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1 16:46:39

김우창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재 회원
[분과별 예술 분야]
문학분과: 소설, 시, 아동문학, 평론
미술분과: 건축, 공예, 동양화, 서양화, 서예, 조각, 태피스트리
음악분과: 국악, 바이올린, 성악, 작곡, 지휘, 첼로, 피아노
연극분과: 극작, 무대미술, 연기, 연출
영화분과: 감독, 시나리오, 연기
무용분과: 무용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유종호 전뢰진 안형일 김정옥
김우창 이신자 황영금 임권택
황동규 최종태 이경숙 조흥동
이근배 윤명로 이재숙 최청자
김원일 이종상 서계숙 박정자
서정인 유희영 한명희 김숙자
한말숙 박광진 윤대성
김후란 엄태정 나인용 김지미
김화영 김숙진 나덕성 손숙
김주연 강찬균 신수정 정승희
오세영 최의순 이경숙 김민희
정현종 정상화 김민 박명숙
유안진 윤승중 이영자 손진책
정연희 홍석창 백병동 정지영
김주영 조정현 장혜원 이호재
오정희 김형대 김성길 신영균
신달자 이철주 윤미용 신구
윤흥길 - 정진우 이강백
천양희 - 이만방 안성기
전상국 - 김우진 김긍수
최동호 - - -
권영민 - - -
김광규 - - -
작고 회원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박종화 고희동 박태준 안종화
염상섭 이상범 현제명 이규환
조연현 장발 이주환 유치진
유치환 손재형 김성태 이해랑
서정주 배렴 김동진 오영진
윤백남 김환기 성경린 변기종
오상순 윤효중 김영의 서항석
이헌구 노수현 김원복 이광래
김동리 도상봉 정훈모 김동원
황순원 김인승 이흥렬 박진
김말봉 배길기 임원식 김정환
곽종원 허백련 김생려 이진순
모윤숙 이종우 김세형 조택원
신석초 김은호 이혜구 유한철
박영준 이병규 이상춘 이병일
김광섭 장우성 장사훈 이원경
이은상 김경승 김자경 김천흥
박화성 이순석 김기수 김소동
박목월 오지호 박민종 김충실
백철 김종영 전봉초 차범석
최정희 박영선 김성진 유현목
안수길 박득순 정희석 송범
윤석중 천경자 홍원기 장민호
오영수 이유태 황병덕 김수용
김기진 유영국 정회갑 최금동
임옥인 류경채 김순열 임성남
구상 김원 김순애 이근삼
손소희 김기창 이성천 신봉승
이범선 이종무 황병기 김기영
조병화 김충현 이인영 박현숙
김춘수 이준 백낙호 김문숙
정한모 허건 권오성 강성희
김윤성 박노수 강석희 김지헌
박연희 권옥연 김남윤 임영웅
선우휘 백문기 이규도 이병복
정한숙 문학진 박노경 김기덕
신동집 남관 백성희
강신재 이대원 박조열
박양균 권순형 황정순
한무숙 오승우 송수남
김성한 이광노 김학자
전숙희 윤영자 변장호
홍윤숙 권영우 남궁원
김남조 손동진 오현경
이호철 민경갑
김종길 조수호
김요섭 이수덕
홍성유 서세옥
문덕수 김흥수
이어령 김병기
박두진 한도용
서기원 송영방
조경희 권창륜
성찬경
김윤식
최일남
박완서
이청준
박희진
오탁번
신경림 }}}}}}}}}
대한민국 문화훈장 수훈자
파일:문화금관.jpg
<colbgcolor=#980000><colcolor=#EDE4D3> 연도 <colbgcolor=#EDE4D3><colcolor=#980000> 2022년
이름 김우창
분야 문학
금관문화훈장(1등급)

金禹昌
1936년 12월 17일 ~ ([age(1936-12-17)]세)

1. 개요2. 생애

1. 개요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로 한국 평론계의 거목이자 최종 보스 중 한명. 김우창 비판이 학계의 금기라는 주장이 있을 정도로 그 위상이 확고하다. 대한민국에서 손꼽는 세계적 수준의 인문학자이자 사상가이다.

유려하지만 단단한 글, 치밀한 논리, 그리고 사상적 깊이로 유명하다. 김우창 글의 특성은 사안의 다양한 모습을 전체적인 구조 속에 녹여내는 데 있다. 그래서 김우창의 글이 문장 단위로는 유려한데 글 전체로 보면 다소 난해하다는 지적이 있다. 그러나 한 사안을 다각도의 측면에서 깊이 있게 성찰하고 다양한 동서양의 사상들을 아우르며 나름의 논리로 승화하는 그의 글이 읽기 쉬울 수는 없는 법이다. 그가 저술한 글들은 엄연히 한국 인문학계의 고전으로 평가받을 만하다.

차남은 세계적인 수학자인 김민형 교수 이다.

2. 생애

1936년 12월 17일 전라남도 함평군에서 신민당 총재 권한대행 및 민권당 총재를 지낸 김의택의 1남 1녀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1948년 광주서석초등학교, 1951년 광주서중학교, 1954년 광주고등학교(3회) 졸업 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에 입학했으나 도중에 영어영문학과[1]로 전과하여 1958년 졸업하였다. 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영어영문학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1959년부터 1960년까지 오하이오 웨슬리언 대학교에서 수학했고, 1961년에는 코넬 대학교 대학원에서 영어영문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1975년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에서 미국문명사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63년부터 1974년까지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영어영문학과 전임강사, 1969년부터 1970년까지 버팔로 대학교 미국학 과정 연구원, 1970년부터 1972년까지 버팔로 대학교 조교수를 지냈다. 이후 귀국해 1974년부터 2002년까지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그 사이 1980년대 초 하버드 대학교에 방문교수로 파견된 바 있고, 도쿄대학 교환교수, 대학원장 등을 지냈다. 2003년부터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2008년부터 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 등으로 있다.

또한 1976년부터 1996년까지 "세계의 문학" 편집위원, 1999년부터 2009년까지 "비평" 발행인을 지냈다. 2000년 제1회 서울국제문학포럼 조직위원회 위원장을 시작으로 2004년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전 주빈국 조직위원장, 2005년 제2회 서울국제문학포럼 조직위원회 위원장을 거쳐 2008년 동아시아포럼 한국집행위원회 위원장, 2011년 제3회 서울국제문학포럼 조직위원회 위원장을 맡는 등 국내외의 여러 행사를 주관했다.

저서로 『궁핍한 시대의 시인』, 『지상의 척도』 등이 있다. 『깊은 마음의 생태학』이라는 책을 2014년도에 출간했다. 2016년 에는 김우창 전집 전 17권이 민음사에서 나왔다. 편집위원으로 문광훈 충북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가 참여했다. 얼마 전에는 에피파니에서 <법과 양심>이라는 책이 출간되었다. 이후에도 계속해서 학문적인 글쓰기를 멈추지 않으며 말년임에도 왕성한 학문적 생산력을 몸소 보여주고 있다.

2000년대 초반부터 경향신문에 시평을 쓰고 있다. 현재는 중앙SUNDAY에 칼럼을 연재한다.

2018년 이탈리아 최고 권위 학회인 아카데미아 암브로시아나에 정회원으로 입성하였다.

2022년 최고등급 문화훈장인 금관문화훈장을 수훈하였다. 대부분 사후 수훈이 많은데 생존 중 수훈이라 더욱 수훈의 위상이 높았다.

[1] 평론가 김종철도 이곳에서 공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