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3 22:34:20

민유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태조 정종 태종
안천부원군 한경 상산부원군 강윤성 김천서 여흥부원군 민제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청천부원군 심온 화산부원군 권전 여량부원군 송현수 파평부원군 윤번
예종 예종, 성종 성종
청천부원군 한백륜 상당부원군 한명회 함안부원군 윤기견 영원부원군 윤호
연산군 중종
거창부원군 신승선 익창부원군 신수근 파원부원군 윤여필 파산부원군 윤지임
인종 명종 선조
금성부원군 박용 청릉부원군 심강 반성부원군 박응순 연흥부원군 김제남
선조 광해군 인조
해령부원군 김희철 문양부원군 류자신 서평부원군 한준겸 한원부원군 조창원
효종 현종 숙종
신풍부원군 장유 청풍부원군 김우명 광성부원군 김만기 여양부원군 민유중
숙종 경종 영조
경은부원군 김주신 청은부원군 심호 함원부원군 어유구 달성부원군 서종제
영조 정조 순조 헌종
오흥부원군 김한구 청원부원군 김시묵 영안부원군 김조순 영흥부원군 김조근
헌종 철종 고종 순종
익풍부원군 홍재룡 영은부원군 김문근 여성부원군 민치록 여은부원군 민태호
순종
해풍부원군 윤택영
추존
{{{#!wiki style="margin: -16px -11px" 목조(이안사) 익조(이행리) 도조(이춘)
이숙(이공숙) 최기열 안변부원군 박광
환조(이자춘) 덕종(의경세자) 원종(정원군)
영흥백 최한기 서원부원군 한확 능안부원군 구사맹
진종(효장세자) 장조(사도세자) 문조(효명세자)
풍릉부원군 조문명 영풍부원군 홍봉한 풍은부원군 조만영 }}}
조선 왕비 · 조선 추존 왕비 · 대한제국의 국구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역대 종묘 배향공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00d45,#94153e> 태조 조준, 의안대군, 이지란,
조인옥, 남재, 이제, 남은
정종 익안대군
태종 하륜, 조영무, 정탁, 이천우, 이래
세종 황희, 최윤덕, 허조, 신개,
이수, 양녕대군, 효령대군
문종 하연
세조 권람, 한확, 한명회
예종 박원형
성종 신숙주, 정창손, 홍응
중종 박원종, 성희안, 류순정, 정광필
인종 홍언필, 김안국
명종 심연원, ■이언적
선조 이준경, ■이황, ■이이
인조 이원익, 신흠, 김류, 이귀,
신경진, 이서, 능원대군
효종 김상헌, ■김집, ■송시열,
인평대군, 민정중, 민유중
현종 정태화, 조경, 김좌명, 김수항, 김만기
숙종 남구만, ■박세채, 윤지완,
최석정, 김석주, 김만중
경종 이유, 민진후
영조 김창집, 최규서, 민진원, 조문명, 김재로
장조 이종성, 민백상
정조 김종수, 유언호, 김조순
순조 이시수, 김재찬, 김이교,
조득영, 남연군, 조만영
문조 남공철, 김로, 조병구
헌종 이상황, 조인영
철종 이헌구, 익평군, 김수근
고종 박규수, 신응조, 이돈우, 민영환
순종 송근수, 이완용, 서정순
: 문묘 배향 18현을 겸하는 6인(동배향)
: 문묘 배향 18현을 겸하는 6인(서배향)
}}}}}}}}}

<colbgcolor=#7e2f22><colcolor=#ffd400>
조선 숙종의 장인 | 인현왕후의 부친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문정공(文貞公)
민유중
閔維重
출생 1630년 11월 13일
(음력 인조 8년 10월 10일)
사망 1687년 8월 6일 (향년 56세)
(음력 숙종 13년 6월 29일)
묘소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
봉호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시호 문정(文貞)
본관 여흥 민씨
지숙(持叔)
둔촌(屯村)
부모 부친 - 민광훈(閔光勳, 1595 ~ 1659)
모친 - 연안 이씨 이광정(李光庭)의 딸
형제자매 3남 1녀 중 3남
[ 펼치기 · 접기 ]
형 - 민시중(閔蓍重, 1625 ~ 1677)
형 - 민정중(閔鼎重, 1628 ~ 1692)
남매 - 풍산 홍씨 홍만형(洪萬衡)[1]의 처
부인 정실 - 해풍부부인(海豊府夫人) 덕수 이씨 이효아(1628 ~ 1652)
1계실 - 은성부부인(恩城府夫人) 은진 송씨(1637 ~ 1672)
2계실 - 풍창부부인(豊昌府夫人) 풍양 조씨(1659 ~ 1741)
자녀 5남 7녀
[ 펼치기 · 접기 ]
[ 은성부부인 소생 - 2남 3녀 ]
적장녀 - 우봉 이씨 이만창(李晩昌)의 처(1656 ~ 1728)
적장남 - 민진후(閔鎭厚, 1659 ~ 1720)[2]
적차남 - 민진원[3]
적차녀 - 인현왕후
적3녀 - 평산 신씨 신석화(申錫華)의 처
[ 풍창부부인 소생 - 1남 2녀 ]
적3남 - 민진영(閔鎭永, 1682 ~ ?)[4]
적4녀 - 전주 이씨 이장휘(李長輝)의 처
적5녀 - 남양 홍씨 홍우조(洪禹肇)의 처
[ 측실 소생 - 2남 2녀 ]
서장남 - 민진창(閔鎭昌)
서차남 - 민진오(閔鎭五)
서장녀 - 이만(李慢)의 처
서차녀 - 류현(柳絢)의 처

1. 개요2. 생애3. 사후4. 가족 관계5.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2. 생애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민광훈(閔光勳, 1595 ~ 1659)의 아들이자 인현왕후 민씨와 노론의 영수인 민진원의 아버지. 큰형인 민시중(閔蓍重, 1625 ~ 1677)은 사헌부 대사헌을, 작은형인 민정중(閔鼎重, 1628 ~ 1692)은 좌의정을 지낸 명문가 출신이다. 외가는 연안 이씨로 외조부는 지중추부사, 한성판윤, 예조·이조판서 등을 지낸 연원부원군 이광정(李光庭, 1552 ~ 1629)이다.

본래 동춘당 송준길의 문하였지만 송준길의 딸 은진 송씨를 계실로 맞이함으로써 송시열의 문하로 옮겼다.

그의 차녀는 송준길의 외손녀이자 송시열 문하생의 딸이라는 막강한 서인 인맥을 배경으로 두었기에 후에 숙종의 계비 인현왕후가 되지만 남인과 연계된 궁인 장씨에 밀려 독수공방을 하게 된다.

1648년(인조 26) 식년시 진사시에 2등 12위로 입격하고 1650년(효종 1) 증광시 문과에 병과 15위로 급제하였다.

뼛속까지 서인이었으며, 송시열의 문하생인데다가 송준길의 사위라는 화려한 정치적 배경을 무기 삼아 홍문관 대교, 사헌부 감찰, 병조좌랑, 사간원 정언, 이조참의, 대사간, 전라도·충청도·평안도 관찰사, 성균관 대사성, 형조판서, 한성부판윤, 호조판서, 병조판서 등 주요 요직을 두루 역임했다. 지금으로 따지자면 서울 시장을 거쳐 각종 장관까지 두루 경험한 몇 안 되는 엘리트인 셈이다.

숙종의 장인이 된 이후로는 송시열 쪽에 가세한 여흥 민씨광산 김씨, 그리고 남인에 동조한 청풍 김씨 간 붕당이 크게 과열됐다. 그 과정에서 병권과 재권을 장악하고 공사를 임의대로 처리했으며 친인척을 끌어들여 관직을 독점하고 있다는 상소가 끊이지 않았다.

그렇게 비판받은 민유중은 숙종에게 "나를 모독한 사람을 처벌해달라" 고 요구했다가 이후 숙종과 만날 수가 없었고, 그 다음해에 사망했다.

3. 사후

다행이라면 다행인 것이 딸 인현왕후이 쫓겨나는건 보지 못하고 죽은 것으로, 인현왕후는 그의 사망으로부터 2년 후인 1689년에 폐서인 되었다.

4. 가족 관계

인현왕후의 친정아버지이며 명성황후, 순명효황후의 6대조, 7대조가 된다.
  • 조부 : 민기(閔機)
    • 부 : 민광훈(閔光勳)
    • 어머니 : 연안 이씨(延安 李氏) - 연원부원군 이광정(延原府院君 李光庭)의 딸. 허적(許積), 홍우원(洪宇遠)의 인척
  • 정부인 : 해풍부부인 이효아(海豊府夫人 李孝兒) - 순화군의 외손녀, 이경증(李景曾)의 딸
  • 1계부인 : 은성부부인 은진 송씨(恩城府夫人 恩津 宋氏) - 동춘당 송준길(同春堂 宋浚吉)의 딸
  • 2계부인 : 풍창부부인 풍양 조씨(豊昌府夫人 豊壤 趙氏)
    • 3남 : 민진영(閔鎭永)
      • 손자 : 민악수(閔樂洙) - 여흥부대부인(驪興府大夫人)의 증조부
      • 손자 : 민각수(閔覺洙)
    • 4녀 : 여흥 민씨(驪興 閔氏)
    • 사위 : 이장휘(李長輝) - 완남부원군 충정공 이후원(完南府院君 忠貞公 李厚源)의 손자, 이선(李選)의 아들, 김석주(金錫冑)의 처조카
      • 외손자 : 이윤(李潤)
      • 외손자 : 이황(李潢)
    • 5녀 : 여흥 민씨(驪興 閔氏)
    • 사위 : 홍우조(洪禹肇)
      • 외손녀 : 홍계능(洪啓能) - 정조의 즉위에 반대하다가 옥사함
  • 첩부인 : 성씨 미상
    • 서자 : 민진창(閔鎭昌)
    • 서자 : 민진오(閔鎭五)
    • 서녀 : 여흥 민씨(驪興 閔氏) - 이만(李熳)에게 출가
    • 서녀 : 여흥 민씨(驪興 閔氏) - 유현(柳絢)에게 출가

5. 대중매체

장옥정, 사랑에 살다에서는 이효정이 연기했던 민유중을 서인의 영수 혹은 희빈 장씨를 사사건건 방해하는 행동으로 묘사되고, 선민사상이 강하여 복선군과 내통을 한 자신의 딸이 죽을 위기에 쳐하자 온갖 재물을 가져와 도와달라 애원하는 역관 장현(성동일 분)을 천한 신분 주제에 분에 넘치는 부탁을 한다며 모욕하고 정작 자신의 딸은 귀하게 길러 왕비 자리에 앉히는 이중잣대 같은 모습을 보이지만, 실제 실록에서는 "성품이 강직하고 품행이 올바르다" 라고 기록되어있다. 그래서 보통 장희빈을 다룬 드라마에서도 민유중은 대체로 실록과 비슷한 행적을 보인다.
[1] 정명공주의 3남.[2] 명성황후의 5대조.[3] 순명효황후의 6대조.[4] 고종의 외5대조.[5] 김수항의 차남 김창협(金昌協)의 처제이며 김창국(金昌國)의 맏사위인 이하조(李賀朝)의 누이이다[6] 이단상의 장남 이희조(李喜朝)는 김수흥의 사위로 김창협과는 사촌남매이며, 이단상의 다른 사위 송징오는 이하조의 처와 이종남매이기도 하다. 이단상의 조카 이씨는 인경왕후의 당백부 김만균(金萬鈞)의 처이며 원몽린(元夢隣)의 고종아우이자 노론4대신 중 한 명인 이건명(李健命)의 장모이다[7] 조태휘(趙泰彙) 아들이며 노론4대신 중 한 명인 조태채(趙泰采)의 친조카이다[8] 김만중(金萬重)의 손자로 기사환국 때 처참된 이사명(李師命)의 사위인 김용택(金龍澤)의 친형이다. 김춘택(金春澤)의 사촌아우다[9] 신흠의 아들, 장렬왕후의 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