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2 22:37:44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ffcd00,#ffcd00>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담양 송강정(식영정[1], 송강정)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입암산성[2]}}}
  1. 월출산
  2. 담양추월산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소쇄원[3]}}}
  1. 면앙정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포충사[4]}}}
  1. 팔열부정각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광주향교[5]}}}
  1. 고하도이충무공유적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여수충민사[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광양 옥룡사 동백나무 숲[7]}}}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담양관방제임수[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이충무공선소유적[9]}}}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정지장군예장묘소[10]}}}
  1. 담양오충정려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능주향교[11]}}}
  1. 장흥연곡서원
  2. 표충사
  3. 왕인박사유적
  4. 목포시사
  5. 영광정렬각
  6. 영광정유재란열부순절지
  7. 화순백아산자연동굴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영암향교[12]}}}
1.#26 나대용생가및묘소
  1. 고흥발포만호성
  2. 영광내산서원
  3. 나주미천서원
  4. 장흥 월송리 백자요지
  5. 송광사흑토기와.전도요지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전상의장군묘소[13]}}}
  1. 고흥내발리백로및왜가리도래지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양송천의묘소[14]}}}
  1. 흥양현읍성
  2. 강진염걸장군묘소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윤선도의부용동정원[15]}}}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빙월당[16]}}}
  1. 수암서원
  2. 김완장군묘소및신도비
  3. 화순정암조광조선생적려유허비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광산칠석리은행나무[17]}}}
  1. 돌산평사리고니도래지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담양후산리명옥헌원림[18]}}}
  1. 담양후산리은행나무
  2. 선암사삼인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운주사지석불석탑}}}
  1. 정열사비
  2. 구고사및김완장군부조묘
  3. 김완장군전승유허비

[1] 명승 제57호로 승격[2] 사적 제384호로 승격[3] 사적 제304호로 승격[4]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7호로 지정변경[5]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9호로 지정변경[6] 사적 제381호로 승격[7] 천연기념물 제489호로 승격[8] 천연기념물 제366호로 승격[9] 사적 제392호로 승격[10]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2호로 지정변경[11]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24호로 지정변경[12]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 제126호로 지정변경[13]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3호로 지정변경[14]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8호로 지정변경[15] 명승 제34호로 승격[16]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9호로 지정변경[17]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0호로 지정변경[18] 명승 제58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담양금성산성[20]}}}
  1. 최희량장군신도비
  2. 장성 봉암서원
  3. 함평예덕리고분군
  4. 용산재및덕양사
  5. 나주무열사
  6. 고흥무열사
  7. 장흥수인산성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화순적벽[21]}}}
  1. 독수정원림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남평향교[22]}}}
  1. 장성 고산서원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순천향교[23]}}}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화순천태산비자나무숲[24]}}}
  1. 강진송정리지석묘군
  2. 부춘정원림
  3. 용호정원림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임대정원림[25]}}}
  1. 장성 요월정 원림
  2. 전씨충효문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양씨삼강문[2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고씨삼강문[27]}}}
  1. 송씨쌍충일열각
  2. 장윤정려
1.#76 정운충신각
  1. 화순능주삼충각
  2. 장성 조영규 정려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충효리정려비각[28]}}}
  1. 고흥운대리도요지
  2. 강진 삼흥리 도요지
  3. 영암엄길리지석묘군
  4. 영암내동리쌍무덤
  5. 영암옥야리방대형고분
  6. 해남방산리장고봉고분
  7. 해남월송리조산고분
  8. 나주회진성
  9. 나주자미산성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강진영랑생가[29]}}}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광산용아생가[30]}}}
  1. 강진금강사
  2. 학포당
  3. 나주완사천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해남성내리수성송[3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허백련춘설헌[32]}}}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오지호가[33]}}}
  1. 남해당지
  2. 영암장천리선사주거지
  3. 죽림재
  4. 신안도창리노거수

[19] 명승 제90호로 승격[20] 사적 제353호로 승격[21] 명승 제112호로 승격[22]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26호로 지정변경[23]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27호로 지정변경[24] 천연기념물 제483호로 승격[25] 명승 제89호로 승격[26]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1호로 지정변경[27]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2호로 지정변경[28]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4호로 지정변경[29] 국가민속문화유산 제252호로 승격[30]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3호로 지정변경[31] 천연기념물 제430호로 승격[32]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5호로 지정변경[33]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6호로 지정변경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곡성도림사계곡
  1. 해남신월리방대형고분
  2. 장암정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영보정[34]}}}
  1. 영팔정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석창성지[35]}}}
  1. 신안도창리고분
  2. 영암삼충각
  3. 영암장동사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고흥송씨쌍충정려[36]}}}
  1. 신여량장군정려
  2. 나주영모정
  3. 광양김시식지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보성전일리팽나무의줄나무[37]}}}
  1. 해남방축리지석묘군
  2. 고흥월정리의해안방풍림
  3. 함평양재리의이팝나무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영광법성리의느티나무[3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영암엄길리암각매향비[39]}}}
  1. 이진성지
  2. 해남용두리고분
  3. 함평마산리고분군
  4. 영광성산리지석묘군
  5. 화순벽송리지석묘군
  6. 월남사지
1.#126 전왕온의묘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승주초연정일원[40]}}}
  1. 고흥쌍충사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해남군곡리패총[41]}}}
  1. 신안가거도패총
  2. 완도법화사지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구례석주성[42]}}}
  1. 낙안읍성노거수
  2. 장흥방촌리지석묘군
  3. 나주신포리지석묘군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나주복암리고분군[43]}}}
  1. 해남맹진리암각매향비
  2. 구례장죽전녹차시배지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전라우수영성지[44]}}}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전라병영성지[45]}}}
  1. 담양경상리느티나무
  2. 해남송호리해송림
  3. 함평예덕리신덕고분군
  4. 영암금계리고분군
  5. 나주만호정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신안김환기가옥[46]}}}
  1. 벌교고읍리은행나무
  2. 무안망운면의곰솔
  3. 구례봉서리지석묘군
  4. 여수 오림동 지석묘군

[34] 보물 제2054호로 승격[35] 사적 제523호로 승격[36] 보물로 승격[37] 천연기념물 제480호로 승격[38] 명승 제22호로 승격[39] 보물 제1309호로 승격[40] 명승 제25호로 승격[41] 사적 제449호로 승격[42] 사적 제385호로 승격[43] 사적 제404호로 승격[44] 사적 제535호로 승격[45] 사적 제397호로 승격[46] 국가민속문화유산 제251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함평금산리방대형고분
  1. 함평죽암리고분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화순쌍산의소[47]}}}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완도황칠목[48]}}}
  1. 고흥여도진성지
  2. 나주송제리고분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순천검단산성지[49]}}}
  1. 함평용월리지석묘군
  2. 고흥유둔리덕암지석묘군
  3. 고흥중산리지석묘군
  4. 고흥과역리민등지석묘군
  5. 화순성화명도로수축시주목록암각기문
  6. 나주용곡리이팝나무
  7. 여수 호명동 방재림
  8. 해남연정리지석묘군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광양옥룡사지 일원[50]}}}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담양봉안리은행나무[51]}}}
  1. 담양원율리오평마을왕버들나무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장흥삼산리후박나무[52]}}}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장성단전리느티나무[53]}}}
  1. 순천왜성
  2. 순천죽내리유적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광양마로산성[54]}}}
  1. 구동양척식주식회사목포지점
  2. 무안석용리곰솔
1.#176 무안용정리곰솔
  1. 광양불암산성
  2. 광양중흥산성
  3. 강진마도진만호성지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화순서유리공룡발자국화석지[55]}}}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순천월평선사유적지[56]}}}
  1. 영암양장리곰솔
  2. 광주학생독립운동진원지나주역사
  3. 순천평촌리이팝나무
  4. 낙안교촌리은행나무
  5. 장성 영천리 방울샘
  6. 담양고성리월성산고분군
  7. 무안남안리태봉고분군
  8. 영광월산리월계고분군
  9. 영암태간리자라봉고분
  10. 영암금강리금산고분군
  11. 화순천덕리회덕고분군
  12. 화순오성산성
  13. 화순비봉산성
  14. 화순철옹산성
  15. 나주경렬사
  16. 영암사자사목탑지
  17. 장성 박수량 백비
  1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여수화정면공룡발자국화석지및퇴적층[57]}}}
  1. 담양평장동광산김씨유허비

[47] 사적 제485호로 승격[48] 천연기념물 제479호로 승격[49] 사적 제418호로 승격[50] 사적 제407호로 승격[51] 천연기념물 제482호로 승격[52] 천연기념물 제481호로 승격[53] 천연기념물 제478호로 승격[54] 사적 제492호로 승격[55] 천연기념물 제487호로 승격[56] 사적 제458호로 승격[57] 천연기념물 제434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나주장춘정
  1. 진도칠전리학계철비
  2. 강진윤복신도비
  3. 진도망금산관방성
  4. 영광법성진성
  5. 고흥절이도목장성
  6. 고흥남양리산성
  7. 고흥독치성
  8. 고흥백치성
  9. 고흥오치음성
  10. 고흥옥하리곰솔
  1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고흥관리탑상골곰솔}}}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고흥금사리은행나무}}}
  1. 고흥대강리의느티나무
  2. 영광군서회화나무
  3. 진도초하리무환자나무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진도석교리백목련}}}
  1. 천도교장흥교당
  2. 장성 김인후 신도비
  3. 해남화원면청자요지
  4. 장흥풍길리청자요지
  5. 신안흑산진리초령목자생지
  6. 신안암태도송곡리매향비
  7. 영광법성입암리매향비
  8. 광양신재최산두선생유허비
1.#226 화순 운월리 및 도장리 지석묘군
  1. 화순연월리지석묘군
  2. 영광대마성산리지석묘군
  3. 학계리지석묘군
  4. 여수 산수리 지석묘군
  5. 완도고금도지석묘군
  6. 순천정충사
  7. 강진읍성
  8. 진도 금갑진성
  9. 화순야사리느티나무
  10. 곡성당동리산성
  11. 화순동복연둔리숲정이
  12. 장흥신북구석기유적
  13. 신안흑산도상라산성
  14. 광양산남리남정지석묘군
  15. 장성 고경명 신도비
  16. 담양 매산리 소나무
  17. 신안 우이도 선창
  18. 여수 고락산성
  19. 해남 서동사 동백나무·비자나무 숲
  2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장흥 장천재 태고송}}}
  1. 화순 쌍봉사
  2. 해남 옥천 '만의총' 고분군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화순 고사정}}}
  1. 보성 도촌리 분청사기 요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255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58] 사적으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해남 달마산 봉수[59]}}}

[59] 사적으로 승격
}}}}}}}}}}}}

파일:한국관광100선 로고.svg파일:한국관광100선 로고(다크모드).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23~2024 ]
{{{#!wiki style="margin: -5px -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 수도권 청와대 앞길 | 경복궁 | 광명동굴 | 익선동 | 자라섬 | 서울숲 |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 | 수원 화성 | 창덕궁과 후원 | 인천 차이나타운 | 헤이리 예술마을 | 양평 두물머리 | 파주 임진각 | 강화 원도심 스토리워크 | 경희궁 | 롯데월드 어드벤처 | 서촌마을 | 덕수궁 | 서울랜드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남산서울타워 | 송도 센트럴파크 | 한국민속촌 | 에버랜드 | 안성팜랜드 | 송월동 동화마을 | 재인폭포 | 창경궁 | 스타필드 코엑스몰 | 백령도 | 대청도 | 홍대 | 여의도공원
강원권 인제 자작나무숲 | 춘천 삼악산 호수케이블카 | 도째비골 해랑전망대 | 남이섬 | 도째비골 스카이밸리 | 뮤지엄 산 | 간현관광지 | 대관령 관광특구 | 고석정 | 무릉계곡 | 강릉 커피거리
충청권 수덕사(예산) | 만천하 스카이워크 | 충주 탄금호 무지개길 | 국립세종수목원 | 속리산 테마파크 모노레일 | 중앙탑공원(충주) | 청풍호반케이블카 |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 관북리 유적부소산성 | 한밭수목원 | 서동공원과 궁남지 | 단양강 잔도 | 도담삼봉 | 보은 법주사 | 공주 공산성 | 꽃지해수욕장 | 대천해수욕장 | 서산 해미읍성
경상권 여좌천(벚꽃명소) | 진주성 | 대구 동성로거리 | 장생포 고래문화마을 | 수성못 유원지 | 문경단산 모노레일 | 스카이라인 루지(부산) | 부산엑스더스카이 | 스페이스워크 | 광안리 SUP Zone |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 | 디피랑 | 부산 감천문화마을 | 해운대 그린레일웨이 | 죽변해안스카이레일 | 거창 항노화힐링랜드 | 부산 송도해수욕장 | 울릉도 | 경주 불국사 | 영남 알프스 | 대구 서문시장 & 서문시장 야시장 | 송정해수욕장 | 용두산 자갈치 관광특구 | 태종대 | 송도용궁구름다리 | 당항포관광지 | 김해가야테마파크 | 황매산군립공원 | 주산지 | 대왕암공원 | 태화강 국가정원 | 소수서원 | 독도 | 경주 석굴암 | 해운대해수욕장 | 대구앞산공원 | 광안리해변 테마거리
전라권 목포근대역사관 2관 | 고창 운곡람사르습지 | 전북 전주 한옥마을 | 고군산군도 | 천은사 상생의 길 및 소나무숲길 | 무등산국립공원 | 내장산국립공원 | 한려해상국립공원(오동도) | 목포 해상케이블카 | 선유도 | 마이산도립공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돌산도 | 목포근대역사관 1관 | 5·18 기념공원 | 익산 왕궁리유적 | 국립태권도원 | 무주 반디랜드 | 죽녹원 | 여수 해상케이블카 | 섬진강기차마을 | 양림역사문화마을
제주권 우도 | 제주 올레길 | 한라산(제주도 국가지질공원) | 성산일출봉 | 제주돌문화공원 | 비자림
}}}}}}}}}
[ 2021~2022 ]
||<width=8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f5f5f5,#2d2f34> 수도권 ||서울 5대 고궁 | 홍대거리 | 서울시립미술관 본관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롯데월드 어드벤처 | 남산 N서울타워 | 서대문형무소역사관 | 익선동 | 코엑스(스타필드) | 영종도 | 개항장 역사문화의 거리 | 인천 차이나타운(송월동 동화마을) | 강화 원도심 스토리워크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수원화성 | 한국민속촌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서울랜드) | 광명동굴 | 화담숲 | 임진각, 파주 DMZ | 두물머리 | 제부도 | 가평 아침고요 수목원 | 파주 헤이리 예술마을 | 농협경제지주 안성팜랜드 ||
강원권 설악산국립공원 | 남이섬 |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 강릉 커피거리 | 대관령 | 비발디파크(오션월드) | 강릉 주문진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원주 뮤지엄 산 | 인제 자작나무숲
충청권 장태산 자연휴양림 | 계족산 황톳길 | 청풍호반케이블카 | 의림지 | 청남대 | 만천하스카이워크, 단양강 잔도 | 예당호 출렁다리, 음악분수 | 대천해수욕장 | 안면도 꽃지해변 | 부여 백제유적지(부소산성 | 궁남지) | 공주 백제유적지(공산성 | 송산리 고분군) | 예산황새공원 | 아산 외암마을 | 신두리 해안사구 | 세종호수공원 일원
전라권 무등산국립공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익산 미륵사지 | 전주 한옥마을 | 마이산도립공원 | 내장산국립공원 | 옥정호 구절초 지방정원 | 남원시립김병종미술관 | 죽녹원 | 목포해상케이블카 | 오동도, 여수세계박람회장 | 퍼플섬 | 쑥섬(애도) | 보성 녹차밭(대한다원) | 순천만습지(순천만국가정원)
경상권 태종대 유원지 | 해운대해수욕장 | 용두산·자갈치 관광특구 | 감천문화마을 | 송정해수욕장 |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 다대포해수욕장 | 흰여울문화마을 | 용궁구름다리, 송도해수욕장 | 팔공산 | 서문시장 | 수성못 | 태화강 국가정원 | 영남알프스 | 간절곶 | 대왕암공원 | 반구대 암각화 | 경주 대릉원 일대 (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불국사, 석굴암 | 울릉도독도 | 병산서원 | 안동 하회마을 | 부석사 | 창녕 우포늪 | 황매산군립공원 | 남해독일마을 | 거제 바람의 언덕 | 합천 해인사
제주권 성산일출봉 | 한라산국립공원 | 제주올레길 | 천지연폭포 | 카멜리아 힐 | 우도 | 제주 비자림
[ 2019~2020 ]
||<width=8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f5f5f5,#2d2f34> 수도권 ||서울 5대 고궁 | 익선동 | 홍대거리 | 서울로7017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코엑스 | 롯데월드 어드벤처 | 이태원 관광특구 | 명동거리 | 남산 N서울타워 | 월미도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인천 차이나타운 | 수원화성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 | 광명동굴 | 제부도 | 양평 두물머리 | 광주 남한산성 | 광주 화담숲 | 포천아트밸리 | 가평 아침고요수목원 | 연천 한탄강 관광지 | 파주 DMZ ||
강원권 평창 대관령 | 강릉 커피거리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설악산 | 오대산 | 강릉 주문진 | 춘천 남이섬 | 원주 뮤지엄 산 | 하이원 리조트 | 고성 DMZ 평화관광지 | 비발디파크 |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 인제 자작나무숲
충청권 계족산 황톳길 | 단양 만천하스카이워크 | 단양팔경 | 청남대 | 괴산 산막이 옛길 | 태안 안면도 | 대천해수욕장 | 서천 국립생태원 | 부여 백제유적지(궁남지 | 부소산성 | 낙화암) | 공주 백제유적지(공산성 | 무령왕릉)
전라권 무등산 | 양림동 역사문화마을 | 전주 한옥마을 | 군산 시간여행 | 내장산 | 마이산 | 무주 태권도원 | 순천만습지 | 여수 엑스포 해양공원 | 담양 죽녹원 | 곡성 섬진강 기차마을 | 강진 가우도 | 보성녹차밭 | 해남 미황사
경상권 해운대해수욕장 | 태종대 | 자갈치시장 | 송도해수욕장 | 마린시티 | 감천문화마을 | 서문시장 | 대구근대문화골목 | 김광석다시그리기길 | 팔공산 | 태화강 십리대숲 | 영남알프스 | 울릉도독도 | 불국사석굴암 | 경주 대릉원 일대(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대릉원 | 천마총 | 황리단길) | 청송 주왕산 | 안동 하회마을 | 포항운하 | 영덕 대게거리 | 영주 부석사 | 울진 금강송 숲길 | 통영 스카이라인 루지 | 거제 바람의 언덕 | 창녕 우포늪 | 외도 보타니아 | 남해독일마을 | 진주성 | 합천 해인사
제주권 한라산 | 올레길 | 성산일출봉 | 제주 비자림 | 섭지코지 | 우도 | 서귀포 매일올레시장 | 성읍 민속마을 | 제주 절물 자연휴양림
}}} ||
전라남도 기념물
<colbgcolor=#ffcd00><colcolor=#000,#ddd> 구동양척식주식회사목포지점
舊東洋拓殖株式會社木浦支店
소재지 전남 목포시 번화로 18 (중앙동2가)
소유자 목포시
관리자 목포시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근대정치국방 / 기타
수량/면적 1동
지정연도 1999-11-20
파일: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jpg

1. 개요2. 상세3. 전라남도 기념물 제174호
3.1. 안내판 설명
4. 기타5. 건축물 이력

1. 개요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舊 東洋拓殖株式會社 木浦支店)은 동양척식주식회사가 수탈을 목적으로 목포시에 세운 지점이다. 소재지는 목포시 번화로 18이다.

1999년 전라남도 기념물 제174호로 지정되었다.

2. 상세

본래 나주 영산포에 동척의[1] 출장소가 있었으나, 목포가 개항한 이후 급속히 성장하자 1920년 6월에 목포로 옮긴 것이다. 이 건물은 1921년에 신축했다.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은 일제강점기 가장 번화한 거리에 위치하였으며, 동척의 전국 지점 가운데 가장 많은 소작료를 거둬들이던 곳으로 유명했다.

해방 이후 이 건물은 대한민국 해군의 해군기지로 사용하였다. 1946년부터 1974년까지 '해군 목포 경비부'로, 1974년부터 1989년까지는 '해군 제3해역사령부 헌병대'로 사용하였다. 이후 헌병대가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목포항목포해역방어사령부(목방사)로 이전해 감에 따라 1999년까지 약 10년간 빈 건물로 방치하여 철거 위기를 맞기도 하였다. 식민지 수탈의 역사를 증명하는 근대 문화유산으로 보존해 달라는 시민 사회와 학계의 요구에 따라, 1999년 11월 20일 전라남도 기념물 제174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내부 보수를 거쳐 2006년도부터 목포 근대역사관 2관(별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동양척식주식회사는 일본이 한국 경제를 침탈하기 위해 1908년에 설립한 특수 회사이다. 일본인의 이주 지원, 식민지 지주 육성, 농장 관리, 금융 등이 주요 업무였다. 서울에 본점을 두고 전국 주요 도시 9곳에 지점을 세웠다. 현재 남한지역에서는 부산과 목포, 대전에만 건물이 남아있다. 부산지점보다 규모가 더 크며, 설립연도도 앞선다.
근대건축물은 목포에 남아 있는 대표적인 일제 강점기 건축물로 식민지 수탈의 상징 공간이라는 의미가 있다. 또한 해군의 역사가 담긴 국방 유적의 가치를 함께 지니고 있다. 건물의 외부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당시 사용된 대형 금고가 그대로 남아 있다.

3. 전라남도 기념물 제174호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일제시대 조선 농민의 수탈기관이었던 동양척식주식회사의 목포지점 건물이다.

동양척식주식회사는 1908년 한국의 경제를 독점, 착취하기 위해 한국 내에 설립한 회사이다.

목포지점의 경우 1909년 나주 영산포에 출장소가 설치되었는데, 목포가 개항 이후 급속히 성장하자 1920년 6월에 목포로 이전하면서 지점으로 승격하였다. 현 목포지점의 신축연도는 1921년이다.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은 일제강점기 가장 번화한 거리에 위치하였으며, 전국 지점 가운데 가장 많은 소작료를 거둬들이던 곳으로 유명하다.

현재 남한지역에서는 부산과 목포에만 건물이 남아있다. 부산지점보다 규모가 더 크며, 설립연도도 앞선다.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구동양척식주식회사목포지점 (舊東洋拓殖株式會社木浦支店) ||

3.1. 안내판 설명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
舊 東洋拓殖株式會社 木浦支店
전라남도 기념물 제174호
지정일 1999. 11. 20.

동양척식주식회사는 일본이 한국 경제를 침탈하기 위해 1908년에 설립한 특수 회사이다. 일본인의 이주 지원, 식민지 지주 육성, 농장 관리, 금융 등이 주요 업무였다. 서울에 본점을 두고 전국 주요 도시 9곳에 지점을 세웠다. 구동양척식주식회사목포지점은 본래 나주에 있던 출장소를 1920년에 목포로 옮긴 것이며 건물은 1921년에 신축한 것이다. 해방 이후 이 건물은 대한민국의 해군 기지로 사용하였다. 1946년부터 1974년까지 ‘해군 목포 경비부’로, 1974년부터 1989년까지는 ‘해군 제3 해역 사령부 헌병대’로 사용하였다. 이후 헌병대가 영암군으로 이전해 감에 따라 1999년까지 약 10년간 빈 건물로 방치하여 철거 위기를 맞기도 하였다. 식민지 수탈의 역사를 증명하는 근대 문화유산으로 보존해 달라는 시민 사회와 학계의 요구에 따라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하였다. 이후 내부 보수를 거쳐 2006년도부터 근대 역사관 (현재 별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건물은 목포에 남아 있는 대표적인 일제 강점기 건축물로 식민지 수탈의 상징 공간이라는 의미가 있다. 또한 해군의 역사가 담긴 국방 유적의 가치를 함께 지니고 있다. 건물의 외부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당시 사용된 대형 금고가 그대로 남아 있다. ||

4. 기타

  • 인근의 구 목포 일본영사관 또한 일제강점기에 사용된 근대 건축물로 현재 목포 근대역사관 1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두 건물은 도보 3분 거리로 인접하고 있다.

5. 건축물 이력

  • 1921년~1945년: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 활용목적으로 건축
  • 1956년~1974년: 해군 목포 경비부로 활용
  • 1974년~1989년: 해군 제3 해역 사령부 헌병대로 활용
  • 1989년~1999년: 건물 방치
  • 1999년 11월 20일: 전라남도 기념물 제174호로 지정
  • 1999년~2006년: 건물 내부 복원
  • 2006년~현재: 목포 근대역사관 2관(별관)으로 활용

[1] 동양척식주식회사를 줄여서 '동척'(東拓, とうたく)으로도 부른다.