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인조 ~ 경종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제141대 정창연 | 제142대 윤방 | 제143대 신흠 | 제144대 오윤겸 | |||||
제145대 김류 | 제146대 이정구 | 제147대 김류 | 제148대 오윤겸 | |||||
제149대 홍서봉 | 제150대 이성구 | 제151대 최명길 | 제152·153대 신경진 | |||||
제154대 심열 | 제155대 심기원 | 제156대 김자점 | 제157대 홍서봉 | |||||
제158대 심열 | 제159대 홍서봉 | 제160대 김자점 | 제161대 김상헌 | |||||
제162대 이경석 | 제163대 남이웅 | 제164대 이경석 | ||||||
제165대 정태화 | 제166·167대 조익 | 제168대 이시백 | 제169대 김육 | |||||
제170대 이시백 | 제171·172대 구인후 | 제173대 심지원 | 제174대 원두표 | |||||
제175·176대 심지원 | ||||||||
제175·176대 심지원 | 제177대 원두표 | 제178대 홍명하 | 제179·180대 허적 | |||||
제181대 정치화 | 제182대 허적 | 제183대 정치화 | 제184대 송시열 | |||||
제185대 김수항 | 제186대 이경억 | 제187대 송시열 | 제188대 정지화 | |||||
제189대 김수항 | ||||||||
제190대 정치화 | 제191대 김수항 | 제192대 권대운 | 제193대 민희 | |||||
제194대 정지화 | 제195대 민정중 | 제196대 정지화 | 제197대 남구만 | |||||
제198대 이단하 | 제199대 조사석 | 제200대 목내선 | 제201대 박세채 | |||||
제202대 류상운 | 제203대 윤지선 | 제204대 최석정 | 제205대 서문중 | |||||
제206대 이세백 | 제207대 이여 | 제208대 서종태 | 제209대 김창집 | |||||
제210대 이유 | 제211대 이이명 | 제212·213대 서종태 | 제214·215대 김창집 | |||||
제216대 서종태 | 제217대 이이명 | 제218·219대 김창집 | 제220대 이이명 | |||||
제221대 권상하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222대 이건명 | 제223대 최규서 | 제224대 최석항 | }}} | ||||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제161대 윤방 | 제162대 신흠 | 제163대 오윤겸 | 제164대 김류 | |||||
제165대 이정구 | 제166대 김상용 | 제167대 김류 | 제168대 김상용 | |||||
제169대 홍서봉 | 제170대 이홍주 | 제171대 이성구 | 제172대 최명길 | |||||
제173대 장유 | 제174대 신경진 | 제175대 심열 | 제176대 강석기 | |||||
제177대 심기원 | 제178대 김자점 | 제179대 이경여 | 제180대 심열 | |||||
제181대 서경우 | 제182대 심열 | 제183대 이경석 | 제184대 남이웅 | |||||
제185대 이행원 | 제186대 남이웅 | 제187대 정태화 | ||||||
제188대 조익 | 제189대 김육 | 제190대 조익 | 제191대 이시백 | |||||
제192대 한흥일 | 제193대 이시백 | 제194대 구인후 | 제195대 심지원 | |||||
제196대 원두표 | 제197대 이후원 | 제198대 원두표 | ||||||
제199대 정유성 | 제200대 원두표 | 제201대 정유성 | 제202대 홍명하 | |||||
제203대 허적 | 제204대 정치화 | 제205·206대 송시열 | 제207대 홍중보 | |||||
제208대 송시열 | 제209대 김수항 | 제210대 이경억 | 제211대 김수흥 | |||||
제212대 이완 | 제213대 정지화 | |||||||
제214대 김수항 | 제215대 권대운 | 제216대 허목 | 제217대 민희 | |||||
제218대 오시수 | 제219대 민정중 | 제220대 이상진 | 제221대 김석주 | |||||
제222대 남구만 | 제223대 정재숭 | 제224대 이단하 | 제225대 조사석 | |||||
제226대 이숙 | 제227·228대 여성제 | 제229대 김덕원 | 제230대 민암 | |||||
제231대 윤지완 | 제232대 류상운 | 제233대 신익상 | 제234대 윤지선 | |||||
제235대 서문중 | 제236대 최석정 | 제237대 이세백 | 제238대 민진장 | |||||
제239대 신완 | 제240대 김구 | 제241대 이유 | 제242대 서종태 | |||||
제243대 김창집 | 제244대 이이명 | 제245대 서종태 | 제246대 윤증 | |||||
제247대 김창집 | 제248대 조상우 | 제249대 김창집 | 제250대 김우항 | |||||
제251대 이이명 | 제252대 권상하 | 제253대 조태채 | 제254대 이건명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255대 조태구 | 제256대 최석항 | 제257대 이광좌 | }}} | ||||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조선 정사공신(인조) | ||||||||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623년 3월 13일 인조에 의해 책록 | |||||||
정사일등공신 (1등) | ||||||||
김류 | 이귀 | | | |||||
신경진 | 이서 | 최명길 | 이흥립 | |||||
구굉 | 심명세 |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 정사이등공신 (2등) | |||||
| | 신경인 | 이중로 | |||||
이시백 | 이시방 | 장유 | 원두표 | |||||
이해 | 신경유 | 박호립 | 장돈 | |||||
구인후 | 장신 | 심기성 | ||||||
정사삼등공신 (3등) | ||||||||
박유명 | 한교 | 송영망 | 이항 | |||||
최래길 | 신경식 | 구인기 | 조흡 | |||||
이후원 | 홍진도 | 원우남 | 김원량 | |||||
신준 | 노수원 | 유백증 | 박정 | |||||
홍서봉 | 이의배 | 이기축 | 이원영 | |||||
송시범 | 김득 | 홍효손 | 김연 | |||||
유순익 | 한여복 | 홍진문 | 유구 | }}}}}}}}}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완남부원군(完南府院君) 충정공(忠貞公) 이후원 李厚源 | |
<nopad> | |
출생 | 1598년 9월 11일 (음력 선조 31년 8월 11일) |
사망 | 1660년 3월 14일 (향년 61세) (음력 현종 1년 2월 4일) |
봉호 | 완남부원군(完南府院君) |
시호 | 충정(忠貞) |
본관 | 전주 이씨 |
자 | 사심(士深) |
호 | 오재(迂齋) |
부모 | 부친 - 이욱(李郁) 모친 - 장수 황씨(長水黃氏) |
부인 | 초실 광산 김씨 계실 영월 신씨 |
자녀 | 3남 2녀 장남 - 이주(李週) 김씨 소생 차남 - 이운(李運) 김씨 소생 3남 - 이선(李選) 김씨 소생 장녀 - 이수강(李壽康) 김씨 소생 차녀 - 이수애(李壽愛) 신씨 소생 |
[clearfix]
1. 개요
조선 중기의 문신. 세종의 적5남 광평대군의 7대손이다.2. 생애
어려서부터 김장생의 밑에서 글을 배운 영향으로 당색은 서인이었다. 1623년(인조 1)에 일어난 인조반정에서 공을 세워 정사공신 3등에 책록되고 본관인 전주의 별호 완산(完山)에서 유래한 완남군(完南君)으로 봉해졌다. 이후 주로 지방관을 두루 거쳐 태인현감과 군수, 단양과 익산의 군수, 충청도와 함경도의 관찰사, 강화부유수, 그리고 한성부서윤, 우윤 및 판윤 직을 역임했다. 태인현감으로 재직할 당시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결사대를 이끌고 반란군 진압에 참여했다.정묘호란이 발발하자 참전하여 총융청의 주장 총융사를 종사관으로서 보좌했다. 1635년(인조 13) 증광 문과에 급제했고 1636년(인조 14) 대간인 지평, 장령을 역임했다. 그 해 말에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척화파로서 청나라와의 결사항전을 인조에게 건의했다. 또한 인조가 피신해있던 남한산성을 청나라 군대가 포위하여 인조가 다른 곳으로 갈지 말지 고민하자 남한산성을 끝까지 지켜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전후 승정원의 동부승지, 좌부승지, 우승지를 거쳐 사헌부 대사간, 대사헌을 맡았다. 1644년(인조 22) 심기원이 종친 회은군을 추대하려는 역모를 일으키자 이를 평정했다.
효종이 즉위한 뒤에는 세자좌부빈객 자격으로 《인조실록》 제작에 편수관으로 참여했고, 성균관 대사성을 거쳐 도승지와 예조, 형조, 공조, 이조의 판서를 두루 지낸 뒤 1657년(효종 8) 우의정에 올랐다. 1660년(현종 1) 향년 세는나이 63세, 만 61세로 세상을 떠났다. 사후 8년 뒤인 1668년(현종 9) 시호 충정(忠貞)을 받았고# 1685년(숙종 11) 경기도 광주의 수곡서원에 제향되었다.
3. 가족과 후손
상술했듯 광평대군의 후손이다. 가계는 이렇게 내려온다.광평대군 - 영순군 - 청안군 이영 - 정안부정 이천수 - 이한 - 이인건 - 이욱 - 이후원
이후원은 이욱의 3남으로, 위로 형이 2명 있었다. 이들의 이름은 이후재, 이후배이다.이후원은 슬하에 3남 2녀를 두었다. 이중 차남 이운은 자식을 낳지 못하고 죽었으며 양자로 입적한 사람도 없어 후사가 끊겼다. 장남 이주는 1남 2녀를 두었고 3남 이선은 3남 1녀를 낳았다. 이들의 자손이 번성하여 현재 이후원의 후손들은 수가 많다.
- 부 : 완산부원군 이욱(完山府院君 李郁)
- 모 : 장수 황씨(長水 黃氏) - 문정 황정욱(文貞 黃廷彧)의 딸
- 정부인 : 증 정경부인 광산 김씨(贈 貞敬夫人 光山 金氏) - 김반[1](金槃)의 딸
- 장남 : 이주(李週, 1625 ~ ?)
- 며느리 : 연안 이씨(延安 李氏) - 충정 이시방(忠靖 李時昉)의 딸
- 차남 : 이운(李運)
- 3남 : 이선(李選, 1632 ~ ?)
- 며느리 : 파평 윤씨(坡平 尹氏) - 윤강(尹絳)의 딸
- 며느리 : 창원 황씨(昌原 黃氏) - 황일보(黃一皓)의 딸
- 손자 : 이성휘(李聖輝)
- 손자 : 이창휘(李昌輝)
- 손자 : 이장휘(李長輝)
- 손녀 : 홍우령(洪禹寧)에게 출가
- 장녀 : 이수강(李壽康, 1634 ~ ?)
- 사위 : 청성부원군 문충공 김석주(淸城府院君 文忠公 金錫冑) - 청릉부원군 김좌명(淸陵府院君 金佐明)의 아들
- 계부인 : 정경부인 영월 신씨(貞敬夫人 寧越 辛氏) - 신희도(辛喜道)의 딸
- 차녀 : 이수애(李壽愛, 1655 ~ ?)
- 사위 : 응교 박태보(應敎 朴泰輔) - 문절 박세당(文節 朴世堂)의 아들
4. 여담
5. 묘역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 ||||
28호 | ← | 29호 | → | 30호 |
도봉서원과 각석군 | 완남부원군 이후원 묘역 | 월산대군 이정 태실 |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29호 | |
완남부원군 이후원 묘역 完南府院君 李厚源 墓域 | |
소재지 | <colbgcolor=#fff,#191919> 서울특별시 강남구 |
분류 |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기타 |
수량 / 면적 | 분묘 1基, 석물 9基, 토지 2,039.6㎡ |
지정연도 | 2009년 12월 31일 |
<colbgcolor=#c00d45,#94153e> 이후원 묘[2] |
현재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이후원의 묘가 있다. 조상인 광평대군 묘역 근처에 있다. 원래는 경기도 금천 삼석산에 있었다가 경기도 광주 세곡을 거쳐 1704년(숙종 30년)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졌다.
묘의 동남쪽에는 이후원의 일생과 업적이 적힌 묘비가 세워져있다. 이후원이 등용한 송시열과 송준길이 글을 짓고 이경직의 아들 이정영이 글씨를 썼으며, 묘비 상단의 머릿글은 김수항이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