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03 12:49:50

이근삼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재 회원
[분과별 예술 분야]
문학분과: 소설, 시, 아동문학, 평론
미술분과: 건축, 공예, 동양화, 서양화, 서예, 조각, 태피스트리
음악분과: 국악, 바이올린, 성악, 작곡, 지휘, 첼로, 피아노
연극분과: 극작, 무대미술, 연기, 연출
영화분과: 감독, 시나리오, 연기
무용분과: 무용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유종호 전뢰진 안형일 김정옥
김우창 이신자 황영금 임권택
황동규 최종태 이경숙 조흥동
이근배 윤명로 이재숙 최청자
김원일 이종상 서계숙 박정자
서정인 유희영 한명희 김숙자
한말숙 박광진 윤대성
김후란 엄태정 나인용 김지미
김화영 김숙진 나덕성 손숙
김주연 강찬균 신수정 정승희
오세영 최의순 이경숙 김민희
정현종 정상화 김민 박명숙
유안진 윤승중 이영자 손진책
정연희 홍석창 백병동 정지영
김주영 조정현 장혜원 이호재
오정희 김형대 김성길 신영균
신달자 이철주 윤미용 신구
윤흥길 - 정진우 이강백
천양희 - 이만방 안성기
전상국 - 김우진 김긍수
최동호 - - -
권영민 - - -
김광규 - - -
작고 회원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박종화 고희동 박태준 안종화
염상섭 이상범 현제명 이규환
조연현 장발 이주환 유치진
유치환 손재형 김성태 이해랑
서정주 배렴 김동진 오영진
윤백남 김환기 성경린 변기종
오상순 윤효중 김영의 서항석
이헌구 노수현 김원복 이광래
김동리 도상봉 정훈모 김동원
황순원 김인승 이흥렬 박진
김말봉 배길기 임원식 김정환
곽종원 허백련 김생려 이진순
모윤숙 이종우 김세형 조택원
신석초 김은호 이혜구 유한철
박영준 이병규 이상춘 이병일
김광섭 장우성 장사훈 이원경
이은상 김경승 김자경 김천흥
박화성 이순석 김기수 김소동
박목월 오지호 박민종 김충실
백철 김종영 전봉초 차범석
최정희 박영선 김성진 유현목
안수길 박득순 정희석 송범
윤석중 천경자 홍원기 장민호
오영수 이유태 황병덕 김수용
김기진 유영국 정회갑 최금동
임옥인 류경채 김순열 임성남
구상 김원 김순애 이근삼
손소희 김기창 이성천 신봉승
이범선 이종무 황병기 김기영
조병화 김충현 이인영 박현숙
김춘수 이준 백낙호 김문숙
정한모 허건 권오성 강성희
김윤성 박노수 강석희 김지헌
박연희 권옥연 김남윤 임영웅
선우휘 백문기 이규도 이병복
정한숙 문학진 박노경 김기덕
신동집 남관 백성희
강신재 이대원 박조열
박양균 권순형 황정순
한무숙 오승우 송수남
김성한 이광노 김학자
전숙희 윤영자 변장호
홍윤숙 권영우 남궁원
김남조 손동진 오현경
이호철 민경갑
김종길 조수호
김요섭 이수덕
홍성유 서세옥
문덕수 김흥수
이어령 김병기
박두진 한도용
서기원 송영방
조경희 권창륜
성찬경
김윤식
최일남
박완서
이청준
박희진
오탁번
신경림 }}}}}}}}}
<colbgcolor=darkslategray><colcolor=#fff> 이근삼
李根三
파일:이근삼.jpg
출생 1929년 6월 27일
평안남도 평양부 대찰리 145
(현 평양시 중구역 중성동)
사망 2003년 11월 28일 (향년 74세)
학력 평양사범학교
동국대학교 (영문학 / 학사)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대학원 (연극학 / 석사)
경력 동국대학교 교수
중앙대학교 교수
서강대학교 교수
1. 개요2. 생애3. 작품 활동 및 평가4. 여담5. 가족6. 수상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작가, 극작가, 교수.

2. 생애

1929년 평안남도 평양부 대찰리 145번지에서 3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평양 종로소학교를 거쳐 평양사범학교에 진학했으나 신의주 반공학생사건으로 촉발된 반공운동에 참여했다가 탄압을 피해 1946년 월남했다.

1947년 동국대학교의 전신인 혜화전문학교 문과에 편입, 1952년 동국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했다. 6.25 전쟁 중에는 통역장교로 복무했으며, 졸업과 동시에 육군사관학교 교관으로 영어를 가르쳤다. 1955년 동국대학교 영문과에 교수로 부임했다. 이듬해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대학원에 유학하여 연극이론과 희곡창작을 공부하고 1959년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하여 동국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연극영화과 창설에 관여했다.

1962년 중앙대학교 연극영화과 교수로 옮겼고, 1969년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로 이직했다. 이후 최종적으로 서강대에서 정년퇴직하였고 2003년 11월 28일 숙환으로 별세했다.

한국펜클럽본부 부회장을 역임했다.

3. 작품 활동 및 평가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유학 시절 영어로 쓴 첫 희곡 '끝없는 실마리'와 '다리 밑에서'가 노스캐롤라이나 극단에서 공연되었다.

1960년 사상계에 발표한 '원고지'를 시작으로 '대왕은 죽기를 거부했다' '거룩한 직업' '위대한 실종' '국물 있사옵니다' '유랑극단' '데모스테스의 재판' '30일간의 야유회' '아벨만의 재판' '게사니' '향교의 손님' '막차 탄 동기동창' '이성계의 부동산' 등의 작품을 발표했다.

사실주의극 중심을 이루던 연극계에 풍자성을 강조한 희극 형식을 시도하고 서사적 기법을 도입했다. 비상식적인 인물과 소극적 요소를 도입하여 연극적인 재미를 추구하면서도 특유의 풍자와 해학, 패러디를 통해 사회부조리를 날카롭게 비판하고 현재인의 위선적인 삶을 예리하게 파헤쳤다. 무엇보다 상투적이고 통념화한 연극의 시공간을 깨뜨리고 새로운 연극공간을 확장시켜 연극에 시간의 개념을 확대했으며 서사적 수법, 우화적 수법, 표현주의적 수법, 극적인 아이러니의 수법, 소극적 수법, 음악적 요소, 시적 분위기 등 극적인 제시의 방법을 도입한 것은 획기적인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때문에 한국 부조리극의 효시로 꼽히는 희곡 작가다.

4. 여담

  • 김수미에게 배우를 하라고 권유한 장본인이다. 이후 라디오스타에서 김수미가 언급한다.[1]#

5. 가족

  • 부인 홍인숙(洪仁淑)
    • 장녀 이유리(李惟悧)
    • 차녀 이유원(李惟媛)
    • 3녀 이유정(李惟貞)

6. 수상



[1] 영상 8분 19초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