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12:46:26

조만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태조 정종 태종
안천부원군 한경 상산부원군 강윤성 김천서 여흥부원군 민제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청천부원군 심온 화산부원군 권전 여량부원군 송현수 파평부원군 윤번
예종 예종, 성종 성종
청천부원군 한백륜 상당부원군 한명회 함안부원군 윤기견 영원부원군 윤호
연산군 중종
거창부원군 신승선 익창부원군 신수근 파원부원군 윤여필 파산부원군 윤지임
인종 명종 선조
금성부원군 박용 청릉부원군 심강 반성부원군 박응순 연흥부원군 김제남
선조 광해군 인조
해령부원군 김희철 문양부원군 류자신 서평부원군 한준겸 한원부원군 조창원
효종 현종 숙종
신풍부원군 장유 청풍부원군 김우명 광성부원군 김만기 여양부원군 민유중
숙종 경종 영조
경은부원군 김주신 청은부원군 심호 함원부원군 어유구 달성부원군 서종제
영조 정조 순조 헌종
오흥부원군 김한구 청원부원군 김시묵 영안부원군 김조순 영흥부원군 김조근
헌종 철종 고종 순종
익풍부원군 홍재룡 영은부원군 김문근 여성부원군 민치록 여은부원군 민태호
순종
해풍부원군 윤택영
추존
{{{#!wiki style="margin: -16px -11px" 목조(이안사) 익조(이행리) 도조(이춘)
이숙(이공숙) 최기열 안변부원군 박광
환조(이자춘) 덕종(의경세자) 원종(정원군)
영흥백 최한기 서원부원군 한확 능안부원군 구사맹
진종(효장세자) 장조(사도세자) 문조(효명세자)
풍릉부원군 조문명 영풍부원군 홍봉한 풍은부원군 조만영 }}}
조선 왕비 · 조선 추존 왕비 · 대한제국의 국구 }}}}}}}}}
조만영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역대 종묘 배향공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00d45,#94153e> 태조 조준, 의안대군, 이지란,
조인옥, 남재, 이제, 남은
정종 익안대군
태종 하륜, 조영무, 정탁, 이천우, 이래
세종 황희, 최윤덕, 허조, 신개,
이수, 양녕대군, 효령대군
문종 하연
세조 권람, 한확, 한명회
예종 박원형
성종 신숙주, 정창손, 홍응
중종 박원종, 성희안, 류순정, 정광필
인종 홍언필, 김안국
명종 심연원, ■이언적
선조 이준경, ■이황, ■이이
인조 이원익, 신흠, 김류, 이귀,
신경진, 이서, 능원대군
효종 김상헌, ■김집, ■송시열,
인평대군, 민정중, 민유중
현종 정태화, 조경, 김좌명, 김수항, 김만기
숙종 남구만, ■박세채, 윤지완,
최석정, 김석주, 김만중
경종 이유, 민진후
영조 김창집, 최규서, 민진원, 조문명, 김재로
장조 이종성, 민백상
정조 김종수, 유언호, 김조순
순조 이시수, 김재찬, 김이교,
조득영, 남연군, 조만영
문조 남공철, 김로, 조병구
헌종 이상황, 조인영
철종 이헌구, 익평군, 김수근
고종 박규수, 신응조, 이돈우, 민영환
순종 송근수, 이완용, 서정순
: 문묘 종사 동국 18현을 겸하는 6인(동무종향)
: 문묘 종사 동국 18현을 겸하는 6인(서무종향)
}}}}}}}}}

세도정치 관련 가문 및 인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풍산 홍씨신 안동 김씨풍양 조씨
홍국영김조순김조근김문근김좌근조만영조인영}}}}}}}}}
조선 익종 / 대한제국 문조의 장인 | 신정왕후의 부친
풍은부원군(豐恩府院君) 충경공(忠敬公)
조만영
趙萬永
파일:/20150718_103/1437145624885pwuTa_JPEG/1a28e9fd-f37f-4f.jpg
생몰
기간
음력 1776년 ~ 1846년 10월 14일
양력 1776년 ~ 1846년 12월 2일 (향년 70세)
묘소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 지내리
봉호 풍은부원군(豐恩府院君)
시호 충경(忠敬)
본관 풍양 조씨[1]
윤경(胤卿)
석애(石崖, 石厓)
생부 조진관(趙鎭寬, 1739 ~ 1808)
생모 남양 홍씨(南陽 洪氏, 1739 ~ 1799)
부인 덕안부부인 은진 송씨[2]
(德安府夫人 恩津 宋氏, 1776 ~ 1834)
자녀 슬하 2남 4녀
장남 - 조병구(趙秉龜, 1801 ~ 1845)
장녀 - 신정왕후(神貞王后, 1808 ~ 1890)
차녀 - 전주 이씨 이인설(李寅卨)의 처
3녀 - 기계 유씨 유치선(兪致善)의 처
4녀 - 광산 김씨 김석현(金奭鉉, 1818 ~ 1879)의 처(1817 ~ 1839)
차남 - 조병기(趙秉夔, 1821 ~ 1858)[3]

1. 소개2. 생애3. 최후

[clearfix]

1. 소개

조선 후기의 문신. 풍양 조씨 세도정치권신.

신정왕후 조씨의 아버지이며 헌종의 외조부이자 영의정 조인영의 형이다. 조선에 고구마를 최초로 들여온 조엄의 손자이기도 하다.

2. 생애

1776년 이조판서를 지낸 아버지 조진관(趙鎭寬)과 어머니 남양 홍씨 사이에서 3남 4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노론 벽파로, 아버지 조진관은 순조 즉위 이후 병조판서로서 장용영을 혁파하는 등의 행보를 보인 바 있다. 다만 풍양조씨가 이후 외척으로 세도가가 되는지라 그리 큰 의미는 없기는 하다.

1801년(순조 1) 식년 진사시에 2등 5위로 입격하고 참봉을 지내던 중 38세 되던 1813년 증광 문과에 을과 4위로 급제했다. 이후 예문관 검열, 사헌부 지평, 사간원 정언, 겸문학 등을 역임했으며, 41세 되던 1816년에는 전라도 암행어사로 나갔다.

호남 암행어사 시절, 조만영은 관아를 들이치면 우선 농지 세금 담당 아전들을 끌어내 무조건 삼릉장(세모 방망이)으로 흠씬 두들겨 팼다. 아전들이 저지른 부정 규모까지 상세히 밝혀내지는 못한 상태였지만, 누가 악질인지 다 알고 있는 백성들은 "귀신같이 잡아 족친다"며 열광했다고 한다. 이 일화가 적힌 다산 정약용의 <경세유표>에 따르면, 조만영의 족집게 비결은 "농지 담당 아전은 썩지 않은 자가 단 하나도 없기 때문눈 감고 매타작을 해도 억울할 놈이 없다."는 이치를 꿰고 있었던 덕분.

호남 암행어사직을 수행하면서 세간에 명성이 알려진 후 부사로 발탁됐으며, 1819년 부사직으로 있을 때 딸이 세자빈으로 간택되어, 등과(과거합격) 6년 만에(44세) 풍은 부원군으로 책봉, 왕실의 일원이 되어 풍양 조씨 정권의 개막을 알렸다. 이후 자신을 뒷받침 해줄 일족들을 정계 무대로 꾸준히 끌어들였으며, 조만영은 그 중추적 인물로서 안동 김씨와 세도를 다투게 되었다.

이듬해 행 이조 참의가 되고 1821년 금위대장 이어 이조·호조·예조·형조의 판서와 한성부 판윤 판의금부사 등 요직을 역임, 1845년 궤장을 하사받고[4] 영돈녕부사가 되었다.

특히 글씨를 잘 썼다.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3. 최후

보국 숭록 대부(輔國崇祿大夫)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풍은 부원군(豐恩府院君) 조만영(趙萬永)이 졸(卒)하였다. 하교하기를

"슬프고도 슬프다. 오히려 무슨 말을 하겠는가? 병환이 여러 해 동안 위독하였으나 회복되기를 늘 간절히 바랐는데, 어찌 오늘 갑자기 흉음(凶音)을 들을 줄 알았겠는가? 나의 놀랍고도 슬픈 마음은 이미 말할 수 없으나, 자전(慈殿)께서 우려하여 속태우신 끝에 이 망극한 지경을 당하셨으니, 또한 무슨 말로 우러러 위로하여 애통하신 뜻을 풀어 드리겠는가? 실로 지극히 민망스럽고도 박절한 마음을 금하지 못하겠다. 아! 내가 집안의 불행을 당하여 먼저 경인년과 뒤에 갑오년의 불행을 겪었으나, 지극한 정성으로 보호함을 힘입어 오늘이 있기에 이른 것이 누가 준 것인가? 양조(兩朝)의 부탁을 받고 내가 성취하기까지 조손(祖孫)의 친척으로서 인도하는 책임을 아울러 양덕(養德)으로 나를 돕고 독경(篤敬)으로 나를 도왔다. 안으로는 충근(忠勤)한 공로의 큰 것과 밖으로는 서로 삼가고 공경하여 바로잡은 업적이 20년 동안 하루 같았으니, 그 나라를 지키고 사사로움을 잊는 순수한 마음과 위대한 공은 예전 일에서 찾더라도 누가 견줄 수 있겠는가? 지난 겨울에 있었던 원구(元舅)의 역리(逆理)의 상(喪)이 이미 국가의 불행이었는데, 미처 1기(期)가 못되어 또 이 통보를 들으니, 슬프고 슬프다. 내가 장차 누구를 의지하겠는가? 졸한 풍은 부원군의 집에 동원 부기(東園副器) 1부(部)를 가려 보내고, 숭보(崇報)하는 일은 잠시도 늦출 수 없으니, 시장(諡狀)을 기다리지 말고 홍문관(弘文館)으로 하여금 당일로 시호(諡號)를 의논하게 하고, 각신(閣臣)을 보내어 조문(弔問)하게 하고, 내일 승지(承旨)를 보내어 상인(喪人)을 위문하게 하라. 그리고 녹봉(祿俸)을 3년간 한정하여 실어 보내고, 예장(禮葬) 등의 일은 각각 해사(該司)로 하여금 전례에 비추어 거행하게 하라."

하였다. 조만영은 일찍이 호남 직지(湖南直指)가 되어 명성이 한 도에 떨쳤다. 성질이 돈후(敦厚)하고 인척간에 화목하여 혼장(婚葬)·기황(饑荒)을 당하면 곡진히 두루 보살폈다. 이 때문에 봉록(俸祿)과 재산이 매우 넉넉하여도 나가는 것이 또한 때때로 그 들어오는 것과 같았다. 계묘년 겨울 임금이 두후(痘候)가 있을 때에 조만영이 우려하다가 두 눈이 드디어 어두워졌는데, 이어서 그 맏아들 조병구(趙秉龜)의 죽음을 곡하다가, 드디어 병이 오래 끌어 다시는 일어나지 못하였다.
헌종 13권, 12년(1846년 병오 / 청 도광(道光) 26년) 10월 14일(병인) 1번째 기사


[1] 회양공파(淮陽公派)-한평군파(漢平君派)[2] 송준길의 6대손. 송준길의 차녀는 인현왕후의 생모이다.[3] 동생 조인영의 양자로 갔다.[4] 신하로서의 최상의 대우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