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7 08:58:46

이병일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재 회원
[분과별 예술 분야]
문학분과: 소설, 시, 아동문학, 평론
미술분과: 건축, 공예, 동양화, 서양화, 서예, 조각, 태피스트리
음악분과: 국악, 바이올린, 성악, 작곡, 지휘, 첼로, 피아노
연극분과: 극작, 무대미술, 연기, 연출
영화분과: 감독, 시나리오, 연기
무용분과: 무용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유종호 전뢰진 안형일 김정옥
김우창 이신자 황영금 임권택
황동규 최종태 이경숙 조흥동
이근배 윤명로 이재숙 최청자
김원일 이종상 서계숙 박정자
서정인 유희영 한명희 김숙자
한말숙 박광진 윤대성
김후란 엄태정 나인용 김지미
김화영 김숙진 나덕성 손숙
김주연 강찬균 신수정 정승희
오세영 최의순 이경숙 김민희
정현종 정상화 김민 박명숙
유안진 윤승중 이영자 손진책
정연희 홍석창 백병동 정지영
김주영 조정현 장혜원 이호재
오정희 김형대 김성길 신영균
신달자 이철주 윤미용 신구
윤흥길 - 정진우 이강백
천양희 - 이만방 안성기
전상국 - 김우진 김긍수
최동호 - - -
권영민 - - -
김광규 - - -
작고 회원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박종화 고희동 박태준 안종화
염상섭 이상범 현제명 이규환
조연현 장발 이주환 유치진
유치환 손재형 김성태 이해랑
서정주 배렴 김동진 오영진
윤백남 김환기 성경린 변기종
오상순 윤효중 김영의 서항석
이헌구 노수현 김원복 이광래
김동리 도상봉 정훈모 김동원
황순원 김인승 이흥렬 박진
김말봉 배길기 임원식 김정환
곽종원 허백련 김생려 이진순
모윤숙 이종우 김세형 조택원
신석초 김은호 이혜구 유한철
박영준 이병규 이상춘 이병일
김광섭 장우성 장사훈 이원경
이은상 김경승 김자경 김천흥
박화성 이순석 김기수 김소동
박목월 오지호 박민종 김충실
백철 김종영 전봉초 차범석
최정희 박영선 김성진 유현목
안수길 박득순 정희석 송범
윤석중 천경자 홍원기 장민호
오영수 이유태 황병덕 김수용
김기진 유영국 정회갑 최금동
임옥인 류경채 김순열 임성남
구상 김원 김순애 이근삼
손소희 김기창 이성천 신봉승
이범선 이종무 황병기 김기영
조병화 김충현 이인영 박현숙
김춘수 이준 백낙호 김문숙
정한모 허건 권오성 강성희
김윤성 박노수 강석희 김지헌
박연희 권옥연 김남윤 임영웅
선우휘 백문기 이규도 이병복
정한숙 문학진 박노경 김기덕
신동집 남관 백성희
강신재 이대원 박조열
박양균 권순형 황정순
한무숙 오승우 송수남
김성한 이광노 김학자
전숙희 윤영자 변장호
홍윤숙 권영우 남궁원
김남조 손동진 오현경
이호철 민경갑
김종길 조수호
김요섭 이수덕
홍성유 서세옥
문덕수 김흥수
이어령 김병기
박두진 한도용
서기원 송영방
조경희 권창륜
성찬경
김윤식
최일남
박완서
이청준
박희진
오탁번
신경림 }}}}}}}}}
파일:이병일(영화감독).jpg
성명 이병일()
본명 이병일() 또는 이병록()[1]
졸정(箤丁)
출생 1910년 6월 2일
함경남도 함흥
사망 1987년 11월 27일 (향년 77세)
가족 배우자 윤정명, 2남 2녀
남동생 이성구, 제수 이은심
학력 함흥고등보통학교
도쿄 미사키영어전문학교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영화과
데뷔 반도의 봄》(1941)
활동 기간 1932년 ~ 1987년

1. 개요2. 상세3. 수상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영화감독.

2. 상세

1910년 6월 2일 함경남도 함흥에서 태어났다. 이성구 감독의 형이다.

어려서부터 연극, 영화에 관심이 많아 함흥고등보통학교 재학 시절 함흥의 '예림회' 문예부장 안종화를 자주 찾아다녔다. 1930년 미국에서 영화 공부를 하고 돌아온 황운의 권유로 영화계에 입문, 황운 감독의 1932년작 《딱한 사람들》에 출연했다.

이후 도쿄 미사키(三崎)영어전문학교로 유학을 떠나 졸업 후 니카츠(日活)촬영소에 입사하여 아베 유카타(阿部豊)의 조감독으로 일했다. 1940년 귀국하여 함흥의 명보극장을 운영하던 이기웅과 함께 명보영화사를 세워 1941년 《반도의 봄》으로 입봉했다. 1942년 통제영화회사인 조선영화제작소에 전속 감독으로 입사하여 일제 침략전쟁과 영화통제정책을 옹호하는 영화를 제작하였고, 이로 인해 민족문제연구소친일인명사전 영화부문에 등재되었다.

광복 후 조선영화건설본부에서 《해방뉴스》 제작에 참여했고 조선프롤레타리아영화동맹에도 이름을 올렸으며 1945년 12월 조선영화동맹 중앙집행위원으로 활동했다.

1948년 외무처장 한원신의 추천으로 20세기폭스사의 초청을 받아 미국으로 건너가 1949년 안창호의 아들이자 한국계 배우였던 안필립의 추천으로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영화를 공부했다.

1954년 귀국하여 동아영화사를 세우고 오영진의 희곡 '맹진사댁 경사'를 영화화한 《시집가는 날》이 1957년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제4회 아시아-태평양 영화제에서 특별희극상을 수상했는데, 이는 한국 영화 역사상 최초의 국제영화제 수상이었다. 또한 제7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되어 한국 영화사상 최초로 3대 영화제 경쟁 초청을 받은 감독이 되었다. 1958년에는 문교부 우수국산영화상 작품상과 감독상을 수상했다.

이후 《자유결혼》, 《청춘일기》, 《귀국선》 등을 연출했으며 수도영화사 부사장, 한국영화감독협회 회장,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회장, 아세아영화제작자연맹 부회장 등을 역임하고 1978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추대되었다.

1935년 윤정명과 결혼하여 2남 2녀를 두었으며 1987년 11월 27일 사망했다.

3. 수상



[1] 본명에 대해 기록마다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