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6 18:56:16

한갑수(1913)

파일:gukhoe_daihan.png
대한민국 국회의장비서실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c2b80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회의장비서실장 (1948~1954)
초대
윤보선
제2대
정운근
제3대
류광렬
민의원의장비서실장 · 참의원의장비서실장 (1954~1961)
초대

전홍진
제2대

우만형
제3대

한갑수
제4대

문상호
초대

김득황
국회의장비서실장 (1963~현재)
제1·2대
박정훈
제3대
박동윤
제4대
정재호
제5대
김종하
제6대
신경식
제7대
전재구
제8대
이원재
제9대
이하우
제10대
최명헌
제11대
이상구
제12대
이동복
제13대
구창림
제14대
강성재
제15대
이현구
제16대
구본태
제17대
구창림
제18대
황소웅
제19대
김석우
제20대
김덕배
제21대
박금옥
제22대
박우섭
제23대
김양수
제24대
최거훈
제25대
윤원중
제26대
정진석
제27대
김연광
제28대
김성동
제29대
이수원
제30대
김성
제31대
김교흥
제32대
황열헌
제33대
박수현
제34대
이기우
제35대
복기왕
제36대
김병관
제37대
최종길
제38대
박경미
제39대
조경호
제40대
김교식
}}}}}}}}}}}}}}} ||

파일:은관문화훈장 약장.png
은관문화훈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1974
박화성
소설가
1978
김환기
화가
1978
나운규
영화감독
1978
이중섭
화가
1978
현진건
소설가
1980
박수근
화가
1980
조치훈
바둑기사
1984
박두진
시인
1988
김광균
시인
1988
김중업
건축가
1988
이봉상
화가
1989
조남철
바둑기사
1989
조훈현
바둑기사
1992
김영주
화가
1992
김춘수
시인
1992
장리석
화가
1992
전광용
소설가
1992
한갑수
교수
1995
박노수
화가
1995
전왕영
시인
1996
이창호
바둑기사
1998
김남조
시인
1999
박홍근
아동문학가
2001
권영우
화가
2001
박용철
시인
2001
박태현
작곡가
2001
신경림
시인
2001
유종호
문학평론가
2001
이지관
문화연구가
2001
최일남
소설가
2001
홍연택
지휘자
2002
고은택[1]
시인
2002
김종하
화가
2002
나춘호
출판가
2002
민경갑
화가
2002
박보희
한국문화재단 총재
2002
이수홍
한국문화협회 이사장
2002
이오덕
아동문학가
2002
이형기
시인
2002
이호철
소설가
2002
정수봉
교육인
2003
박봉석
사서,국립도서관학교 교장
2003
신동엽
시인
2003
이종상
화가
2003
천상병
시인
2003
황병기
국악인
2004
김동혁[2]
연극인
2004
김사엽
국문학자
2004
김서봉
화가
2004
김충현
서예가
2004
김희조
지휘자
2004
박연희
소설가
2004
엄대섭
도서관연구회장
2004
임동권
민속학자
2005
고우영
만화가
2005
김성구[3]
불교인
2005
김충실[4]
무용가
2005
전숙희
수필가
2005
이문열
소설가
2006
이규태
언론인
2006
임영방
국립현대미술관장
2006
한명희
국립국악원장
2006
홍기삼
교육인
2007
김주영
소설가
2007
이강덕
종묘제례악 명예보유자
2007
안병희
국어학자
2008
박광진
예술인
2008
오세영
시인
2008
최종태
조각가
2008
한백유[5]
화가
2009
이미자
가수
2010
김희진
무형문화재 매듭장
2010
레프 콘체비치
러시아인 한국학자, 훈민정음 해례본 러시아어 번역 공로
2010
백건우
피아니스트
2010
백성희
연극배우
2010
장민호
연극배우
2010
전혁림
화가
2011
신영균
영화배우
2011
이수만
가수, 연예기획사 사장
2011
하춘화
가수
2011
이근배
시인
2011
해의만
국악인
2012
최영필[6]
가수
2012
김기덕
영화감독
2012
김순옥[7]
드라마 작가
2012
손숙
연극배우
2012
윤일봉
배우
2013
구봉서
희극인
2013
안성기
영화배우
2013
조용필
가수
2013
최인호
소설가
2013
김혜자[8]
가수
2014
김승옥
소설가
2014
박정란
드라마 작가
2014
송해
희극인
2014
최영한[9]
배우
2015
이천백[10]
희극인
2015
이덕화
배우
2015
이성희
음반제작자
2016
김윤식
문학평론가
2016
백영수
화가
2016
홍경일[11]
배우
2016
김명자[12]
배우
2016
김덕용[13]
희극인
2017
김남진
가수
2017
박근형
배우
2017
윤여정
배우
2018
이순재
배우
2018
김민기
가수
2018
조동진
가수
2019
김혜자
배우
2019
양희은
가수
2019
봉준호
영화감독
2020
변인철[14]
배우
2020
고두심
배우
2021
김병기
화가
2021
이장희
가수
2021
이춘연†
영화인
2021
안숙선
국악인
2021
한석홍†
사진 작가
2022
강수연
배우
2022
박찬욱
영화감독
2023
원종철
삼원인쇄 대표

[1] 필명 고은[2] 예명 김동원[3] 법명 월운[4] 예명 김백봉[5] 예명 한묵[6] 예명 금사향[7] 예명 김수현[8] 예명 패티김[9] 예명 최불암[10] 예명 남성남[11] 예명 남궁원[12] 예명 김지미[13] 예명 남보원[14] 예명 변희봉
}}}}}}}}} ||

<colbgcolor=#dddddd,#000000><colcolor=#000000,#dddddd>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 수훈자
파일:한갑수 교수.png
한갑수
韓甲洙
출생 1913년 6월 26일[1]
경기도 양근군 북상도면 위곡리
(현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위곡리)
사망 2004년 11월 21일 (향년 91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본관 청주 한씨[2]
상훈 은관문화훈장 (1992년 10월 9일)[3]
가족 한홍석(韓鴻錫) (아버지)
한상대[4] (아들)
박화서[5] (며느리)
한오람 (손자)
직업 관료, 한글학자, 방송인

1. 개요2. 생애3. 논란
3.1. 언어규범주의3.2. 독재부역
4. 선거 이력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독재부역 관료, 교수. 음악 관련 전공을 하였으나 독재에 부역하여 얻은 지위로 한글학자 행세를 하였다. 호는 눈메, 왈례(曰禮), 목원(牧原). 성악가로 대학/대학원교육을 받았으며 대학교 교강사 생활 역시 예체능 분야에서 하였다. 다만 독재정권에 부역한 관료로서 자신의 전공과 무관한 한글 관련 학회분야 지도직을 역임하였다. 그리고 이 경력을 기반으로 이후 한국어를 다루는 방송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애초에 한국어와 관련된 연구를 하던 사람이 아니었기에 왜곡되고 편향된 오류를 주입시킨 혐의가 있다. 관련내용은 '논란' 부분 참조.

2. 생애

1913년 6월 26일, 경기도 양근군 북상도면 위곡리(현 가평군 설악면 위곡리)에서 아버지 한홍석(韓鴻錫, 1899. 9. 24 ~ 1955. 2. 9)과 어머니 진천 송씨(鎭川 宋氏, 1873. 8. 26 ~ 1943. 4. 17)[6] 사이에서 3남 2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 고창고등보통학교, 일본 메이지대학 법학과, 주오음악학교 성악과 석사 과정을 졸업했다.

이후 귀국해 1948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강사로 출강했고, 이어 중앙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1957년부터 1960년까지 국회의장 이기붕비서실장을 지냈다. 이후 5.16 민족상[7] 이사, 민속음악협회 회장, 한글기계화연구소 이사장, 한글학회 회장, 한글재단 초대 이사장 등을 역임하였다.

2004년 11월 21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숙환으로 사망했다. (뉴스데스크)

3. 논란

3.1. 언어규범주의

잘못된 사실에 기반한 규범주의가 논란이 되는 이유는 규범주의와 기술주의 문서 참조.

1945년부터 37년 동안 KBS 1라디오 프로그램 '바른 말 고운 말'에 출연하였다. 이때 닭도리가 일본어의 잔재라느니 요즘(즉, 70-80년대) 세대의 한국어 파괴현상이 심각하다느니 등, 잘못된 사실관계에 기반한 규범주의에 경도된 발언으로 논란이 되었다.

며느리의 언어생활을 단속하고 가스라이팅하였다는 주장도 있다.#

3.2. 독재부역

한갑수는 이승만 정부 시기 정치에 관여하였다. 실제 한갑수는 이승만 팔순을 기념해 이승만을 극찬하는 송축시를 지어 서예작품으로 남긴 바 있다.
은 누리의 길이시요 겨레의 등불이시니이다
하늘 높이 솟은 달이 즈믄 가람에 비최옴 같이
임의 높으신 덕은 이 겨레의 가슴 깊이 스미어 가실줄이 없으리이다
임이시여 비옵기는 부디 오래 사오셔서
어두운 이땅 위에 높이 현 등불 다외소서
(작품보기)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경기도 포천군·연천군·가평군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 홍익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2년에는 제3차 국민투표에서 유신헌법 개헌투표에 찬성표를 던지도록 국민들을 독려하는 국민투표지도 계몽연설회 연사로 활동하였고 1975년에는 유신헌법 유지 및 정부 신임에 대한 찬반을 묻는 제4차 국민투표에서 찬성표를 던지도록 연설하며 국민투표 계몽담당자로 활동하였다.#

그런데 이는 아들 한상대4.19 혁명으로 투옥되었던 것과 대조되는 부분이다. 뿐만 아니라, 한갑수의 가족들의 표현에 따르면 한갑수는 '다른 민족을 인정하지 않고 폄하하며', '국수주의적 세계관을 자랑'하던 자폐적 전체주의자 이며, '기사가 운전하는 고급차가 아니면 출근하지 않던 속물(snob)이었다.

4. 선거 이력

연도 선거종류 선거구 소속정당 득표수(득표율) 당선여부 비고
1963 제6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포천군·연천군·가평군[8]

파일:민주당(1963년) 흰색 로고타입.svg
13,775표 (17.56%) 낙선 (3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음력 5월 22일.[2] 공안공파(恭安公派) 31세 수(洙) 항렬.[3] 국어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수훈#[4] 시드니대학 한국학과 교수. 前 명지대 교수[5] 前 명지대 이민학과 교수[6] 송순형(宋淳亨)의 딸이다.[7] 5.16 군사정변을 기념하는 상[8] 제6지역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