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현재 회원 | |||
[분과별 예술 분야] 문학분과: 소설, 시, 아동문학, 평론 미술분과: 건축, 공예, 동양화, 서양화, 서예, 조각, 태피스트리 음악분과: 국악, 바이올린, 성악, 작곡, 지휘, 첼로, 피아노 연극분과: 극작, 무대미술, 연기, 연출 영화분과: 감독, 시나리오, 연기 무용분과: 무용 | ||||
문학분과 | 미술분과 | 음악분과 | 연극·영화· 무용분과 | |
유종호 | 전뢰진 | 안형일 | 김정옥 | |
김우창 | 이신자 | 황영금 | 임권택 | |
황동규 | 최종태 | 이경숙 | 조흥동 | |
이근배 | 윤명로 | 이재숙 | 최청자 | |
김원일 | 이종상 | 서계숙 | 박정자 | |
서정인 | 유희영 | 한명희 | 김숙자 | |
한말숙 | 박광진 | 윤대성 | ||
김후란 | 엄태정 | 나인용 | 김지미 | |
김화영 | 김숙진 | 나덕성 | 손숙 | |
김주연 | 강찬균 | 신수정 | 정승희 | |
오세영 | 최의순 | 이경숙 | 김민희 | |
정현종 | 정상화 | 김민 | 박명숙 | |
유안진 | 윤승중 | 이영자 | 손진책 | |
정연희 | 홍석창 | 백병동 | 정지영 | |
김주영 | 조정현 | 장혜원 | 이호재 | |
오정희 | 김형대 | 김성길 | 신영균 | |
신달자 | 이철주 | 윤미용 | 신구 | |
윤흥길 | - | 정진우 | 이강백 | |
천양희 | - | 이만방 | 안성기 | |
전상국 | - | 김우진 | 김긍수 | |
최동호 | - | - | - | |
권영민 | - | - | - | |
김광규 | - | - | - | |
작고 회원 | ||||
문학분과 | 미술분과 | 음악분과 | 연극·영화· 무용분과 | |
박종화 | 고희동 | 박태준 | 안종화 | |
염상섭 | 이상범 | 현제명 | 이규환 | |
조연현 | 장발 | 이주환 | 유치진 | |
유치환 | 손재형 | 김성태 | 이해랑 | |
서정주 | 배렴 | 김동진 | 오영진 | |
윤백남 | 김환기 | 성경린 | 변기종 | |
오상순 | 윤효중 | 김영의 | 서항석 | |
이헌구 | 노수현 | 김원복 | 이광래 | |
김동리 | 도상봉 | 정훈모 | 김동원 | |
황순원 | 김인승 | 이흥렬 | 박진 | |
김말봉 | 배길기 | 임원식 | 김정환 | |
곽종원 | 허백련 | 김생려 | 이진순 | |
모윤숙 | 이종우 | 김세형 | 조택원 | |
신석초 | 김은호 | 이혜구 | 유한철 | |
박영준 | 이병규 | 이상춘 | 이병일 | |
김광섭 | 장우성 | 장사훈 | 이원경 | |
이은상 | 김경승 | 김자경 | 김천흥 | |
박화성 | 이순석 | 김기수 | 김소동 | |
박목월 | 오지호 | 박민종 | 김충실 | |
백철 | 김종영 | 전봉초 | 차범석 | |
최정희 | 박영선 | 김성진 | 유현목 | |
안수길 | 박득순 | 정희석 | 송범 | |
윤석중 | 천경자 | 홍원기 | 장민호 | |
오영수 | 이유태 | 황병덕 | 김수용 | |
김기진 | 유영국 | 정회갑 | 최금동 | |
임옥인 | 류경채 | 김순열 | 임성남 | |
구상 | 김원 | 김순애 | 이근삼 | |
손소희 | 김기창 | 이성천 | 신봉승 | |
이범선 | 이종무 | 황병기 | 김기영 | |
조병화 | 김충현 | 이인영 | 박현숙 | |
김춘수 | 이준 | 백낙호 | 김문숙 | |
정한모 | 허건 | 권오성 | 강성희 | |
김윤성 | 박노수 | 강석희 | 김지헌 | |
박연희 | 권옥연 | 김남윤 | 임영웅 | |
선우휘 | 백문기 | 이규도 | 이병복 | |
정한숙 | 문학진 | 박노경 | 김기덕 | |
신동집 | 남관 | 백성희 | ||
강신재 | 이대원 | 박조열 | ||
박양균 | 권순형 | 황정순 | ||
한무숙 | 오승우 | 송수남 | ||
김성한 | 이광노 | 김학자 | ||
전숙희 | 윤영자 | 변장호 | ||
홍윤숙 | 권영우 | 남궁원 | ||
김남조 | 손동진 | 오현경 | ||
이호철 | 민경갑 | |||
김종길 | 조수호 | |||
김요섭 | 이수덕 | |||
홍성유 | 서세옥 | |||
문덕수 | 김흥수 | |||
이어령 | 김병기 | |||
박두진 | 한도용 | |||
서기원 | 송영방 | |||
조경희 | 권창륜 | |||
성찬경 | ||||
김윤식 | ||||
최일남 | ||||
박완서 | ||||
이청준 | ||||
박희진 | ||||
오탁번 | ||||
신경림 | }}}}}}}}} |
은관문화훈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1974 박화성 소설가 | 1978 김환기† 화가 | 1978 나운규† 영화감독 | 1978 이중섭† 화가 | 1978 현진건† 소설가 | ||||
1980 박수근† 화가 | 1980 조치훈 바둑기사 | 1984 박두진 시인 | 1988 김광균 시인 | 1988 김중업 건축가 | |||||
1988 이봉상 화가 | 1989 조남철 바둑기사 | 1989 조훈현 바둑기사 | 1992 김영주 화가 | 1992 김춘수 시인 | |||||
1992 장리석 화가 | 1992 전광용 소설가 | 1992 한갑수 교수 | 1995 박노수 화가 | 1995 전왕영 시인 | |||||
1996 이창호 바둑기사 | 1998 김남조 시인 | 1999 박홍근 아동문학가 | 2001 권영우 화가 | 2001 박용철† 시인 | |||||
2001 박태현 작곡가 | 2001 신경림 시인 | 2001 유종호 문학평론가 | 2001 이지관 문화연구가 | 2001 최일남 소설가 | |||||
2001 홍연택 지휘자 | 2002 고은태[1] 시인 | 2002 김종하 화가 | 2002 나춘호 출판가 | 2002 민경갑 화가 | |||||
2002 박보희 한국문화재단 총재 | 2002 이수홍 한국문화협회 이사장 | 2002 이오덕 아동문학가 | 2002 이형기 시인 | 2002 이호철 소설가 | |||||
2002 정수봉 교육인 | 2003 박봉석 사서, 국립도서관학교 교장 | 2003 신동엽 시인 | 2003 이종상 화가 | 2003 천상병 시인 | |||||
2003 황병기 국악인 | 2004 김동혁[2] 연극인 | 2004 김사엽 국문학자 | 2004 김서봉 화가 | 2004 김충현 서예가 | |||||
2004 김희조 지휘자 | 2004 박연희 소설가 | 2004 엄대섭 도서관연구회장 | 2004 임동권 민속학자 | 2005 고우영 만화가 | |||||
2005 김성구[3] 불교인 | 2005 김충실[4] 무용가 | 2005 전숙희 수필가 | 2005 이문열 소설가 | 2006 이규태† 언론인 | |||||
2006 임영방 국립현대미술관장 | 2006 한명희 국립국악원장 | 2006 홍기삼 교육인 | 2007 김주영 소설가 | 2007 이강덕 종묘제례악 명예보유자 | |||||
2007 안병희 국어학자 | 2008 박광진 예술인 | 2008 오세영 시인 | 2008 최종태 조각가 | 2008 한백유[5] 화가 | |||||
2009 이미자 가수 | 2010 김희진 무형문화재 매듭장 | 2010 레프 콘체비치 러시아인 한국학자, 훈민정음 해례본 러시아어 번역 공로 | 2010 백건우 피아니스트 | 2010 백성희 연극배우 | |||||
2010 장민호 연극배우 | 2010 전혁림 화가 | 2011 신영균 영화배우 | 2011 이수만 가수, 연예기획사 사장 | 2011 하춘화 가수 | |||||
2011 이근배 시인 | 2011 해의만 국악인 | 2012 최영필[6] 가수 | 2012 김기덕 영화감독 | 2012 김순옥[7] 드라마 작가 | |||||
2012 손숙 연극배우 | 2012 윤일봉 배우 | 2013 구봉서 희극인 | 2013 안성기 영화배우 | 2013 조용필 가수 | |||||
2013 최인호 소설가 | 2013 김혜자[8] 가수 | 2014 김승옥 소설가 | 2014 박정란 드라마 작가 | 2014 송해 희극인 | |||||
2014 최영한[9] 배우 | 2015 이천백[10] 희극인 | 2015 이덕화 배우 | 2015 이성희 음반제작자 | 2016 김윤식 문학평론가 | |||||
2016 백영수 화가 | 2016 홍경일[11] 배우 | 2016 김명자[12] 배우 | 2016 김덕용[13] 희극인 | 2017 김남진[14] 가수 | |||||
2017 박근형 배우 | 2017 윤여정 배우 | 2018 이순재 배우 | 2018 김민기 가수 | 2018 조동진† 가수 | |||||
2019 김혜자 배우 | 2019 양희은 가수 | 2019 봉준호 영화감독 | 2020 변인철[15] 배우 | 2020 고두심 배우 | |||||
2020 유영기(1936) 인간문화재 궁시장 | 2021 김병기 화가 | 2021 이장희 가수 | 2021 이춘연† 영화인 | 2021 안숙선 국악인 | |||||
2021 한석홍† 사진 작가 | 2022 강수연† 배우 | 2022 박찬욱 영화감독 | 2023 원종철 삼원인쇄 대표 | 2024 신순기[16] 배우 | |||||
2024 강부자 배우 | |||||||||
박화성 朴花城|Park Hwaseong | ||
본명 | 박경순(朴景順) | |
호 | 소영(素影) | |
본관 | 밀양 박씨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출생 | 1904년 5월 30일[1] | |
전라남도 무안군 부내면 죽동 (現 목포시 죽동) | ||
사망 | 1988년 1월 30일 (향년 84세) | |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삼호빌라 자택 | ||
직업 | 소설가 | |
수훈 | 은관문화훈장 (1974년 추서) | |
학력 | <colbgcolor=#fff,#1f2023>목포정명여학교[2] (고등과 / 졸업)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졸업) 니혼여자대학 (영문학 / 중퇴) | |
등단 | 추석전후 (조선문단) (1925)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소설가.일제강점기부터 1980년대까지 활동한 소설가로, 일제강점기 시절 조선인 하층민의 실상과 노동자 등의 계급을 주제로하는 많은 소설을 발표하였다. 최초의 여류 소설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2. 생애
1904년 5월 30일, 전라남도 무안군 부내면 죽동(現 목포시 죽동)에서 아버지 박운서(朴雲瑞)의 5남매 중 막내 딸로 태어났다. 아버지 박운서는 선창가에서 객주업에 종사했다. 1915년 목포정명여학교 고등과[3], 1918년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를 졸업했다.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졸업 후 충청남도 천안군·아산군에 있던 공립보통학교의 교원으로 근무하다가 1922년 전라남도 영광군의 중학교로 자리를 옮겼다. 이후 3년간 영광군에 머무르면서 시조작가 조운(曺雲) 등과 교유하며 본격적으로 문학을 배웠다. 1925년에 조선문단에 「추석전후」라는 작품을 발표함으로써 정식으로 등단하였으나, 학업을 계속하기 위해 1926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니혼여자대학 영문학과에 입학했다. 1928년 오빠 박제민(朴濟民)의 친구였던 김국진(金國鎭)[4]을 만나 사귀게 되었고, 이듬해인 1929년 김국진과의 결혼 문제 등의 개인 사정으로 3학년 수료와 동시에 중퇴 후 귀국했다.
그러던 1931년, 남편 김국진은 반전주의를 주창하는 삐라를 유포한 혐의로 일본 제국 경찰에 검거되었다. 이후 1931년 12월 10일 예심에서 이른바 치안유지법 위반 및 출판법 위반 혐의에 대해 면소 판결을 받았으나, 1932년 4월 8일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에서 이른바 치안유지법 위반 및 출판법 위반 혐의로 징역 3년형(미결 구류일수 60일 통산)[5]을 선고받아 투옥되었다. 이 때문에 박화성은 가장으로서 생계를 꾸려야 했고, 1932년 5월에 이광수의 추천으로 '동광'에 단편소설 「하수도공사」를 발표함으로써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 작품에서는 조선인 노동자 같은 시대적 하층민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그들의 실상을 내포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그러나 1932년 장편소설 「백화」와 1936년에 발표한 「고향 없는 사람들」을 마지막으로 절필했고, 고향인 목포부로 돌아갔다. 1937년 만주국 지린성으로 가버린 김국진과 이혼하고 목포 부호였던 천독근(千篤根)과 재혼했는데, 장남 천승준(千勝俊), 차남 소설가 천승세(千勝世), 3남 천승걸(千勝傑) 등 슬하에 3남 1녀를 두었다.
1945년 8.15 광복을 맞이하고 다시 글을 쓰기 시작한 박화성은 1955년에 발표한 「고개를 넘으면」을 기준으로 장편 소설을 창작하기 시작했다.
1988년 1월 30일 새벽 6시에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삼호빌라 1동 자택에서 숙환으로 사망했다.
3. 작품 목록
3.1. 장편소설
- 고개를 넘으면
- 벼랑에 피는 꽃
3.2. 단편 소설
- 하수도공사
- 추석전후
- 홍수전후
- 백귀
- 한귀
- 고향 없는 사람들
3.3. 수필
- 추억의 파문
- 순간과 영원 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