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4 01:01:14

장사훈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재 회원
[분과별 예술 분야]
문학분과: 소설, 시, 아동문학, 평론
미술분과: 건축, 공예, 동양화, 서양화, 서예, 조각, 태피스트리
음악분과: 국악, 바이올린, 성악, 작곡, 지휘, 첼로, 피아노
연극분과: 극작, 무대미술, 연기, 연출
영화분과: 감독, 시나리오, 연기
무용분과: 무용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유종호 전뢰진 안형일 김정옥
김우창 이신자 황영금 임권택
황동규 최종태 이경숙 조흥동
이근배 윤명로 이재숙 최청자
김원일 이종상 서계숙 박정자
서정인 유희영 한명희 김숙자
한말숙 박광진 윤대성
김후란 엄태정 나인용 김지미
김화영 김숙진 나덕성 손숙
김주연 강찬균 신수정 정승희
오세영 최의순 이경숙 김민희
정현종 정상화 김민 박명숙
유안진 윤승중 이영자 손진책
정연희 홍석창 백병동 정지영
김주영 조정현 장혜원 이호재
오정희 김형대 김성길 신영균
신달자 이철주 윤미용 신구
윤흥길 - 정진우 이강백
천양희 - 이만방 안성기
전상국 - 김우진 김긍수
최동호 - - -
권영민 - - -
김광규 - - -
작고 회원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박종화 고희동 박태준 안종화
염상섭 이상범 현제명 이규환
조연현 장발 이주환 유치진
유치환 손재형 김성태 이해랑
서정주 배렴 김동진 오영진
윤백남 김환기 성경린 변기종
오상순 윤효중 김영의 서항석
이헌구 노수현 김원복 이광래
김동리 도상봉 정훈모 김동원
황순원 김인승 이흥렬 박진
김말봉 배길기 임원식 김정환
곽종원 허백련 김생려 이진순
모윤숙 이종우 김세형 조택원
신석초 김은호 이혜구 유한철
박영준 이병규 이상춘 이병일
김광섭 장우성 장사훈 이원경
이은상 김경승 김자경 김천흥
박화성 이순석 김기수 김소동
박목월 오지호 박민종 김충실
백철 김종영 전봉초 차범석
최정희 박영선 김성진 유현목
안수길 박득순 정희석 송범
윤석중 천경자 홍원기 장민호
오영수 이유태 황병덕 김수용
김기진 유영국 정회갑 최금동
임옥인 류경채 김순열 임성남
구상 김원 김순애 이근삼
손소희 김기창 이성천 신봉승
이범선 이종무 황병기 김기영
조병화 김충현 이인영 박현숙
김춘수 이준 백낙호 김문숙
정한모 허건 권오성 강성희
김윤성 박노수 강석희 김지헌
박연희 권옥연 김남윤 임영웅
선우휘 백문기 이규도 이병복
정한숙 문학진 박노경 김기덕
신동집 남관 백성희
강신재 이대원 박조열
박양균 권순형 황정순
한무숙 오승우 송수남
김성한 이광노 김학자
전숙희 윤영자 변장호
홍윤숙 권영우 남궁원
김남조 손동진 오현경
이호철 민경갑
김종길 조수호
김요섭 이수덕
홍성유 서세옥
문덕수 김흥수
이어령 김병기
박두진 한도용
서기원 송영방
조경희 권창륜
성찬경
김윤식
최일남
박완서
이청준
박희진
오탁번
신경림 }}}}}}}}}

장사훈
金鍾熙
파일:국악학자 장사훈.jpg
<colbgcolor=#94153e> 운초(云初)
본관 직제학계 인동 장씨
국적 일본령 조선파일:일본 제국 국기.svg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직업 이왕직 아악부 아악수(1936년~1944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교수
(1961년~1982년)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청주대학교 예술대학 객원 교수
청주대학교 예술대학 학장
(1986년~1989년)
'한국국악교육학회' 설립자
출생 1916년 11월 26일(음력 8월 15일).
경상북도 영주군 이산면 운문리
사망 1991년 9월 25일. 충청북도 청주시
(향년 75세)
[clearfix]
1. 개요2. 상세

1. 개요

일제강점기, 한국 음악이 축소되고, 잊혀지던 시기국악을 이어가고 연구하던 국악학자. 한국국악교육학회의 설립자이자 이왕직 아악부 출신의 국악인.

2. 상세

호는 운초(云初). 경상북도 영주시(당시에는 영주군) 출생이다. 1916년 11월 26일(음력 8월 15일) 일본령 조선 경상북도 영주군 이산면 운문리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9살이 되던 해인 1924년에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홀로 서울에 오게 되었으나 당시 장사훈은 돈이 없었기 때문에 남들이 학교에 다닐 때에도 일을 하면서 학업에 종사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1931년, 그 당시 공립으로 운영되던 청운보통학교를 졸업하였고 당시 법관이나 변호사를 희망하였으나, 부족한 형편으로 인하여 담임선생님의 권유로 당시 이왕직에서 운영하던 이왕직 아악부원 양성소에 들어가게 되었다. 당시 이왕직 아악부는 학비가 모두 면제되고 옷을 비롯한 여러 학용품과 도서(책)들도 줄 뿐더러 매달 품삯까지 나온다는 것이었다. 게다가 이왕직 예식과의 수석 전사로 있는 친구할아버지 또한 그에게 “네 재주가 아깝다.”며 꼭 이왕직 아악부에 들어가기 위한 입시를 보라고 하였다. [1]
그렇게 들어가게 된 이왕직 아악부가 그의 인생을 송두리채 바꾸게 된다. 1931년. 마침내 장사훈은 이왕직 아악부원양성소(李王職雅樂部員養成所)에 제 4기생으로 입소하여 거문고를 전공 악기로 하여금 활동하게 되었다. 이후 장사훈은 1936년부터 1944년까지 이왕직 아악부 아악수로 재직하는 동안 하규일과 임기준으로부터 가곡·가사·시조를 배워 악보를 만들었는데, 후에 그 일부가 단행본으로 출간되게 되었다. 장사훈은 일찍이 조선과 고려, 신라 등의 고악보들을 수집,해독하고 관심있게 연구하였다. 그는 광복 3년전인 1942년에 '보허자논고(步虛子論攷)'라는 생애 첫 논문을 발표하였고, 광복 직후인 1945년 미군정청 학무국 편수관을 역임하였다. 그 후로는 중앙방송국 국악프로담당을 맡고, 편집부[구]에 근무를 하게 되었다.
장사훈은 1954년부터 덕성여자대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교무과장 등의 보직을 역임하게 되었다. 그는 1961∼1982년 당시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1968년 서울대학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게 되었다. 이 밖에 한국국악교육학회를 설립하여 [국악교육] 학술지를 출간하였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부설 동양음악연구소를 설치하여 '민족음악학'이라는 학술지를 발간하였다.
1982년부터 청주대학교 예술대학 객원 교수로 있으면서 1986년∼1989년 청주대학교 예술대학 학장을 역임하였고, 1991년 청주대학교 운초민족음악자료관 관장으로 재직하였다.이후 1982년에 서울대학교를 정년 퇴임한 후, 명예교수의 자격으로 후진교육에 진력하였으며 이후 1982년 청주대학교 예술대학 학장으로 부임하면서 청주에도 우리음악을 공부할 수 있는 국악과가 생기게 되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그는 평생 국악이론의 체계화와 후진양성에 힘썼으며, 현대 국악관련 학문들의 주요 부분들을 마련하고 많은 제자들을 배출하여 국악발전에 이바지하였다 장사훈은 이후 76세의 생일을 2달 앞둔 1991년 9월 23일, 초가을에 자신이 일하던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숨을 거두었다.

[1] 그 당시 장사훈은 막상 다른 길이 없다는 생각이 들면서도 며칠 동안 밤을 새며 울었다고 전해진다. 당시로서는 조선 음악에 대한 인식이 그다지 좋지 않았을 뿐더러 돈이 돼지도 못하던 시기였기에 더욱 그러할 수밖에 없었다.[구] 합동통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