
제3대

심덕부
제4대

성석린
제5대

민제
문하좌정승 문하좌정승 → 좌정승 좌정승
제6대

이거이
제7대

김사형
제8대

하륜
제9대

조준
좌정승 판의정부사 → 좌의정
제10대

하륜
제11대

성석린
제12대

하륜
제13대

남재
좌의정
제14대

하륜
제15대

류정현
제16대

박은
제16대

박은
제17대

이원
제18대

류정현
제19대

이직
제20대

황희
제21대

맹사성
제22대

최윤덕
제23대

허조
제24대

신개
제25대

하연
제26대

황보인
제26대

황보인
제27대

남지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27대

남지
제28대

김종서
제29대

정인지
}}}
제30대

한확
제31대

이사철
제32대

정창손
제33대

강맹경
제34대

신숙주
제35대

권람
제36대

한명회
제37대

구치관
제38대

황수신
제39대

심회
제40대

최항
제41대

조석문
제42대

홍달손
제43대

박원형
제43대

박원형
제44대

김질
제45대

홍윤성
제46대

윤자운
제46대

윤자운
제47대

김국광
제48대

최항
제49대

한명회
제50대

조석문
제51대

심회
제52대

윤필상
제53대

홍응
제54대

노사신
제55대

신승선
제56대

정괄
제57대

어세겸
제58대

한치형
제59대

성준
제60대

이극균
제61대

류순
제62대

허침
제63대

박숭질
제64대

신수근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문하우시중 문하우시중 → 문하우정승
초대

조준
제2대

김사형
문하우정승
제2대

김사형
제3대

성석린
제4대

민제
제5대

하륜
문하우정승 우정승
제5대

하륜
제6대

이서
제7대

이무
제8대

성석린
우정승
제9대

이서
제10대

조영무
제11대

이무
제12대

이서
우정승 판의정부사 → 우의정 우의정
제13대

조영무
제14대

남재
제15대

이직
제16대

류량
우의정
제17대

남재
제18대

박은
제19대

한상경
제20대

이원
제20대

이원
제21대

정탁
제22대

류관
제23대

조연
제24대

황희
제25대

맹사성
제26대

권진
제27대

최윤덕
제28대

노한
제29대

허조
제30대

신개
제31대

하연
제32대

황보인
제33대

남지
제33대

남지
제34대

김종서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4대

김종서
제35대

정분
제36대

한확
}}}
제37대

이사철
제38대

정창손
제39대

강맹경
제40대

신숙주
제41대

권람
제42대

한명회
제43대

구치관
제44대

황수신
제45대

박원형
제46대

황수신
제47대

최항
제48대

홍윤성
제49대

강순
제50대

김질
제50대

김질
제51대

윤사분
제52대

윤자운
제53대

김국광
제53대

김국광
제54대

한백륜
제55대

성봉조
제56대

김질
제57대

윤사흔
제58대

윤자운
제59대

윤필상
제60대

홍응
제61대

이극배
제62대

노사신
제63대

허종
제64대

윤호
제65대

신승선
제66대

정괄
제67대

어세겸
제68대

정문형
제69대

한치형
제70대

성준
제71대

이극균
제72대

류순
제73대

허침
제74대

박숭질
제75대

강귀손
제76대

신수근
제77대

김수동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최윤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역대 종묘 배향공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00d45,#94153e> 태조 조준, 의안대군, 이지란,
조인옥, 남재, 이제, 남은
정종 익안대군
태종 하륜, 조영무, 정탁, 이천우, 이래
세종 황희, 최윤덕, 허조, 신개,
이수, 양녕대군, 효령대군
문종 하연
세조 권람, 한확, 한명회
예종 박원형
성종 신숙주, 정창손, 홍응
중종 박원종, 성희안, 류순정, 정광필
인종 홍언필, 김안국
명종 심연원, ■이언적
선조 이준경, ■이황, ■이이
인조 이원익, 신흠, 김류, 이귀,
신경진, 이서, 능원대군
효종 김상헌, ■김집, ■송시열,
인평대군, 민정중, 민유중
현종 정태화, 조경, 김좌명, 김수항, 김만기
숙종 남구만, ■박세채, 윤지완,
최석정, 김석주, 김만중
경종 이유, 민진후
영조 김창집, 최규서, 민진원, 조문명, 김재로
장조 이종성, 민백상
정조 김종수, 유언호, 김조순
순조 이시수, 김재찬, 김이교,
조득영, 남연군, 조만영
문조 남공철, 김로, 조병구
헌종 이상황, 조인영
철종 이헌구, 익평군, 김수근
고종 박규수, 신응조, 이돈우, 민영환
순종 송근수, 이완용, 서정순
: 문묘 종사 동국 18현을 겸하는 6인(동무종향)
: 문묘 종사 동국 18현을 겸하는 6인(서무종향)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문화부 심볼.svg이달의 문화인물
(1990-1997)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0년
7월
김정희
8월
장영실
9월
김소월
10월
세종대왕
11월
김홍도
12월
신재효
1991년
1월
나운규
2월
정철
3월
한용운
4월
김정호
5월
방정환
6월
정약용
7월
문익점
8월
안익태
9월
허준
10월
주시경
11월
윤선도
12월
이해랑
1992년
1월
이황
2월
정선
3월
박지원
4월
우장춘
5월
신사임당
6월
류성룡
7월
일연
8월
홍난파
9월
고유섭
10월
이윤재
11월
안창호
12월
윤동주
1993년
1월
이이
2월
이인문
3월
장보고
4월
이천
5월
윤극영
6월
원효
7월
지석영
8월
안중근
9월
박연
10월
최현배
11월
장지연
12월
윤백남
1994년
1월
우륵
2월
황희
3월
김유정
4월
홍대용
5월
강소천
6월
이상백
7월
안견
8월
박은식
9월
박승희
10월
이희승
11월
정도전
12월
신채호
1995년
1월
강세황
2월
조식
3월
월터 정
4월
최무선
5월
이원수
6월
김병로
7월
이육사
8월
김구
9월
채동선
10월
김윤경
11월
이수광
12월
곽재우
1996년
1월
김만중
2월
최치원
3월
이순지
4월
서재필
5월
김명국
6월
유일한
7월
도선
8월
심훈
9월
왕산악
10월
정인승
11월
전형필
12월
이제마
1997년
1월
송석하
2월
성현
3월
최윤덕
4월
이중환
5월
초의 (의순)
6월
한호
7월
이세보
8월
박제가
9월
박진
10월
장지영
11월
왕인
12월
송진우
※ 선정 당시 기관명은 문화부(1990~1993) → 문화체육부(1993~1998) → 문화관광부(1998~2005)였다.
이달의 문화인물(1998-200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ff,#101010> 권 1
신라
김유신 ·
신라
장보고 (정연) ·
신라
침나 (소나) ·
고구려
부분노 ·
고구려
을지문덕 ·
고구려
안시성주 ·
백제
흑치상지 ·
고려
유금필 ·
고려
강감찬 ·
고려
양규 ·
고려
윤관
권 2
고려
오연총 ·
고려
김부식 ·
고려
조충 ·
고려
김취려 ·
고려
박서 (송문주) ·
고려
김경손 ·
고려
이자성
권 3
고려
김방경 ·
고려
한희유 ·
고려
원충갑 ·
고려
안우 (김득배 / 이방실) ·
고려
정세운 ·
고려
정지
권 4
고려
최영 ·
조선
이지란 ·
조선
최윤덕 ·
조선
이종생 ·
조선
어유소 ·
조선
이순신 ·
조선
권율
권 5
조선
곽재우 ·
조선
정문부 ·
조선
황진 ·
조선
휴정 (유정 / 영규) ·
조선
정기룡 ·
조선
김시민
권 6
조선
이정암 ·
조선
임중량 ·
조선
김덕령 ·
조선
정충신 ·
조선
김응하 (김응해) ·
조선
임경업 ·
조선
정봉수 ·
조선
류림 (류형)
참고 : 윗첨자의 경우에는 독립적인 열전으로 기록된 것이 아니라 해당 인물의 열전 속에서 함께 설명되는 인물들이다.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정렬공(貞烈公)
최윤덕
崔潤德
<nopad> 파일:최윤덕.jpg
출생 1376년(우왕 2)
사망 1446년 1월 11일[1] (향년 69 ~ 70세)
(음력 1445년, 세종 27년 12월 5일)
시호 정렬(貞烈)
본관 통천 최씨
백수(伯修), 여화(汝和)
임곡(霖谷)
부모 부친 - 최운해
모친 - 창원 이씨(昌原李氏)
부인 성주 도씨
자녀 장남 - 최숙손(崔淑孫)
차남 - 최경손
3남 - 최광손
4남 - 최영손(崔泳孫, ? ~ 1455)

1. 개요2. 생애3. 기타4.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조선 초기의 장군.

2. 생애

1376년(우왕 2) 경상도 금주(金州) 의창현(義昌縣, 현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아버지 최운해와 어머니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최윤덕의 가문은 대를 이은 무반 집안으로 할아버지 최록은 정4품 호군을 지냈다. 아버지 최운해는 위화도 회군에 참여해서 고려에서 회군공신이 되었고, 조선 건국 후에는 이성계를 따른 공으로 개국원종공신에 책봉되었다. 최운해는 조선 개국 후 태조 2년(1393)에는 양광도, 태조 5년(1396)에는 경상도 영해, 장기 등지에서 왜구를 크게 무찔렀다.

서거정이 저술한 야사인 필원잡기에 따르면, 최윤덕의 친모는 그가 태어나자마자 숨을 거두었고, 최운해는 변방에서 장수로 있었기 때문에 최윤덕을 이웃의 양수척(백정)이 양육했다고 전한다.

최윤덕은 태종 2년(1402) 식년시 무과에 3등 20위로 급제, 태종 10년(1410)에는 중시(重試) 무과에 급제하였다.

아버지의 뒤를 이어 장군이 된 그는 태종, 세종 치세에 크게 활약하여 세종 연간에는 김종서와 함께 4군 6진을 개척하였다. 그가 개척한 곳은 여연(閭延), 무창(茂昌), 자성(慈城), 우예(虞芮) 4군으로 서북 4군이라 불린다.

최윤덕은 꾸준히 승진하여 스스로 무장이라는 이유로 사양했음에도 불구하고 세종 15년(1433) 병력 1만 5천 명을 이끌고 파저강(婆猪江)[2] 일대의 여진족을 정벌한 공로로 우의정, 세종 17년(1435)에는 문반 최고위직인 좌의정까지 올랐다. 다만 무신이라는 점이 참작되어 다른 업무는 면제되고 특별히 북방문제만 전담하였다. 이 정도 대우를 받은 무신은 드물다. 이전에 무신으로서 정승이 된 이는 개국공신으로 첫 두 정승 중 배극렴, 1차 왕자의 난의 공신 조영무 정도였다. 같은 시기 대마도, 여진 정벌에서 활약한 이순몽과 같이 능력은 뛰어나지만 인간 말종으로 유명했던 무신들과 달리, 최윤덕은 폭행사건 하나도 일으키지 않아 문신들도 존중했다고 한다.

이후 여연에서 변경의 야인 문제를 잘못 처리한 것 때문에 세종 18년(1436) 영의정부사 황희사헌부 등에게 탄핵을 받았다. 이후 세종이 그를 위해 만든 벼슬자리인 영중추원사(領中樞院事)로 벼슬을 옮겨 그대로 북방문제를 담당하다가 세종 27~28년(1445) 1446년 사망했다.

3. 기타

  • 아들로 최숙손, 최경손, 최광손, 최영손이 있었고 모두 아버지를 따라 무과로 벼슬을 했다. 막내 최영손이 금성대군 사건에 연루되면서 통천 최씨는 거의 멸문을 당하며 쇠락했다.
  • 경상남도 창원시 북면에는 생가 터와 묘소가 있는데, 묘소는 1992년에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나 안타깝게도 여러 번 도굴되었다. 그 지역을 관통하는 79번 국도는 최윤덕의 시호를 따서 정렬대로라고 명명되었고, 창원광장에는 최윤덕의 동상이 있다.

4. 대중매체

  • 소설 <임꺽정>에서는 최윤덕이 어렸을 때 그를 돌보았던 양수척의 후손이 임꺽정인 것으로 설정되었다. 최윤덕이 어릴 적 쓰던 활이 그 양수척 집안의 가보로 등장한다.
  • 소설 <데프콘>에서는 그의 이름을 부여받은 212급 잠수함이 나온다. 한국의 신형 잠수함으로 주인공 버프를 받아 한일전에서 로미오급과 협력해 오야시오급을 관광태우고, 한미전에서는 5부에서 미 해군에게 격침당하나 마지막까지 페리급 호위함 한 척과 항공모함 링컨을 저승으로 데리고 간다.
  • 1996년 KBS 드라마 <용의 눈물>에서는 배우 박승규가 연기했다. 아무래도 태종이 주인공이고 세종 대는 간략하게 그려지는 만큼 태종이 세종의 장인인 심온을 사사하는 일을 처결하는 와중에 중신들을 불러서 국방 문제를 논의하는 장면 및 대마도정벌 에피소드에 등장한다.


[1] 율리우스력 1월 2일[2] 오늘날 중국 랴오닝성 일대를 흘러 압록강에 합류하는 훈장강(浑江).[3] 1996년 KBS 드라마 <용의 눈물>에서는 이숙번 역, 2004년 KBS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에서는 마니응개 역, 2014년 KBS 드라마 <정도전>에서는 이지란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